[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카지노 재벌 윈리조트(Wynn Resorts)가 아랍에미리트(UAE) 통합 리조트 개발에 약 2조6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윈리조트는 UAE 토후국 가운데 하나인 라스 알 카이마에 있는 인공섬인 알마르잔섬에 통합 리조트를 개발할 예정이다. 총투자액은 20억 달러(약 2조6000억원) 규모다. 윈리조트는 레스토랑, 스파, 게임장, 쇼핑몰 등과 초호화 객실 1000개를 갖춘 호텔을 지을 계획이다. 오는 2026년 개장이 목표다. 도박을 금기시하는 이슬람주의 문화권에서 카지노 기업이 진출하는 것은 윈리조트가 처음이다. 크레익 빌링스 윈리조트 최고경영자(CEO)는 "UAE는 엄청난 현대화와 발전을 이루고 있고 두바이 공항은 유럽과 중동, 인도 등에서 연간 8000만명 이상이 찾고 있다"며 "여기에 강력한 수익성을 창출한 사업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윈리조트는 미국 카지노 재벌인 스티브 윈이 설립한 기업이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와 보스턴, 마카오 등에서 리조트를 운영 중이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9억5330만 달러(약 1조240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 7억3670만 달러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온라인 베팅업체 윈 인터랙티브(Wynn Interactive)가 미국 최대 프로스포츠 도시인 뉴욕에서 첫발을 내디뎠다. [유료기사코드]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윈 인터랙티브는 뉴욕에서 온라인 스포츠 베팅 애플리케이션인 '윈 베트(WynnBET)'를 출시했다. 뉴욕은 메이저리그(MLB), 미국프로농구(NBA),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 미국프로풋볼(NFL) 등 미국 4대 프로스포츠에 속한 구단만 10개가 넘는 도시로, 대표적인 빅 마켓 가운데 하나다. 이로써 윈 인터랙티브가 진출한 미국 도시는 뉴욕을 비롯해 애리조나·콜로라도·인디애나·미시간·뉴저지·테네시·버지니아 등 8개로 늘었다. 아이오와와 루이지애나 진출도 추진 중이다. 이안 윌리엄스 윈 인터랙티브 회장은 "뉴욕 진출은 회사 성장의 기념비적인 이정표"라며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해 온라인 베팅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 윈 인터랙티브는 미국 카지노 재벌 윈리조트의 온라인 베팅 사업부다. 지난해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기업공개(IPO)를 추진했으나 시장 불확실성 증가로 무산됐다. 한편, 나스닥에 상장된 윈리조트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폴란드군이 국내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공급한 K239 천무 기반 폴란드형 다연장로켓 '호마르-K' 관련 교육을 받은 비하인드가 인터뷰와 공식 영상으로 공개됐다. 이번 훈련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WB일렉트로닉스, 우리 군이 공동으로 주관한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으로, 양국 방산 협력 강화와 폴란드군의 첨단 무기 운용 역량 제고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폴란드 국방부 공식 군사 전문지 '폴스카 즈브로이나(Polska Zbrojna)'에 따르면 제1지역 군수기지(1.Regionalna Baza Logistyczna) 소속 토마시 쿠친스키 소령을 비롯한 폴란드군은 지난 5월 파주 제1포병여단에서 2주간 K239 천무 운용·정비 교육을 수료했다. 이번 훈련은 폴란드군이 한국산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배운 첫 공식 프로그램이었다. 교육은 영어로 진행되며 동시통역이 제공됐고, 우리 군 소속 K239 천무 훈련센터 및 포병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했다. 특히 △고장 대응 △기본 정비 △발사 시스템 이해 등 운용 현장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훈련에 참여한 병력은 예상되는 대부분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테크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시대를 이끌었던 애플이 중대한 기로에 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이 그동안 금융 전략을 앞세워 몸값을 높여왔지만, 앞으로 생존을 위해서는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경제매체 CNBC의 유명 방송인 짐 크레이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애플의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며 비판했다. 짐 크레이머는 "현재 애플은 스마트폰 생태계 지배력과 풍부한 현금을 바탕으로 견고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주가는 정체된 상태"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애플의 주가는 지난해 12월 31일 종가기준 주당 250.42달러였지만, 최근에는 주당 210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가 20% 가까이 하락한 것. 반면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는 421달러에서 20% 가까이 성장해 500달러선을 넘어섰으며, 메타도 585달러에서 730달러선을 돌파하며 전고점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심지어 S&P 500 지수도 올해 7% 가까이 상승했다. 크레이머는 애플의 자사주 매입 의존과 AI 경쟁에서 뒤처진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짐 크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