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업체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이하 아이맵)가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제약업체 페링 파마슈티컬스(Ferring Pharmaceuticals·이하 페링)과 손잡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앞서 페링은 지난 2016년 아이맵과 아이맵에 중국 및 한국 시장을 대상으로 올람키셉트를 개발 및 상업화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부여하는 라이센스 계약을 맺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 업체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이하 아이맵)가 이달 말 개발하는 항암제 임상 데이터를 공개한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 업체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이하 아이맵)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목적으로 인재를 영입했다. 글로벌 차원의 계획 추진을 가속화해 전문 글로벌 바이오제약회사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 업체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이하 아이맵) 가 서양 제약업에 사업을 매각하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제넥신의 항암 면역치료제 'GX-I7'의 중국 임상 2상이 시작되며 개발 과정이 순조롭게 이어지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 업체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의 중국 임상 2상에 등록한 첫 환자가 GX-I7(에피넵타킨 알파· 중국 제품명 TJ107)를 투여받았다. 아이맵 바이오파마가 지난해 7월말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로부터 임상 2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은 지 반년 만에 본격적인 임상 2상에 착수한 것이다. 첫 환자에게는 TJ107과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이 함께 사용됐다. 임상 2상은 삼중음성 유방암(TNBC), 두경부 편평세포암(SCCHN) 등 선택된 종양 유형을 대상으로 하는 바스켓 임상 방식에 따라 설계됐다. 제넥신은 GX-I7이 IL-7(Interleukin-7)에 제넥신의 지속형 플랫폼 기술인 hyFc 기술을 적용해 제조한 융합단백질이라고 전했다. 체내 반감기 및 T세포 수를 증폭하는 효력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다양한 항암치료제와 병용을 통해 항종양효과를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는 면역항암제이라는 설명이다. 2020년 실시된 키트루
[더구루=오소영 기자] 제넥신의 협력사 중국 아이맵이 미국 메릴랜드에 이어 샌디에이고에 연구 거점을 마련했다. 풍부한 고급 인력과 바이오 인프라를 활용해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아이맵은 미국 샌디에이고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짓는다. 신규 센터는 기초과학 연구로 밝혀진 지식, 기술 등을 질병 진단·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중개의학, 의약품 제형 개발에 중점을 둔다. 연내 건설을 마쳐 가동할 계획이다. 샌디에이고는 보스턴, 샌프란시스코와 함께 '미국 3대 바이오 클러스터'로 꼽힌다. UC샌디에이고에서 배출한 우수한 인재를 앞세워 글로벌 제약사들의 투자를 대거 유치했다. 화이자를 비롯해 1000개가 넘는 바이오 회사, 임상시험대행기업(CRO) 약 85곳, 독립 연구소 80여 곳이 밀집해있다. 아이맵은 샌디에이고의 인재풀을 활용하고 인근 바이오 회사들과 시너지를 내며 R&D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글로벌 임상 개발·규제 업무를 주로 하는 메릴랜드 R&D센터에 이어 미국 내 추가 거점을 세우고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낸다. 아이맵은 2014년 써드벤처바이오파마(Third Venture Biopharma)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