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과 성신RST이 탄자니아에 납품한 열차가 정기 운행을 시작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탄자니아 철도공사(TRC)는 최근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에서 도도마(Dodoma)까지 이어지는 전철화된 준고속열차(표준궤, SGR) 철도의 두 번째 구간을 개통했다. 해당 노선에는 현대로템이 공급한 8량짜리 전동차와 전기 기관차 1량, 성신RST의 표준궤열차 14량짜리 여객 열차가 투입됐다. 두 열차의 최대 속도는 160km/h이며, 다르에스살람과 도도마 간 운행 시간은 3시간이다. 표준궤 열차 노선 첫 번째 구간은 탄자니아 SGR 1공구인 다르에스살람-모로고로 구간이다. <본보 2023년 12월 7일 참고 탄자니아, 현대로템 전동차로 표준궤 노선 기술 테스트> 마산지 카도고사(Masandji Kadogosa) TRC 최고경영자(CEO)는 "여객 수요에 따라 공급 열차 수는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로템은 다르에스살람에서 도도마까지 이어지는 표준궤철도(SGR)의 공식 시운전에 앞서 전동차를 공급했다. 현대로템이 공급한 전동차는 2021년 TRC로부터 수주한 전동차 80량과 전기기관차 17량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성신RST가 탄자니아에 준고속열차(표준궤) 27량을 인도했다. 성신RST의 표준궤 열차는 연내 탄자니아 철도에서 상업 운행을 개시할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탄자니아 철도공사(Tanzania Railway Corporation, TRC)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다르에스살람에서 성신RST의 신형 표준궤 열차 27량과 현대로템의 전기기관차 4량을 인도 받았다. TRC는 이번 객차 인도로 현대로템의 전기기관차 4량과 성신RST의 표준궤 열차 56량을 확보하며 철도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이 가능해졌다. 성신RST는 지난해 10월 표준궤열차 14량과 협궤열차 22량 등 1차분 36량 제작을 완료하고, 마산신항에서 선적해 탄자니아로 인도한 바 있다. 이번은 2차분 조달이다. 마지막 세번째 인도는 다음달에 이뤄질 예정이다. 현대로템의 전기기관차 13량은 두번에 걸쳐 인도된다. 3월에 6대, 4월에 7대가 탄자니아에 도착할 예정이다. 마치비아 마산자(Machibya Masanja) TRC 사무총장 대행 엔지니어는 "새로 인수한 열차는 시속 160km의 인상적인 속도를 자랑해 빠르고 효율적인 철도 운송의 기반을 마련했다"며 "27량의 객차는 비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과 성신RST가 탄자니아에 전동차를 속속 인도하고 있다. 현대로템과 성신RST 모두 수주 실적을 바탕으로 탄자니아를 비롯해 향후 아프리카 철도시장에서 사업 확대를 기대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탄자니아 철도공사(TRC)는 현대로템과 성신RST로부터 주문한 열차를 인도받고 있다. 현대로템은 이달 중 전동차 1량과 전기기관차 2량의 인도할 계획이다. 성신RST는 이달 말 준고속열차(표준궤) 59량 중 45량을 인도한다. 현대로템은 2021년 TRC가 발주한 약 3354억원 규모의 전동차 80량과 전기기관차 17량 사업을 낙찰 받았다. 전동차는 2157억원, 전기기관차는 1197억원 규모로, 오는 2024년까지 납품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의 전동차와 전기기관차는 차량의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해 고속 운행 시에도 승객에게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한다. 또한 휠체어석과 수유실 등의 시설을 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서비스도 갖췄다. 현대로템이 공급하는 차량은 탄자니아에서 추진 중인 표준궤 철도사업의 1·2단계 구간인 다르에스살람과 마쿠토포라를 연결하는 546㎞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탄자니아 정부도 관심을 갖고 제작 상황을 점검했다. 알리 포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