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스웨덴 전기 트럭 스타트업 '볼타트럭'(Volta Trucks)이 대형 전기트럭 '볼타제로'(Volta Zero) 미국 출시 채비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볼타트럭은 내년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볼타제로 100대를 시승 및 시범차량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미국 전기차 시장 진출 전 현지 소비자들의 반응을 살피기 위한 전략이다. 이와 함께 볼타제로의 현지 생산을 담당할 파트너사를 찾아 나섰다. 연말까지 최종 파트너사를 선정하고 생산 계약을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볼타제로는 160~200kWh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150~200km를 주행할 수 있는 대형트럭이다. 16톤 전기트럭으로 개발됐다. 현재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6000대가량 사전 예약이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볼타트럭은 일단 상반기 볼타 제로 프로토타입을 선보이고 연말 유럽 시장에 먼저 정식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중국과 유럽의 탄소배출 관련 법안이 강화되는 만큼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 한편 볼타트럭은 지난 2월 시리즈C 펀딩 라운드를 통해 약 2억3000만 유로(한화 약 3116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볼타트럭 초기 시드 투자자인 스웨덴
[더구루=윤진웅 기자] 스웨덴 전기 트럭 스타트업 '볼타트럭'(Volta Trucks)이 대형 전기트럭 '볼타제로'(Volta Zero) 혹한기 테스트를 마무리했다. 최종 테스트 단계를 거친 만큼 조만간 본격적인 양산 모델 생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볼타트럭은 최근 스웨덴 북부 지역에서 볼타트럭에 대한 극한 테스트를 진행했다. 영하 최저 30도의 환경에서 이뤄진 테스트인 만큼 악천후 주행 관련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은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볼타트럭은 이번 테스트 단계에서 볼타제로의 배터리 에너지와 온도 관리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차량의 사전 컨디셔닝 단계에서 차량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파워트레인과 트랙션 컨트롤을 점검하며 이상적인 조건으로 세팅을 할 수 있게 됐다는 게 볼타트럭의 설명이다. 이안 콜린스(Ian Collins) 볼타트럭 제품책임총괄은 "이번 테스트 과정을 거치며 몇 가지 중요한 문제에 직면했다"며 "(볼타제로를) 고객의 니즈를 모두 충족시키는 차량으로 출시하기 위해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극한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인
[더구루=윤진웅 기자] 스웨덴 전기 트럭 스타트업 '볼타트럭'(Volta Trucks)이 전기차 트럭 생산과 개발에 필요한 실탄을 충전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볼타트럭은 지난 18일 시리즈C 펀딩 라운드를 통해 약 2억3000만 유로(한화 약 3116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하고 연말 자사 전기 트럭 모델 '볼타 제로'(Volta Zero) 출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펀딩 라운드는 미국계 투자사 룩소르캐피탈그룹(Luxor Capital Group)이 주도했다. 룩소르캐피탈그룹은 이번 펀딩에 앞서 이미 볼타트럭에 한 차례 투자를 단행한 바 있다. 특히 볼타트럭 초기 시드 투자자인 스웨덴 현지 부동산업체 'Byggmastare Anders J Ahlstrom Holding AB'(AJAb.ST)도 이번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에 따라 볼타 트럭의 융통 자금은 총 3억 유로(약 4065억원)까지 늘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볼타트럭은 이번 자금을 바탕으로 이르면 상반기 볼타 제로 프로토타입을 선보이고 기계획에 맞춰 연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중국과 유럽의 탄소배출관련 법안이 강화되는 만큼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 에사 알 살레(Essa
[더구루=윤진웅 기자] 스웨덴 전기 트럭 스타트업 '볼타트럭'(Volta Trucks)이 자사 전기상용트럭 '볼타제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최신 기술을 집약한 내비게이션을 탑재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볼타트럭은 최근 네덜란드 내비게이션 스타트업 히어 테크놀로지스(HERE Technologies)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히어 테크놀로지스의 통합 내비게이션이 볼타제로에 탑재될 예정이다. 볼타제로 운전자들은 해당 내비게이션이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온전히 누릴 수 있게 됐다. 먼저 도심 배송을 위해 맞춤화된 기능인 EV 레인지 어시스턴트(EV Range Assistant)를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배송지를 찾아가야하는 경우 트럭의 주행가능거리 계산해 알려주는 서비스다.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What3Words(W3W)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맞춤형 라스트마일 내비게이션 시스템도 있다. W3W는 위치 정보 기술의 혁신으로 불리는 서비스로 지구상 모든 위치를 3mX3m로 나눠 랜덤한 3개의 단어로 주소를 부여하는 방법을 말한다. 장소와 지형과 상관없이 정확한 위치를 찾을 수 있다는 게 장
[더구루=윤진웅 기자] 스웨덴 전기 트럭 스타트업 '볼타트럭'(Volta Trucks)이 영국에서 전기 상용트럭 '볼타제로' 프로토타입 생산을 시작했다. 내년 초 각종 테스트를 통해 설계를 검증할 계획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볼타트럭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영국 코번트리 공장에서 볼타제로 프로토타입 생산을 개시했다. 볼타제로는 160~200kWh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150~200km를 주행할 수 있는 대형트럭이다. 16톤 전기트럭으로 개발됐다. 내년 말 출시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유럽에서만 2500대 이상 사전 주문을 접수했다. 예상 매출액은 약 6억 유로(한화 약 8221억원)가 될 전망이다. 볼타트럭은 이곳에서 생산한 볼타제로 프로토타입을 활용해 내년 초 DV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DV 테스트는 PV 테스트에 앞서 주행·충돌 등 테스트를 통해 설계 검증을 실시하는 단계를 말한다. PV 테스트용 차량은 내년 중순 오스트리아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PV테스트는 차량의 공정 유효성과 생산 검증을 위한 최종 단계다. 관련 지침에 따라 볼타트럭 관계자들을 직접 물류 현장에 투입시켜 장기간 수백만km에 달하는 배송 업무를 진행할 예정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스웨덴 전기 트럭 스타트업 '볼타트럭'(Volta Trucks)이 유럽 각국에서 비즈니스 개발 관리자를 대거 채용하고 있다. 내년 볼타 제로 출시에 앞서 브랜드 인지도와 제품 이해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볼타트럭은 최근 네덜란드 등 유럽 주요국 진출에 이어 각국 비즈니스 개발 관리자를 고용하는 등 유럽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내년 볼타 제로 출시를 앞두고 제품 홍보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최근 영국에선 연구개발을 위한 추가 인력 70여명을 모집한다는 공고를 내기도 했다. <본보 2021년 10월 7일 참고 볼타트럭, 英서 대규모 인력 채용…상용화 속도> 볼타 제로는 160~200kWh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150~200km를 주행할 수 있는 대형트럭이다. 16톤 전기트럭으로 개발됐다. 내년 말을 목표로 양산 준비에 있다. 오스트리아에 있는 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이다. 볼타트럭 관계자는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영국의 고객을 지원하기 위해 비즈니스 개발 관리자를 모집하고 있다"며 "내년 선보이는 볼타 제로에 대한 고객들의 이해도를 높여 판매를 끌어올릴 것"이라고
[더구루=정등용 기자]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ProLogium Technology)가 일본 규슈전력과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규슈전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와 협력해 산업용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회사는 효율성과 저온 내구성을 개선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영하 30도에서도 95%의 용량을 유지하는 제품이 될 전망이다. 이번 협력 과정에서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는 배터리 셀을 공급하며, 규슈전력은 건설 기계 등 장비용 모듈을 설계한다. 키타규슈와 사가 지역의 현지 파트너 기업들도 협력에 참여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내년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개발 성과를 선보일 예정이며, 오는 2027년까지 양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 투자사인 이브이첨단소재는 “프롤로지움이 초유동화 무기 고체 전해질을 발표하며 차세대 전고체 리튬 배터리 상용화 시대를 열었다”고 강조했다. 해당 전해질 기술은 고체 물질의 높은 이온 농도와 액체의 우수한 계면 접촉 특성을 결합해, 기존 전고체 배터리의 3가지 주요 병목 현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헝가리가 폴란드 기업과 손잡고 소형 모듈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헝가리는 단순 검토 수준이 아닌 미국산 SMR 도입까지 완료, 에너지 믹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헝가리 원자력 개발 회사 '후나톰(Hunatom)'은 폴란드 SMR 기업 '신토스 그린 에너지(Synthos Green Energy, 이하 신토스)'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후나톰과 LOI를 체결한 신토스는 폴란드 최고 부호인 미하우 소워보프(Michał Sołowow)가 운영하는 SMR 전문기업이다. 신토스는 폴란드 기업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SMR 도입을 추진해 온 기업이다.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 합작사인 'GE 히타치 뉴클리어 에너지(GEH)'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토스는 GEH가 개발한 발전용량 300메가와트(㎿)의 SMR 'BWRX-300'의 폴란드 내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후나톰은 신토스를 통해 BWRX-300 도입에 앞서 필요한 기술적, 인프라적, 재정적, 법적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후나톰이 정확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