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Bakkt)가 홍콩·싱가포르 등 아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더욱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백트는 디지털 중개업체 소고트레이드와 손잡고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백트가 아시아 시장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백트는 또 주식 거래 플랫폼 하피(Hapi)와 협력해 스페인과 브라질, 과테말라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앞서 양사는 작년 11월 멕시코와 아르헨티나에서 서비스를 출시한 바 있다. <본보 2023년 11월 13일자 참고 :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 글로벌 시장 진출 잰걸음> 백트는 북미와 남미, 유럽, 아시아 등으로 사업 영토를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 개빈 마이클 백트 최고경영자(CEO)는 "글로벌 시장 진출은 올해 우리의 최우선 과제"라며 "홍콩과 싱가포르 등 아시아 시장에 새롭게 진출하며 회사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고 전했다. 2018년 설립한 백트는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그룹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의 자회사다. 지난해 3월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지갑인 백트 앱을 출시했다. 하나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Bakkt)가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백트는 연말까지 중남미·유럽·아시아 등 주요 국가에 진출해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13일 밝혔다. 중남미 경우 주식 거래 플랫폼 하피(Hapi)와 협력해 최근 멕시코와 아르헨티나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연내 브라질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유럽 시장에서는 연내 스페인에서 서비스를 출시하고, 영국과 유럽연합(EU) 역내에서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외에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 진출도 추진한다. 개빈 마이클 백트 최고경영자(CEO)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를 지속해서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2018년 설립한 백트는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그룹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의 자회사다. 지난해 3월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지갑인 백트 앱을 출시했다. 하나의 앱에서 암호화폐를 비롯해 모든 자산을 모아 송금, 결제, 현금 전환 등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게 목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투자자들의 관심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규제가 암호화폐 투자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트는 22일 미국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암호화폐 인식 조사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암호화폐 보유자 가운데 84%는 지속해서 코인에 투자하겠다고 응답했다. 또 전체 응답자 가운데 30%는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고 답했고, 48%는 관심도에 변화가 없었다고 했다. 또 응답자 78%는 향후 암호화폐 관련 규제가 강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암호화폐 인기가 얻을 것이란 응답도 78%로 나타났다. 개빈 마이클 백트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연구는 암호화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추가 채택을 촉진하는 데 있어 규제의 명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2018년 설립한 백트는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그룹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의 자회사다. 지난해 3월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지갑인 백트 앱을 출시했다. 하나의 앱에서 암호화폐를 비롯해 모든 자산을 모아 송금, 결제, 현금 전환 등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Bakkt)가 미국 최대 카지노 기업 시저스 엔터테인먼트(Caesars Entertainment)와 손잡고 암호화폐 보상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백트는 시저스와 고객 보상 프로그램 협력 등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협력에 따라 시저스의 리워드 회원이 백트의 암호화폐 리워드 서비스를 통해 보상 크레딧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양사는 향후 규제 승인을 획득한 뒤 정식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또 파트너십 일환으로 네바다주(州) 라스베이거스 소재 플래닛 할리우드 리조트앤드카지노 내 자포스극장의 명칭을 백트극장으로 변경한다. 마크 엘리엇 백트 최고 마케팅·판매 책임자는 "수백만명의 시저스 고객에게 새로운 암호화폐 옵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우리의 암호화폐 리워드 서비스를 시저스 보상 프로그램과 통합함으로써 양사간 관계를 더욱 공고하게 했다"고 전했다. 2018년 설립한 백트는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그룹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의 자회사다. 지난해 3월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지갑인 백트 앱을 출시했다. 하나의 앱에서 암호화폐를 비롯해 모든 자산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Bakkt)에 대한 콜옵션 매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 상승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6일 미국 주식투자정보 사이트 마켓비트(Market Beat)에 따르면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 백트 콜옵션 매수는 2만5255개를 기록했다. 이는 이 회사의 평균 콜옵션 거래량 3263개를 700% 가깝게 웃도는 수준이다. 콜옵션은 주가 상승에 베팅하는 파생상품이다.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매수자는 만기일에 기초가 되는 상품이나 증권의 시장가격이 미리 정한 행사가격보다 높을 경우 옵션을 행사해 그 차액만큼 이익을 볼 수 있다. 13일 현재 백트 주가는 2.05달러로 올해 들어 77% 상승했다. 2018년 설립한 백트는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그룹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의 자회사다. 지난해 3월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지갑인 백트 앱을 출시했다. 하나의 앱에서 암호화폐를 비롯해 모든 자산을 모아 송금, 결제, 현금 전환 등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게 목표다. 백트는 앱 출시 이후 세계
[더구루=홍성환 기자] 테라·루나 사태, FTX 파산 등 계속된 악재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백트가 실시한 암호화폐 소비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세계 3위 가상 자산 거래소 FTX 파산 이후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도는 38%에서 40%로 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암호화폐 보유자 가운데 향후 투자를 고려하겠다는 응답자는 89%에서 82%로 7%포인트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이에 대해 백트는 "최근 FTX 파산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은 전반적으로 변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백트는 지난 10월 이후 미국 전역의 2000명 이상의 소비자들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이 가운데 절반은 지난달 21~28일 사이 조사해 FTX 파산 이후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암호화폐 투자자의 최고 관심사는 규제와 보안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 가운데 70% 이상이 규제와 안전 문제에 가장 큰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게빈 마이클 백크 최고경영자(CEO)는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면 FTX의 실패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선물거래소 백트(Bakkt)가 최대 2900억원을 투입해 가상자산 인프라 기업 에이펙스 크립토(Apex Crypto)를 인수한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입지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백트는 4일 에이펙스 크립토와 인수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우선 현금으로 5500만 달러(790억원)를 지급하고, 향후 재정 목표 달성 결과에 따라 주식이나 채권을 통해 최대 1억4500만 달러(약 2070억원)를 추가로 지불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 중으로 거래를 완료할 계획이다. 백트는 이번 인수를 통해 매출 성장과 비용 절감, 시너지 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암호화폐 클라이언트 기반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에이펙스 크립토는 암호화폐와 관련해 실행·청산·보관·원가기준·세금 서비스 등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개빈 마이클 백트 최고경영자(CEO)는 "에이펙스 크립토 인수로 고객에게 원활한 암호화폐 경험을 제공하는 금융기관, 핀테크, 가맹점을 위한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암호화폐 보상, NFT 등 차세대 소비자들을 공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회를 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Bakkt)의 최고경영자(CEO)가 가상자산 시장의 심각한 부진에도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산업은 끝까지 살아남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개빈 마이클 백트 CEO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야후 파이낸스와 인터뷰에서 "계속되는 약세장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암호화폐 산업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클 CEO는 "암호화폐는 단순한 투자 자산에서 쇼핑을 포함해 매우 광범위한 다목적 용도로 발전하고 있다"며 "암호화폐의 성능과 유용성을 실제로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내년 암호화폐 시장의 큰 회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백트는 비자, 마스터카드 등 글로벌 신용카드 사업자들과 암호화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백트는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그룹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의 자회사다. 지난해 3월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지갑인 백트 앱을 출시했다. 하나의 앱에서 암호화폐를 비롯해 모든 자산을 모아 송금, 결제, 현금 전환 등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게 목표다. 백트는 앱 출시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선물거래소 백트(Bakkt)의 최고재무책임자(CFO)가 미국 증시 상장 6개월 만에 사임했다. 백트는 26일 앤드류 라벤(Andrew LaBenne) CFO가 퇴사한다고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백트는 이에 대해 "회사와 어떠한 의견 충돌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라벤 CFO는 지난해 4월 선임된 이후 백트의 기업공개(IPO)를 주도해 왔다. 백트는 지난해 10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백트는 당시 4억5000만 달러(약 5690억원)를 조달했다. 하지만 상장 이후 암호화폐 시장 위축과 우크라이나 사태, 미국 금리인상 등 여러 악재 맞물리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25일(현지시간) 백트 주가는 2.37달러로 상장 당시보다 80% 가깝게 하락했다. 백트는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그룹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의 자회사다. 지난해 3월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지갑인 백트 앱을 출시했다. 하나의 앱에서 암호화폐를 비롯해 모든 자산을 모아 송금, 결제, 현금 전환 등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게 목표다. 백트는 앱 출시 이후 세계 최대 커피전문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선물거래소 백트(Bakkt)가 금융권의 미래 신사업으로 주목받는 '가상자산 커스터디(수탁)' 사업 확장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백트와 세계적인 암호화폐 대출업체 넥소(Nexo)는 19일(현지시간)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자산 수탁 서비스와 관련해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백트는 자사의 가상자산 커스터디 서비스인 '백트 웨어하우스'에 넥소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자산을 보관·관리한다. 백트 웨어하우스는 온라인과 에어갭(Air-Gapped·망분리) 오프라인 가상자산 스토리지로 구성된다. 커스터디는 암호화폐를 포함한 가상자산을 보관·관리해주는 수탁 서비스다. 최근 암호화폐 뿐만 아니라 미술품, 음악 등을 기반으로 하는 대체불가능한토큰(NTF) 등이 활성화하면서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미래에셋 등 국내 금융사들도 이 시장에 주목하고 앞다퉈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댄 오프레이 백트 암호화폐 부문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암호화폐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장하면서 유명 기업들이 가상자산 수탁을 다변화하고 있다"며 "파트너십을 구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가 미국 뉴저지주(州) 소재 지방은행인 마나스콴은행과 손잡고 은행 고객을 상대로 암호화폐 매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백트와 마나스콴은행은 모바일 뱅킹 애플리케이션에서 암호화폐 매매와 보유를 가능하도록하는 '얼리 어답터 프로그램(Early Adopter Program)'과 관련해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마나스콴은행은 모바일 뱅킹 앱 내에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마나스콴은행은 뉴저지에 기반을 둔 상호조합은행이다. 현재 15개 지점을 운영 중이고, 총자산은 27억 달러(약 3조2200억원)다. 백트는 내년 2분기 얼리 어답터 프로그램의 출시를 목표로 다수의 은행과 파트너십을 추진 중이다. 실라 젬린 백트 최고수익책임자(Chief Revenue Officer·CRO)는 "암호화폐는 웹 3.0 경제의 중심으로 소비자가 새로운 가치 창출에 참여하고 가상자산 교환이 가능한 분야"라면서 "신뢰할 수 있는 현지 은행과 파트너십을 맺음으로써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제임스 바카로 마나스콴은행 회장은 "우리는 고객이 디지털 경제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 주가가 최근 한 달 새 60% 넘게 하락했다. 6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백트 주가는 11월 한 달간 63% 하락했다. 12월 들어서도 17% 하락했다. 3일(현지시간) 현재 백트의 주가는 13.03달러다. [유료기사코드] 백트는 앞서 지난 10월 18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에 입성했다. 상장 이후 10월에만 5배나 급등하며 기대감을 모았다. 하지만 이후 주가가 꺾이면서 반등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는 달러화 강세 흐름과 전 세계적인 규제로 암호화폐 투자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크게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본보 2021년 10월 18일자 참고 :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 美증시 데뷔…"규제 리스크 여전"> 이와 함께 지난달 상장 후 첫 실적 발표에서 수익성이 악화된 점도 주가에 악영향을 미쳤다. 백트의 3분기 순손실은 2880만 달러(34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 1800만 달러(약 210억원) 순손실에서 적자 폭이 크게 늘었다. 매출은 914만 달러(약 110억원)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의 대형 전기 화물트럭 '세미(Semi)'의 본격 양산이 임박했다. 본격적인 양산을 앞둔 테슬라는 생산시설 구축 마무리와 함께 관련 인력 구인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28일(현지시간) 세미 팩토리 건설 현장의 모습을 담은 영상을 공개하고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테슬라는 지난 2023년 1월 세미 양산을 위해 네바다 기가팩토리를 확장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초 기초 공사를 시작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세미 팩토리의 기초공사와 구조물 설치, 바닥재 시공 모습 등이 담겼다. 댄 프리스틀리(Dan Priestley) 세미 프로그램 총괄은 "향후 수 개월간 진행될 장비 설치 작업 등이 마무리되면 연산 5만대 규모의 공장이 완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첫 번째 양산은 올해 말 시작될 예정"이라며 "2026년에는 일년 내내 생산이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테슬라는 이번 영상을 통해 세미의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기도 했다. 세미의 본격적인 양산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테슬라도 관련 인재 영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테슬라는 세미와 관련해 83개 구인 공고를 발표했다. 채용 범위는 미국 전역이며 세미 기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 포드가 리튬망간리치(LMR) 기반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공개했다. 포드는 고밀도·저비용·친환경성 등 다양한 장점을 갖춘 LMR 기술을 내세워 보급형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포드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 미시간주 '아이온 파크(Ion Park)' 배터리 연구센터에서 리튬·망간 리치(LMR)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포드가 이번에 선보인 LMR 배터리는 배터리 소재, 셀 구조, 제조 공정을 모두 개선해 니켈 비중은 줄이고 리튬과 망간 비중을 높인 차세대 배터리다. 리튬과 망간은 니켈 대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목 받고 있다. 원재료 매장량도 풍부해 친환경성을 갖추는 등 다양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중국 기업들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포드는 LMR 기술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중국 배터리 기업은 최근 LFP 배터리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보급형 전기차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점으로 꼽히는 주행거리마저 개선되면서 이를 채택하는 완성차 브랜드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