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나라에서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 우드가 화이자를 팔고 모더나에 베팅해 눈길을 끈다. 모더나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의 출시가 속도를 내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캐시 우드가 이끄는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아크인베스트는 지난 8일(현지시간) 모더나 주식 17만2939주를 매입했다. 이달 종가(148.53달러)를 반영, 약 2600만 달러(약 330억원)에 이르는 규모다. 아크인베스트는 대신 화이자 주식 15만2823주를 팔았다. 이날 종가(53.47달러) 기준 820만 달러(약 100억원)어치다. 모더나는 올해 늦여름 출시를 목표로 코로나19 오미크로 변이 바이러스를 표적으로 한 백신 개발을 진행 중이다. 모더나가 지난 8일 공개한 임상시험 잠정 결과에서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과 기존 코로나19 백신을 결합한 '콤보' 백신 부스터샷(추가접종)이 기존 백신보다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437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시험에서 콤보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기존 백신과 비교해 1.75배 수준의 중화항체를 생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제약업체 모더나(Moderna)와 미국 국립보건원(NIH)가 공동으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특허를 둘러싸고 1년째 갈등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모더나와 NIH는 모더나 코로나19 백신(mRNA-1237)의 핵심 요소가 담긴 특허의 발명자로 누구의 이름을 등재할 것인지를 놓고 1년 넘게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mRNA-1237은 메신저 RNA 기술의 상용화에 성공한 백신으로 꼽힌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인체가 노출될 경우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세포에 가르치는 원리다. 모더나가 보유한 mRNA 전달 플랫폼 기술과 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IAID)에 소속된 연구진이 개발한 안정화된 SARS-CoV-2 스파이크 면역원을 결합해 개발했다. 모더나는 mRNA-1273 판매로 작년 150억~180억 달러(약 18조원~22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올해는 최대 220억 달러(약 27조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측의 갈등은 지난 2020년 8월 모더나가 코로나19 백신의 핵심 성분 mRNA 염기서열에 관한 실용특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제약사 모더나(Moderna)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한 특허 소송에서 패소했다. 이에 특허를 보유한 아버터스 바이오파마(Arbutus Biopharma)에 수천억원에 달하는 로열티를 물어줘야 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아버터스의 파트너십을 맺은 로이반트 사이언시스(Roivant Sciences)도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연방항소법원은 지난 1일(현지시간) 모더나가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아버터스가 보유한 특허를 무효화해 달라며 제기한 소송을 기각했다. 앞서 모더나는 지난 2018년 처음 아버터스 특허에 대해 미국 특허청(USPTO)에 무효 소송을 청구했는데, 당시 특허심판과 항소위원회는 아버터스의 손을 들어줬다. 연이은 승소로 아버터스가 모더나를 상대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로열티 지급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나온다. 로열티는 수천억원대로 예상된다. 모더나는 올해 150억~180억 달러(약 18조~21조원)의 백신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로이반트의 주가가 크게 뛰었다. 지난 1일 로이반트 주가는 34.09%나 급등했다. 해당 특허가 로이반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모더나가 메신저리보핵산(mRNA) 플랫폼을 활용한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이즈 원인 바이러스) 백신 2종의 임상시험 1상에 착수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로 폭풍 성장한 모더나가 또 한 번의 도약 모멘텀을 마련할지 주목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모더나는 이르면 내달 19일(현지시간) HIV 바이러스 후보물질 'mRNA-1644'와 'mRNA-1644v2-Cor'의 임상시험 1상을 시작한다. HIV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은 18~50세 성인 56명이 참여한다. 미국 프레드 허친슨 암연구센터와 텍사스 대학교 센안토니오 캠퍼스, 조지워싱턴 대학교, 에머리대학교가 임상에 협력한다. 국제에이즈백신이니셔티브(IAVI)가 후원한다. 모더나는 이번 임상으로 백신의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평가한다. 2023년 5월 1일 연구를 마칠 예정이다. 모더나는 2018년부터 HIV 백신 개발을 추진해왔다. 올해 2월 투자자 설명회에서 성인 48명에 HIV 백신 후보물질을 투여한 결과 47명이 항체를 만드는 B세포 수치가 목표 수준에 도달했다고 밝혔었다. 윌리엄 쉬프 스크립스연구소 면역학 교수는 mRNA 백신 플랫폼이 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AMD가 바이오 스타트업과 손잡고 신약 개발용 인공지능(AI) 분야로 컴퓨터 하드웨어 시장을 확대한다. AMD는 이번 협업을 통해 자사 AI 가속기가 신약 개발 분야에서도 경쟁사에 뒤떨어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는 것을 입증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AI 신약개발 스타트업 앱사이(Absci)는 11일(현지시간) AMD,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와 생성형 AI 기반 신약 개발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앱사이는 이전부터 OCI와 협력해 대규모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 엔드 투 엔드 항체 설계 등이 가능한 AI 약물 생성 플랫폼을 운영해왔다. 이번 AMD와 협력 관계 구축도 OCI와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협력 관계 구축에 따라 앱사이는 자사 생성형 AI 신약 개발 플랫폼에 OCI의 AI 인프라와 AMD의 최신 하드웨어를 활용하기로 했다. 특히 AMD의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인 인스팅트(Instinct™) MI355X를 도입하기로 했다. 인스팅트 MI355X는 지난 6월 공개된 최신 GPU로, 아키텍처가 CDNA 4로 변경되면서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갖추는데 성공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임상 케이스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뉴럴링크는 미국 밖에서도 최초의 이식 수술을 진행하는 등 임상 범위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뉴럴링크는 10일(현지시간) "전 세계적으로 뉴럴링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임플란트를 이식받은 환자가 12명"이라고 발표했다. 지난 7월 9번째 이식을 마무리한 후 40여일만에 3명의 임상 참여자가 늘어난 것이다. 뉴럴링크는 올해에만 9건의 이식 수술을 진행했다. 새로 추가된 임상환자 중 2명은 유나이티드 헬스 네트워크(UHN) 산하 캐나다 토론토 웨스턴 병원에서 8월 27일, 9월 3일에 각각 이식 수술을 받았다. 뉴럴링크는 지난해 11월 캐나다에서 CAN-프라임 임상 연구의 승인을 획득하며 임상참가자 모집을 시작했다. 특히 이번 캐나다 이식 수술은 미국 밖에서 진행된 최초의 뉴럴링크 임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나머지 한 명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뉴럴링크는 캐나다 외에도 아랍에미리트(UAE), 영국 등에서 임상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