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메리츠금융그룹의 계열사 메리츠대체투자운용이 투자한 미국 수도 워싱턴DC 소재 사무실 건물이 자본재조정(리캡·Recapitalization) 작업을 마쳤다. 미국 부동산 투자회사 록우드캐피탈은 1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요 오피스 권역에 있는 건물인 665뉴욕애비뉴(655 New York Avenue)의 자본재조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자본재조정은 인수금융 최초의 자본구조가 이후 재조달(리파이낸싱)을 통해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메리츠대체투자운용은 지난 9월 국내 기관투자자들과 부동산 펀드를 조성해 665뉴욕애비뉴의 지분 49%를 인수했다. 록우드캐피탈은 메리츠대체투자운용을 대신해 인수 작업을 진행했다. 구체적인 인수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 건물은 워싱턴DC 핵심 오피스 권역인 이스트엔드에 위치한 12층 규모 빌딩이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브룩필드프로퍼티가 2019년 준공했다. 브룩필드를 비롯해 유나이티드헬스케어그룹,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등이 임차해 있다. 임차율은 90% 이상이다. 이 빌딩의 가치는 8억 달러(약 9400억원)로 알려졌다. 메리츠대체투자운용은 2016년 설립된 부동산 전문 운용사다. 해외 부동산
[더구루=홍성환 기자] 메리츠금융그룹이 미국 뉴욕 맨해튼의 주요 업무지구에 있는 오피스 빌딩에 9000억원을 투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위축됐던 오피스 부동산 경기가 서서히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적극적으로 투자 기회를 찾는 모습이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금융 계열사 메리츠대체투자운용은 미국 부동산 개발업체 SL그린으로부터 맨해튼 미드타운 소재 '뉴스빌딩(The News Building)'의 지분 49%를 7억9000만 달러(약 9100억원)에 인수했다. SL그린은 지분 51%를 유지하며 이 건물의 관리·임대 업무를 계속 수행한다. 1930년 지어진 이 건물은 37층 높이의 오피스 빌딩이다. 과거 뉴욕에 기반을 둔 일간지인 뉴욕데일리뉴스가 본사로 사용했다. SL그린은 지난 2003년 이 건물을 매입했다. 현재 임대율은 93%, 가중평균임대기간(weighted average lease term)은 15년 이상으로 안정적인 임대 수익이 기대된다. 이번 지분 매매는 양사 간 네 번째 거래다. 메리츠대체투자운용은 앞서 지난해 9월에도 SL그린으로부터 뉴욕 사립대인 페이스대 복합건물 재개발 사업의 지분 80%를 인수한 바 있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차세대 미래 교통수단인 도심 항공 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UAM) 산업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 UAE는 정부의 정책 지원과 규제 혁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항공 택시 상용화에도 속도를 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코트라 두바이무역관 따르면 UAE는 두바이와 아부다비를 양축으로 UAM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두바이는 2026년 세계 최초로 상업용 항공 택시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인프라 구축에 돌입하는 등 UAE의 UAM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두바이 정부는 2023년 발표한 '자율주행 교통 전략(Dubai Autonomous Transportation Strategy)'를 토대로 UAM 생태계를 육성하고 있다. 해당 전략은 2030년까지 전체 교통량의 25%를 자율주행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교통사고 감소, 환경오염 완화, 운송 효율성 제고 등 지속 가능한 교통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두바이 자율주행 교통 전략의 핵심축 중 하나가 바로 UAM 도입이다. 이를 위해 두바이는 미국의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영국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고체전지 생산장비 기업이 올해 상반기에만 300억 위안(5조8500억원)이 넘는 주문 잔고를 기록했다. 차세대 배터리인 고체전지 개발 경쟁이 치열지고 혁신 공정 수요가 높아지며 장비 기업들이 호재를 맞았다. [유료기사코드] 6일 중국 증권일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고체전지 생산장비 기업의 신규·재고 주문 총액은 300억 위안을 돌파해 전년 대비 70~80%나 증가했다. 기업별로 보면 선도지넝(先导智能)은 신규 주문액이 124억 위안(약 2조4100억원)으로 1년 사이 70%나 뛰었으며 하이머싱(海目星)은 44억2000만 위안(약 8600억원)으로 117.5% 급등했다. 잉허커지(赢合科技)는 1분기 말 계약부채가 27억6000만 위안(약 54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였다. 리위안헝(利元亨)은 5월 말 기준 수주 잔액이 49억2100만 위안(약 9600억원)에 달했다. 고체전지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에너지밀도가 높고 안전성이 향상된 차세대 제품으로 불린다. 신에너지와 휴머노이드 로봇, 우주항공 등 다양한 응용처에 쓰일 수 있다. 시장 성장성이 높아 중국 기업들이 대거 개발에 뛰어들고 고체전지 상용화를 위해 새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