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샹(Li Auto)이 중국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충에 나선다. 리샹 전기차 고객들에게 우수한 충전 경험을 제공,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 제고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리샹은 2025년까지 중국 전역에 3000개 이상 수퍼차징 스테이션(Superchargin Station) 3000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는 순광민(Sun Guangmin) 리샹 부사장이 지난달 27일 열린 '차이나 EV100 포럼'(China EV 100 forum)에서 밝힌 내용이다. 순광민 부사장은 "중국 내 36개 국도를 따라 수퍼차징 스테이션을 설치, 접근성을 90%까지 늘릴 것"이라며 "전기차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가 됐다"고 말했다. 리샹은 충전 인프라 확충과 함께 전기차 출시도 기계획대로 이어간다. 이달 열리는 베이징 모터쇼에서 브랜드 두 번째 모델 'L9'을 공개한다. 1.5리터 터보 가솔린 엔진에 44.5kWh 용량 배터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버전으로 생산되는 L9은 레인지 익스텐더 시스템이 적용돼 12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할 전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샹(Li Auto)이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L9' 공개를 준비하고 있다. 레인지 익스텐더 시스템을 활용해 10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리샹은 내달 열리는 베이징 모터쇼에서 브랜드 두 번째 모델 'L9'을 공개할 예정이다. 공개일이 가까워지며 점차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차량 디자인과 성능 일부를 선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외관은 전형적인 대형 SUV 스타일이다. 리원(LI One)보다 더 큰 SUV로 보면 이해가 쉽다. 리원은 리샹이 지난해 출시한 중형 SUV 모델이다. L9의 크기는 △전장 5200mm △전폭 2000mm △휠베이스 3100mm로 메르세데스-벤츠 GLS보다 조금 작다. 고전적인 스타일을 추구하는 브랜드인 만큼 독창성에 매달리지 않고 기본에 충실했다. 굳이 독창성을 찾자면 앞유리 상단에 움푹 패인 공간인데 이곳은 라이다가 장착된 곳이다. 리샹은 라이다 업데이트를 통해 L9을 자율주행 레벨4 단계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L9에는 라이더 센서와 함께 5개의 레이더, 12개 이상 카메라와 12개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차 베이징 1공장' 유력 인수 후보인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샹(理想·리오토)이 미국에 이어 홍콩 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미·중간 무역전쟁이 신냉전으로 심화되면서 홍콩 증시 상장을 시도하는 중국 기업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리샹은 26일(현지시간) 홍콩증권거래소 상장 심사를 통과했다. 미국 골드만삭스와 중국국제금융공사 캐피탈이 공동주관사로 참여했다. 다만 구체적인 상장 시기와 규모는 이날 발표하지 않았다. 리샹은 웨이라이(蔚來·니오)와 샤오펑(小鵬·엑스펑)과 함께 중국 3대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꼽힌다. 중국 대표 IT업체인 텐센트와 알리바바, 메이퇀 등 핵심 주주다. 이미 지난해 7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다. 업계는 리샹의 이번 홍콩 증시 추가 상장이 미중 신냉전과 연관이 깊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과거 중국의 유망한 기술기업은 미국 증시 상장을 선호했으나 미중 경제전쟁으로 '홍콩 회귀'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 미국에 상장한 중국 기업의 회계 감독권을 두고 미중 양국 정부가 대립하면서 미국에 상장한 중국 기업의 상장 폐지 우려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리샹뿐 아니라 알리바바, 징둥,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테레스트리얼 에너지(Terrestrial Energy)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첨단 원자력 발전 시범 프로그램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 회사와 협력 중인 DL이앤씨의 수혜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에너지부(DOE)는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신규 원전 시범 프로그램을 공식 출범시키며 11개 사업자를 선정했다. 선정된 기업은 △알로 아토믹스(Aalo Atomics) △안타레스 뉴클리어(Antares Nuclear) △아토믹 알케미(Atomic Alchemy) △딥퓨전(Deep Fission)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 △오클로(Oklo) △나투라 리소시스(Natura Resources) △래디언트 인더스트리스(Radiant Industries) △테레스트리얼(Terrestrial Energy) △발라르 아토믹스(Valar Atomics) 등이다. 에너지부는 이들 11개 기업과 협력해 내년 7월까지 최소 3개의 시험용 원자로를 건설·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원전 테스트 절차를 간소화하고, 상업 인허가를 신속하게 추진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테레스트리얼은 2012년 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이 주력 거대언어모델(LLM)의 '100만 컨텍스트 토큰' 지원을 시작했다. 구글에 이어 앤트로픽까지 '장문(Long Context)' 처리 기술을 선보이면서, AI업계의 새로운 경쟁 포인트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앤트로픽은 12일(현지시간) 클로드 소네트4(Claude Sonnet 4)에서 최대 100만 개의 컨텍스트 토큰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LLM에는 컨텍스트 창 혹은 컨텍스트 길이라는 개념이 있다. 해당 개념은 LLM이 한 번에 고려하거나 기억할 수 있는 토큰 단위 텍스트의 양을 말한다. 이에 컨텍스트 창이 클수록 AI모델은 더 긴 질문을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더 많은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번 업데이트 전까지 클로드 소네트 4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는 최대 20만 토큰까지만 지원했다. 하지만 업데이트로 100만 개 컨텍스트 토큰을 지원하게 되면서 이용자는 최대 7만5000줄에 달하는 코드베이스를 단일 프롬프트로 입력해 처리할 수 있게 됐다. 확장된 컨텍스트 토큰 기능은 현재 앤트로픽 API와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에서 공개 베타 버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