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한·일 롯데가 세계 3대 제과시장인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점유율 '톱5'에 이름을 올렸다. 상위 5개 업체 중 국내 브랜드로는 롯데가 유일하다. 21일 시장조사기관 리포트링커(Reportlinker)가 발간한 보고서 '2025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제과 부문의 기회'에 따르면 롯데제과과 일본롯데는 지난해 아·태 지역 제과시장에서 점유율 6.4%로 5위에 올랐다. 미국 식품기업 마스 인코퍼레이티드(Mars Incorporated)가 점유율 14.3%로 1위를 차지했다. △몬델레즈인터내셔널(11.2%) △네슬레(7.1%) △페르페티 반멜레(6.8%) 등이 뒤를 이었다. 롯데는 껌과 캔디, 초콜릿과 스낵 부문에서 높은 판매고를 기록했다. 자일리톨 껌과 초코파이 등 기존 주력 제품은 물론 꼬깔콘, 크런키, 가나 등의 제품이 세계 각지에서 선전하며 사업 영토 확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최근 '캠페인 아시아 퍼시픽'이 선정한 '아시아에서 가장 좋아하는 제과 브랜드 순위'의 스낵와 캔디·초콜릿 부문에서 각각 5위와 9위에 오른 바 있다. <본보 2021년 9월 6일 참고 롯제제과·오리온, 아시아 제과 브랜드 '톱5'…비스킷·스낵 부문 ‘두각’
[더구루=김다정 기자] 롯데제과와 오리온이 아시아 제과 브랜드 '톱5'에 이름을 올렸다. 내수 시장을 벗어나 중국과 동남아 시장을 적극 공략하면서 글로벌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캠페인 아시아 퍼시픽'(Campaign Asia-Pacific)이 선정한 '아시아에서 가장 좋아하는 제과 브랜드 순위'에서 오리온과 롯데제과가 비스킷과 캔디·초콜릿, 스낵 부문에서 상위권을 차지했다. 특히 오리온은 지난해 9위를 기록했던 비스킷 부문에서 ‘초코칩 쿠키’ 등 주력 제품의 시장 확대에 힘입어 4단계 뛰어 올라 5위를 차지했다. 롯데제과는 스낵 부문에서 지난 보다 한 단계 상승한 5위를 기록했다. '꼬깔콘' 등 스낵 제품의 아시아 시장 확대 덕분이다. 롯데제과에 이어 오리온은 스낵 부문에서 전년 7위에서 6위로 한 단계 올랐다. 롯데제과는 캔디·초콜릿부문에서 '크런키'와 '가나' 등 초콜릿 제품 선전에 힘입어 9위에 올라 '톱10'에 처음 진입했다. 업계는 롯데제과와 오리온이 그동안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하면서 전년 대비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들 양사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한류 열풍 등을 타고 중국을 비롯해 인도, 중앙
[더구루=길소연 기자] 오리온과 롯데제과 길리안이 세계 초콜릿 브랜드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오리온의 경우 '초코파이'의 글로벌 판매에 힘입어 국내 브랜드 가운데 유일하게 9위를 차지했다. 이번 성과를 토대로 글로벌 인지도 상승에 따른 판매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랭킹 전문사이트 '더 리치스트 닷컴'이 집계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초콜릿 브랜드' 톱10에서 오리온은 9위를 기록했다. 오리온 간판 브랜드인 초코파이 글로벌 판매 상승세에 따른 것이다. 초코파이는 중국과 베트남, 러시아에서 큰 사랑을 받으면서 오리온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오리온 지난해 글로벌 매출 18억 달러(약 2조386억원)에 달한다. 글로벌 1위 초콜릿 브랜드는 미국 마스(Mars)가 차지했다. 마스 리글리는 초콜릿 가공품으로 마스바를 비롯해 스니커즈, 갤럭시, m&m 등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마스 리글리는 지난해 18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어 페레로 로쉐는 2위를 차지했다. 지난 1979년 설립된 이탈리아 브랜드 페레로 로쉐는 독특한 포장 디자인으로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국내에서는 매일유업이 이를 유통하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보이그룹 방탄소년단(BTS)이 찍은 롯데 자일리톨 광고가 일본 지상파 최초 방영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BTS가 출연하는 롯데 자일리톨 CM '스마일 티저'가 지난 18일(현지시간) 방송된 일본 NTV 음악방송 '뮤직 블러드'에 방영됐다. BTS가 뮤직블러드에 출연하면서 티저가 공개된 것. BTS는 이날 음악방송에서 신곡 '버터' 무대를 일본 최초 공개했다. BTS가 출연한 스마일 티저는 롯데 '자일리톨'의 글로벌 프로젝트인 '스마일 투 스마일 프로젝트(Smile to Smile Project)'의 광고 티저다. 스마일 프로젝트는 미소가 미소로 이어지는 글로벌 스마일 캠페인으로, 자일리톨은 BTS와 함께 전세계 아름다운 미소를 퍼뜨리는 활동을 이어간다는 취지로 진행됐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대만, 미국, 캐나다에서 전개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일본에서는 다음달부터 신곡 '버터(Butter)'를 배경음악으로 한 TV광고가 본격 방영된다. 한편, 롯데제과는 지난 5월 자일리톨의 광고 모델로 BTS를 발탁했다. 자일리톨은 앞으로 1년간 방탄소년단을 앞세워 '스마일 투 스마일 프로젝트'를 전개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롯데제과가 카자스흐탄 공장이 '롯데' 사명을 달고 처음으로 신제품을 출시, 고객몰이에 나섰다. 이를 통해 어린이 고객층부터 성인들까지 롯데제과 브랜드를 제대로 각인시킨다는 전략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 라하트 JSC는 카자흐스탄 어린이날을 맞아 '주믹스'(ZooMixx) 브랜드를 론칭했다. 출시 기념 프로모션도 개최했다. 카자흐스탄 △누르술탄 △샤임켄트 △카라간다 △악토베 등 알마티의 고리키 공원에 마련된 이 프로모션은 시민들 누구나 사진을 찍고 주믹스 마멀레이드를 선물로 제공받았다. 이날 프로모션에 뿌려진 주믹스 제품만 5만 포대에 달한다. 이번 프로모션은 롯데 라하트의 주믹스 브랜드 출시를 기념해 열렸다. 주믹스는 3세부터 15세까지를 주 소비층으로, 과일 기반의 동물성 젤라틴이 함유돼 맛의 풍미를 더한 구미 제품이다.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다양한 모양과 색깔, 맛을 더했으며, 할랄 기준 인증을 받았다. 주믹스는 롯데 꼬리표를 달고 내놓은 첫 제과 브랜드 제품이다. 앞서 롯데제과는 지난달 카자흐스탄 자회사 '라하트 JSC'의 사명을 인수 8년 만에 '롯데 라하트 JSC'로 CI(기업이미지)로 변경했다. <본보 2021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엑사이드 인더스트리(Exide Industries, 이하 엑사이드)가 현대자동차와 진행하는 전기차(EV)용 배터리 공동 개발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다. 현대차는 엑사이드 뿐만 아니라 인도 배터리 제조사 다수로부터 '메이드 인 인디아' 배터리를 공급받아 현지 공급망 체계를 지속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엑사이드는 최근 진행된 투자자콜에서 "자회사인 엑사이드 에너지와 현대차의 계약에 따라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엑사이드 에너지와 인도 전용 EV 배터리셀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12월에는 MOU의 연장선으로 구속력 있는 배터리 셀 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엑사이드 에너지로부터 계약서에 명시된 가격으로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엑사이드 에너지의 배터리 공급은 내년 초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현재 벵갈루루에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내년 1분기 중으로 해당 공장의 1단계 상업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공장의 1단계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이 파나마의 구리 광산 재가동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 광산은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공동 투자한 사업으로, 지난 2023년 11월부터 1년 5개월째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퍼스트 퀀텀은 코브레 파나마 광산 법인을 통해 파나마 정부를 상대로 제기했던 국제 중재 소송을 지난 달 자진 철회한 이후, 파나마 정부와의 협상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를 드러냈다. 최근 파나마 당국은 광산에 비축된 구리 정광 수출과 퍼스트 퀀텀이 운영 중이던 화력 발전소 재가동을 허용하는 방안을 두고 법적 논의를 시작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광산을 국가 자산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민관 파트너십 모델을 검토 중이다. 그는 "광산 영구 폐쇄에는 최대 15년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가 이미 보유한 광산으로부터 파나마 국민이 최대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환경 감사에서 시작된 광산 재검토는 재무적 측면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BMO 캐피털 마켓의 매트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