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비야디(BYD)의 배터리 사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비용 절감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가성비'의 비야디 배터리를 채택하는 사례가 늘면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비야디는 최근 테슬라, 포드, 토요타 등에 이어 기아차와 포드의 럭셔리 브랜드 '링컨'까지 배터리 고객사로 확보했다. 자회사 심천비야디리튬배터리와 푸디전지 등을 통해 배터리를 공급한다. 기아차와 링컨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열린 '2023 청두 국제 모터쇼'에서 비야디 배터리를 장착한 신차를 공개했다. 기아차는 리튬인산철(LFP), 링컨은 삼원계(NMC) 배터리를 각각 탑재했다. 기아차는 EV5 중국형 모델에 푸디전자에서 제조된 LFP 기반 블레이드 배터리를 적용한다. EV5는 기아차가 처음으로 중국에서 생산해 출시하는 차량이다. 링컨은 세단 라인업 'Z'에 이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노틸러스 하이브리드'에 심천비야디리튬배터리의 삼원계 배터리를 탑재키로 했다. 중국에서 생산한 모델은 미국으로도 수출될 예정이다. 비야디는 일찍부터 배터리 기술력을 인정받아 왔다. 중국 브랜드 뿐만 아니라 세계 완성차 업체들로부터 러브콜을 받아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토요타 자율주행부문 자회사 '우븐플래닛'이 플라잉카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우븐플래닛이 건설중인 실증실험 도시 ‘우븐시티’를 플라잉카의 허브로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제임스 커프너 우븐플래닛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우븐시티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플라잉카는 토요타 가문의 꿈"이라며 "언젠가 우븐시티가 일본과 세계 비행 모빌리티를 소개하는 지역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토요타는 이미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부문에 진출했다. 일본 항공모빌리티 스타트업 스카이드라이브(SkyDrive)에 투자했고 지난해 1월 미국 조비에비에이션(Joby Aviation)에 3억940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토요타 외에 다른 완성차 기업들도 플라잉카에 주목하고 있다. 혼다는 지난달 2030년까지 자체 eVTOL 상용화 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 역시 플라잉카로 일컬어지는 전기항공기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우븐시티는 우븐플래닛 산하 회사 중 하나인 우븐알파가 일본 후지산 자락에 짓고 있는 디지털 미래 도시다. 토요타 아키오 도요타 사장의 장남이자 우븐알파 대표인 토요다 다이스케가 총괄하고 있는 프로젝트다. 작년
[더구루=정예린 기자] 애플이 자율주행·전기자동차 '애플카' 개발을 위해 벤츠 출신 엔지니어를 잇따라 영입했다. 토요타 등 위탁생산할 파트너사 물색도 나서 애플카 출시 가시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전 벤츠 엔지니어 2명을 연이어 고용했다. 이들은 애플카 개발을 담당하는 부서로 알려진 특별 프로젝트 그룹(Special Project Group·SPG)에 소속으로 애플카 개발 계획이 담긴 '프로젝트 타이탄'을 담당한다. 새로 합류한 엔지니어 중 한 명인 안톤 유슬만은 애플에서 제품·설계 엔지니어로 근무한다. 유슬만은 벤츠와 포르쉐에서 스티어링 시스템 포함 주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등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벤츠에서는 프로젝트 관리는 물론 대량 생산도 이끈 바 있어 애플카의 실제 양산에 힘을 보탤 전망이다. 올해 초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폭스바겐, 닛산 등 생산 유력 후보로 떠올랐던 완성차 업체들이 줄줄이 '손절'하고 나선데다 인력 유출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올해만 최소 3명 이상의 SPG 소속 관리자급 직원이 퇴사한 바 있다. <본보 2021년 6월 3일 참고 '애플카' 로보틱스팀 리더, 애플과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토요타와 파나소닉의 배터리 합작사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솔루션(이하 프라임 플래닛)'이 내년 '반값 배터리'를 출시한다. 원가 경쟁력을 갖춰 고객사의 요구에 대응하는 한편 한국과 중국 기업들을 제치고 전기차 배터리 1위로 도약한다는 포부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프라임 플래닛은 최근 오는 2022년까지 배터리 생산 비용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25년 65~70%까지 줄이는 게 최종 목표다. 코다 히로아키 프라임 플래닛 최고경영자(CEO)는 공개적으로 CATL과 LG에너지솔루션을 겨냥했다. 그는 "우리는 중국과 한국의 라이벌을 따라잡고 추월할 것이며, 경쟁사보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기반은 거의 마련됐다"며 "전기차가 보급되기 위해서는 시장이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의 가격이 존재하는데 이를 충족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배터리를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프라임 플래닛은 원가 절감을 위해 소재 구매 비용을 줄이고 생산량을 늘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다. 우선 배터리 셀의 화학물질 표준화 등을 통해 생산 확대 및 간소화를 추진한다. 제조 단가를 최대한 낮추기 위해서다. 원재료 조달에서도 비용 효율화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이스라엘 남부 브엘세바(beersheba)에 위치한 연구개발(R&D) 센터를 확장한다. 엔비디아는 해당 센터를 이스라엘 남부 지역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글로벌 담배 기업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가 차세대 궐련형 전자담배 '플룸 오라(Ploom AURA)'를 루마니아에 정식 출시하며 유럽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를 위해 37억 유로(한화 약 5조 4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가열담배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