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이슬람 최대의 종교 행사인 라마단을 맞아 중동·아프리카(MEA) 시장에서 감성 브랜딩 캠페인을 전개했다. 브랜드 신뢰를 높이고 장기적인 고객 유대를 확보하기 위해 문화적 공감에 기반한 현지 밀착형 전략을 펼치는 모습이다. 7일 LG전자에 따르면 중동·아프리카(MEA)법인은 최근 '라이프스 굿 웬 쉐어드(Life’s Good When Shared·삶은 나눌 때 더 좋아진다)'라는 슬로건 아래 가족과 나눔의 가치를 담은 캠페인을 펼쳤다. 이 캠페인은 단순한 제품 홍보를 넘어 현지 문화와 생활 속 정서를 깊이 이해하고 존중하는 브랜드 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LG전자는 중동·아프리카 각국의 수백 명의 크리에이터와 가족들을 초청해 각자의 라마단 일상을 공유하도록 했다. 이들은 가족과 함께 이프타르(해가 진 후 식사)를 준비하고 추억이 담긴 레시피를 소개하며 단란한 저녁 식탁 풍경을 보여줬다. 이 과정에서 LG전자는 자사 제품을 전면에 내세우는 대신 조용히 가족의 삶을 편리하게 돕는 배경으로만 등장시켜 브랜드 존재감을 자연스럽게 녹였다. 캠페인의 반응은 뜨거웠다.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알제리 등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총 6100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캐릭터 기업 산리오가 2024년 중국 시장에서 '힐링 경제' 붐을 타고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멀티 지식재산권(IP) 확장과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MZ세대와 알파세대를 사로잡으며 성공 신화를 썼다는 분석이다. 7일 코트라 상하이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산리오의 2024년 중국 본토 총수익은 전년 대비 45% 증가한 7억6000만 위안(약 1440억원)을 기록했다. 산리오의 성장은 '힐링'을 중시하는 젊은 층의 감성 소비를 공략하고, 현지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IP 다원화와 맞춤형 전략을 펼친 결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산리오는 헬로키티 중심의 매출 구조에서 벗어나 쿠로미, 시나모롤 등 다수의 인기 캐릭터를 성공적으로 육성하는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시장 변화에 따른 리스크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능력도 확보했다. 또한 현지 플랫폼과의 협력을 통해 철저한 현지화 전략도 효과를 발휘했다. 산리오는 알리바바 그룹의 IP 플랫폼 알리위(阿里鱼)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알리위는 강력한 디지털 역량을 바탕으로 현지 맞춤형 마케팅과 특화된 콘텐츠 제작, 데이터 기반 고객 경험 제공 등 다방면에서 산리오 IP의 영향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샤오미가 자동차 사업 손실을 빠르게 줄이며 올해 하반기 흑자전환을 자신했다. 미국의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과 대규모 투자로 스마트 전기차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혀가는 모습이다. 7일 샤오미에 따르면 레이쥔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3일(현지시간) 열린 투자자 대회에서 올해 3~4분기께 자동차 사업 부문이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해당 부문의 영업 손실은 5억 위안(약 946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감소하며 정상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 1분기 샤오미의 스마트 전기차, 인공지능(AI) 등 혁신 사업 부문 매출은 186억 위안(약 3조5178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16.71%를 차지했다. 이중 스마트 전기차 매출은 181억 위안으로 전 분기 대비 10.7% 증가하며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샤오미는 오는 7월 첫 SUV 모델인 'YU7'을 양산할 계획이다. YU7은 고급 고성능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 포지셔닝됐으며, 가격은 아직 미정이다. 샤오미는 하드웨어 부문에서 장기적으로 5% 내외의 이익률을 유지하는 방침을 고수한다는 방침이다. 샤오미는 올해 연간 자동차 인도량 35만 대 달성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새로운 '단일시장전략'과 네 번째 '옴니버스(Omnibus IV)'를 동시에 발표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새로운 규제 해소안을 통해 회원국 간 시장 장벽을 허물어 기업 환경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7일 코트라 브뤼셀무역관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단일시장 저해 장벽 제거 △규제 간소화 △디지털화를 골자로 한 단일시장전략을 발표했다. 또한 '중견기업(Small mid-cap, SMC)'이라는 새로운 기업 분류를 만든 옴니버스 4도 공개했다. 단일시장전략의 핵심은 행정 절차의 디지털화다. EU는 종이 기반의 절차를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해 적합성 선언과 자격 인정 절차, 기업 인증 서비스 등을 디지털화할 계획이다. 특히 EU 에코디자인 규정을 통해 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물리적 제품과 서비스에 '디지털제품여권(DPP)'을 도입할 예정이다. DPP에는 제품과 안정성 관련 정보, 적합성 선언서, 설명서 등이 포함된다. EU 집행위원회는 DPP 기술적 구현을 위해 내년 2분기 중으로 새로운 입법 체계(New Legislative Framework)를 제안할 예정이다. 옴니버스 4의 가장 큰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5월 스페인 시장에서 질주했다.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이상 급증한 판매고를 기록, 올해 들어 월간 기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하이브리드·전기차 라인업 확장과 SUV 인기 모델 판매 증가가 맞물린 결과다. 기아는 전동화 모델을 내세우며 현지 시장에서 브랜드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7일 스페인자동차제조협회(ANFAC)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스페인에서 총 6796대를 판매, 월간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월(5124대) 대비 26% 증가한 수치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6위, 시장 점유율은 6%를 기록했다. 올들어 5월까지 판매량은 2만7673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했다. 점유율은 5.9%로 집계됐다. 기아의 실적은 대표 SUV 모델인 스포티지가 견인했다. 지난달 한 달간 1565대가 판매됐다. 기아 소형 전기 SUV EV3 역시 높은 수요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출시 이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EV3는 지난달 512대를 판매, 베스트셀링 전기차 '톱3'에 올랐다. 현대차는 지난달 6835대를 판매하며 브랜드 판매 순위 5위에 올랐다. 전년(6473대) 대비 6.2% 상승,
[더구루=김명은 기자] 미스토홀딩스(옛 휠라홀딩스)가 휠라(FILA)를 내세워 일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휠라는 현지 대형 유통 채널인 ABC마트와 손잡고 브랜드 캠페인 모델인 에스파의 '닝닝' 앞세워 2025년 봄/여름 시즌 한정 스니커즈 컬렉션을 선보이며 브랜드 영향력 확대에 나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ABC마트는 최근 휠라의 2025년 봄/여름 시즌 모델인 4인조 걸그룹 에스파의 닝닝이 선정한 스니커즈 컬렉션을 론칭했다. 닝닝이 4개월 연속으로 스니커즈를 착용한 화보도 함께 공개했다. 이번 협업은 휠라의 시즌 캠페인 '웨이비 데이'(WAVYDAY) 시리즈의 일환으로, 닝닝이 착용한 새로운 스니커즈 제품 'FILA WAVYDAY'와 'FILA WAVYDAY MJ'가 동시에 공개됐다. 각각 제4탄과 제5탄에 해당하는 이 시리즈는 ABC마트를 통해 일본 전역에 소개되며, 웹 무비와 화보도 함께 선보인다. 닝닝의 감각적 스타일을 담은 '웨이브 데이' 시리즈 'FILA WAVYDAY'는 유려한 곡선의 디자인과 트렌디한 컬러 배색이 돋보이는 제품으로, 캐주얼한 분위기와 세련된 실루엣을 동시에 갖췄다. 이어서 공개된 'FILA WAVYDAY MJ'는 같은
[더구루=이연춘 기자] GC녹십자 미국 관계사 큐레보(Curevo Vaccine)가 대상포진백신 ‘아메조스바테인(Amezosvatein, 프로젝트명:CRV-101)’의 임상 2상 확장 연구에서 첫 환자 등록을 완료했다. 7일 큐레보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기존에 진행된 2상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됐으며, 3상 진입 전 최적 용량 확정을 위한 단계다. 연구에는 규제 당국과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이 반영됐다. 큐레보 연구진은 만 50세 이상 성인 640명을 대상으로 아메조스바테인 또는 기존 상용 백신인 ‘싱그릭스(Shingrix®)’를 투여해 면역원성, 이상반응,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특히, 만 70세 이상 고령층도 주요 모집 대상에 포함돼 고령층 대상 백신 효능 및 안전성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큐레보의 최고 의료책임자(CMO) 가이 드 라 로사(Guy De La Rosa) 박사는 “아메조스바테인이 대상포진 백신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온 연구진의 노고에 감사하다”며, “임상에 참여한 여러 연구기관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아메조스바테인에 대한 기대감 역시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지 시몬(George Simeon
[더구루=이연춘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말레이시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지난 1월 현지 파트너사 ‘스트림 엠파이어 홀딩스(Stream Empire Holdings)’와의 마스터 프랜차이즈(MF) 계약 체결 이후 첫 번째 매장을 오픈한다. 7일 CJ푸드빌에 따르면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에 신규 매장인 ‘뚜레쥬르 선웨이 피라미드점’을 연다. ‘뚜레쥬르 선웨이 피라미드점’은 쿠알라룸푸르 중심가에 위치한 대형 복합 쇼핑몰 선웨이 피라미드 2층에 약 60평 규모로 위치했다. 특히 뚜레쥬르의 고품질 제품들을 엄선해 선보이는 프리미엄 베이커리 카페형 공간으로 구성하여 말레이시아 시장에서도 K-베이커리 대표 주자로서의 아이덴터티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뚜레쥬르는 말레이시아 시장에서도 토탈 K-베이커리를 콘셉트로 K-베이커리 본연의 빵과 케이크를 다양하게 선보인다는 구상이다. 국내외에서 오랜 기간 인기가 입증된 패스트리, 생크림 케이크 등의 스테디셀러 제품 뿐만 아니라 현지 고객들의 수요와 선호도를 반영해 식사빵을 활용한 샌드위치, 음료 등으로 탄탄한 라인업을 갖췄다. 특히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도네시아에서 뚜레쥬르가 성공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더구루=이연춘 기자] K-주류 문화를 선도하는 골든블루가 세계 3대 주류 품평회 중 하나인 ‘2025 벨기에 몽드셀렉션(Monde Selection)’에 참가해 출품한 전 제품이 수상했다. 7일 골든블루에 따르면 올해 △골든블루 쿼츠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 △팬텀 디 오리지널 리저브 △팬텀 디 오리지널 17 등 총 5종을 출품했다. 이 중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는 최고 등급인 최우수금상(Grand Gold)을 수상하며 품질을 인정받았다.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는 몽드셀렉션에서 올해까지 총 5회의 그랑 골드를 받았다. 이외에도 미국, 영국 등 주요 국제 품평회에서 꾸준히 수상하고 있는 ㈜골든블루의 대표 제품 중 하나다. 이번 품평회에서 주목받은 제품은 골든블루가 지난해 말 새롭게 출시한 ‘골든블루 쿼츠’다. 올해 몽드셀렉션에 처음으로 출품한 ‘골든블루 쿼츠’는 금상(Gold)을 수상하며 제품력과 브랜드 우수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골든블루 쿼츠’는 36.5도의 부드러운 도수와 합리적인 가격대를 기반으로 위스키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된 제품이다. 특히 위스키의 음용 트렌드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
[더구루=홍성환 기자] 고령화로 인해 경제성장률, 실질금리, 금융기관 건전성이 모두 악화하면서 통화정책의 효과를 제약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8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초고령화에 따른 통화정책 여건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한국은 지난해 12월 65세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지금의 속도가 유지되면 2045년 일본을 제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된다. 우리나라 실질금리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완만한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저축률이 감소세로 전환되는 2060년께 반등해 장기균형 수준(0.1%)에 수렴할 전망이다. 인구 고령화와 생산성 하락만으로 경제 성장률은 2040년대 1% 미만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미래 대비 저축 증가와 자본의 한계생산성 저하, 노동 투입 감소 등 때문이다. 고령화는 금융 안정 측면에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OECD 국가 7000여개 은행의 1997∼2023년 자료 등을 토대로 추정한 결과, 노년부양비(생산가능인구 100명에 대한 65세이상 인구 비율)가 1%포인트 오르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 비율은 0.64
[더구루=진유진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시중은행들이 예금금리를 잇따라 낮추는 반면, 대출금리는 되레 오르고 있다. 7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연 2.55~2.85% 수준으로, 모두 3% 밑으로 떨어졌다. 19개 은행 중 금리가 3% 이상인 상품은 Sh수협은행의 'Sh첫만남우대예금(3.1%)'이 유일하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29일 기준금리를 인하한 직후, 은행권은 예금 금리를 일제히 내렸다. 농협은행과 SC제일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이 잇따라 수신금리를 0.25~0.3%포인트 낮췄다. 반면 대출금리는 오히려 올랐다. 케이뱅크는 지난 2일부터 아파트담보대출(아담대) 고정·변동형 가산금리를 0.29%포인트, 전세대출 가산금리를 0.34%포인트 각각 올렸다. 기존 3% 중반대였던 대출금리는 3% 후반대로 올라섰다. 같은 날 국민은행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형 상품 가산금리를 0.04%포인트, 우리은행은 주기형·변동형 주담대 금리를 0.05~0.06%포인트 인상했다. 이 같은 '대출 옥죄기'는 다음 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
[더구루=정등용 기자] 프랑스 명품 브랜드 샤넬이 올해 중국 유통망을 확충한다. 지난해 중국 시장 실적 부진을 극복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7일 패션 산업 전문 매체 ‘보그 비즈니스(Vogue Business)’에 따르면, 리나 네어 샤넬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은 럭셔리 생태계에서 가장 활기차고 중요한 시장 중 하나”라며 “올해 중국에서 15개 부티크 매장을 오픈할 것”이라고 말했다. 15개 부티크 매장은 난징과 청두 등에 들어선다. 이를 계기로 샤넬은 신(新) 1선 도시와 2·3선 도시를 중심으로 유통 채널을 확대한다. 샤넬은 이미 중국에 20개의 부티크 매장과 4개 살롱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에르메스(35개)와 루이비통(60개) 등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유통 채널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가 많다. 그동안 명품 업계의 ‘큰손’으로 평가됐던 중국 시장에서의 실적 부진도 유통 확대에 한 요인이 됐다. 샤넬은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매출 187억 달러(약 25조8200억원), 영업이익 44억7900만 달러(약 6조1820억원)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해 매출은 4.3%, 영업이익은 30%나 감소했다. 특히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감소한 건 코로나
[더구루=정예린 기자] 폴란드군이 국내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공급한 K239 천무 기반 폴란드형 다연장로켓 '호마르-K' 관련 교육을 받은 비하인드가 인터뷰와 공식 영상으로 공개됐다. 이번 훈련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WB일렉트로닉스, 우리 군이 공동으로 주관한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으로, 양국 방산 협력 강화와 폴란드군의 첨단 무기 운용 역량 제고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폴란드 국방부 공식 군사 전문지 '폴스카 즈브로이나(Polska Zbrojna)'에 따르면 제1지역 군수기지(1.Regionalna Baza Logistyczna) 소속 토마시 쿠친스키 소령을 비롯한 폴란드군은 지난 5월 파주 제1포병여단에서 2주간 K239 천무 운용·정비 교육을 수료했다. 이번 훈련은 폴란드군이 한국산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배운 첫 공식 프로그램이었다. 교육은 영어로 진행되며 동시통역이 제공됐고, 우리 군 소속 K239 천무 훈련센터 및 포병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했다. 특히 △고장 대응 △기본 정비 △발사 시스템 이해 등 운용 현장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훈련에 참여한 병력은 예상되는 대부분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테크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 시대를 이끌었던 애플이 중대한 기로에 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플이 그동안 금융 전략을 앞세워 몸값을 높여왔지만, 앞으로 생존을 위해서는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경제매체 CNBC의 유명 방송인 짐 크레이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애플의 성장이 정체되고 있다며 비판했다. 짐 크레이머는 "현재 애플은 스마트폰 생태계 지배력과 풍부한 현금을 바탕으로 견고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주가는 정체된 상태"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애플의 주가는 지난해 12월 31일 종가기준 주당 250.42달러였지만, 최근에는 주당 210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가 20% 가까이 하락한 것. 반면 경쟁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는 421달러에서 20% 가까이 성장해 500달러선을 넘어섰으며, 메타도 585달러에서 730달러선을 돌파하며 전고점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심지어 S&P 500 지수도 올해 7% 가까이 상승했다. 크레이머는 애플의 자사주 매입 의존과 AI 경쟁에서 뒤처진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짐 크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