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싱가포르의 항공사 에브플라이(EvFly)가 영국 스카이플라이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악스(Axe)'를 도입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에버플라이는 스카이플라이 악스에 대한 건조의향서(LOI)를 서명했다. 에버플라이는 2024년에 인도될 예정인 악스에 대한 보증금을 지불할 예정이다. 먼저 3대의 악스를 구매하고, 추가로 5대를 옵션으로 도입한다. 에버플라이는 eVTOL 항공기의 잠재적 유용성을 입증하고 미래 상업 운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며 차세대 eVTOL 조종사 교육을 시작할 예정이다. 태국에서 eVTOL 운영을 시작하고, 나머지 아시아 지역에서 운영에 나선다. 악스는 주로 민간 항공기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업용 에어 택시로 설계되지 않았지만 악스의 주문으로 2인승으로 인해 비행 훈련 시장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서 스카이플라이는 2인승 eVTOL 악스를 공개했다. 악스는 수직 비행이 가능하지만 회전하는 엔진이나 회전하는 날개가 없다. 대신 모터가 고정된 각도로 되어 있어 무게와 복잡성을 줄이고 안전성과 강도를 향상시킨다. 경쟁자보다 더 긴 비행거리를 제공하고 안전을 위해 활공 착륙을 허용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이 출자한 스타트업 위스크 에어로(Wisk Aero)와 함께 미국 도시 항공 모빌리티 운영 개념을 정의했다. 5세대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를 영국과 호주에서 공개한 데 이어 미국에서 도심항공교통(UAM)을 배치하고 통합하기 위한 권장 사항을 포함한 운영개념을 발표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과 위스크 에어로는 최근 미국 도시 항공 모빌리티 서비스를 영공에 통합하기 위한 운영 개념을 정의했다. 보잉과 위스크는 코놉스(ConOps)로 UAM을 설립하고 국가 영공에 통합하기 위한 주요 이해 관계자들의 개요를 설명했다. 안전하고 자율적인 eVTOL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인프라에 대한 요구사항을 나열한다. 무인 UAM 항공기와 타사 서비스 공급자, 수직항 관리, 공역 인프라에 대한 주요 원칙을 다룬다. 고도로 자동화된 UAM 작업에 대한 대중의 수용을 시장 규모를 확장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정의한다. 개리 가신 위스크 에어로 최고경영자(CEO)은 "코놉스는 미국과 세계 UAM의 발전에 발판을 제공한다"며 "국가 영공에서 UAM을 활성화하기 위한 비전과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해운 선사인 스위스 MSC가 이탈리아 철도 회사 FS그룹과 손을 잡고 물류 시너지를 극대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MSC는 FS그룹과 함께 이탈리아에서 해상과 철도 서비스의 통합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구현한다. 이를 위해 양사는 지난 1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서명식에는 루이지 페라리스(Luigi Ferraris) FS그룹 최고경영자(CEO)와 지안피에로 스트리시울리오(Gianpiero Strisciuglio) 이탈리아 국영 철도 시스템 자회사 머시탈리아 로지스틱스 CEO, 지앙루지 아폰테(Gianluigi Aponte) MSC 그룹 회장, MSC 최고 물류 책임자이자 MEDLOG의 사장인 주세페 프루덴테(Giuseppe Prudente)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터미널 관리와 복합 운송 네트워크, 철도 서비스의 공동 개발 가능성을 평가한다. 동시에 자산과 장비 공유에 대한 잠재적 협력을 검토한다. 루이지 페라리스 FS그룹의 CEO는 "MSC와의 MOU 체결은 시스템 운영자로서 전략을 강화하고 물류 체인을 따라 입지를 강화함으로써 철도 운송을 300/400km 이상의 거리에 걸
[더구루=길소연 기자] 싱가포르 선주사 이스턴퍼시픽해운(EPS)이 현대미포조선이 건조하는 컨테이너선을 용선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EPS은 미국 선주사 크롤리(Crowley)로부터 4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공급 컨테이너선에 대한 장기 용선 계약을 체결했다. 1400TEU급 피더 컨테이너 선박은 크롤리의 중미 무역 서비스에 사용된다. 시릴 뒤코(Cyril Ducau) EPS CEO는 "평판 좋은 파트너와 장기 계약을 통해 미국 시장을 개척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신조선은 인도되면 5년 앞서 국제해사기구(IMO) 2030을 준수하며 세계와 산업이 청정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신조선은 울산 현대미포조선에서 건조된다. 현대미포조선은 최근 미국 선주사 크롤리(Crowley)와 14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LNG 추진 컨테이너선 4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컨테이너선 계약에는 옵션 2척이 포함돼 추가 수주도 기대된다. 컨테이너선은 길이 170m, 너비 27.6m, 높이 15m 규모이다. 2025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선주 측에 인도될 예정이다. 선박에는 LNG 이중연료 추진엔진이 탑재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항공동맹 스카이팀(SkyTeam)이 시드니에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둔 라운지를 재오픈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스카이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호주 시드니에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둔 프리미엄 라운지를 오픈했다. 승객 수요가 빠르게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오면서 프리미엄 라운지 디자인과 편의 시설을 업그레이드해 재개장했다. 시드니 킹스포드 스미스 공항(SYD) 국제선 터미널에 위치한 스카이팀은 파트너 항공사와 함께 여행하는 고객을 위한 라운지 서비스를 새롭게 단장했다. 이곳은 대한항공 포함 중국항공, 델타항공, 가루다인도네시아, 베트남항공, 샤먼항공 등 18개 회원사 승객이 이용할 수 있다. 재설계된 라운지는 지속 가능성과 웰빙, 승객 편의 시설에 중점을 두고 완전히 재설계됐다. 푸르름과 천연 목재, 부드러운 색조가 풍부한 차분한 공간으로 장거리 비행 전 휴식을 취하기에 이상적이다. 라운지에는 149개 좌석과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그린가드(GREENGUARD) 인증 재료를 사용한다. 지붕을 씌운 메인 활주로에서 천장까지의 경치를 즐길 수 있으며, 탑승 전 마지막 순간 이메일과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용 비즈니스 공간도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글로비스가 인도 해운사 오션팔(OceanPal Inc)의 선박을 벌크화물 운반용으로 한 달가량 빌려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는 오션팔 자회사와 케이프사이즈(Capesize) 드라이벌크 벌티모어(m/v Baltimore) 인도 후 정기 전세 계약을 체결했다. 용선 기간은 35일 안으로, 전세 요금은 1일 1만5000달러이다. 제3자에게 지급되는 5%의 수수료를 뺐다. 용선 기간이 40일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 날짜마다 하루 미화 1만8000달러를 제공한다. 여기에도 제3자에게 지불되는 5%의 수수료가 제외된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오션팔 자회사와 선박 용선 계약 맺은 것"이라며 "선박은 벌크화물 운반용 쓰인다"고 말했다. 볼티모어 선박은 예정된 기간 동안 용선으로 60만 달러(약 8억4500만원)의 총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박은 2005년 17만7243DWT 케이프사이즈(cape size) 벌크선으로 건조됐다. 오션팔 자회사와 지난 6월 구매 합의했다. 오션팔은 선박 소유를 통해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제공업체이다. 선박은 현재 철광석, 석탄, 곡물 등 기타 자재와 같은 상품을 포함한 다양한 건화물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이 미 해군 임무 요구 사항 충족하는 EA-18G 항공기를 지원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보잉은 해군과 EA-18G 항공기를 지원하기 위해 5200만 달러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2025년 9월까지다. 계약 조건에 따라 보잉은 EA-18G 항공기에 대한 해군의 임무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최종 51개의 고급 능력 임무 컴퓨터 개조 키트를 조달한다. EA-18G 그라울러는 전투에서 입증된 F/A-18F 슈퍼 호넷의 변형으로, 현재 생산 중인 유일한 플랫폼이다. 전 세계 미군과 동맹국에 전술 방해 전파와 전자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2010년부터 미국과 전 세계 연합군이 전투에 배치했다. 보잉은 2012년도 3월 미 해군에 EA-18G 첫 항공기를 인도한 뒤 2014년 5월에 100번째 EA-18G 그라울러를 인도했다. 미 해군은 향후 수십 년 동안 고위협 임무 동안 모든 타격기를 보호하기 위해 고급 그라울러 기능에 계속 투자하고 있다. 보잉은 전투로 입증된 항공 우주 프로그램과 관련 서비스로 미 국방부로부터 주문을 확보하고 있다. 국방, 우주, 보안 부문의 포트폴리오로 F/A-18E/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스페인관광청과 손잡고 관광객 유치에 나선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 20일 스페인 관광청 투레스파냐(Turespaña)와 스페인 관광지와 제품 등을 한국에서 공동으로 홍보하기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MOU 서명식은 페르난도 발데스(Fernandez Valdés) 스페인 관광차관과 투레스파냐 총책임자인 미구엘 산즈(Miguel Sanz), 박요한 대한항공 상무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기예르모 커크패트릭 주한 스페인 대사와 제이미 알레한드레 한일관광부 장관도 참석했다. 박요한 대한항공 상무는 "스페인과의 협정이 코로나19 펜데믹 이전에 스페인과 한국 간 직접적인 연결 회복에 기여할 공동 판촉 활동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투레스파냐(Turespaña)는 전 세계에 스페인을 목적지로 마케팅하고 관광 부문의 가치를 창출하는 책임이 있는 국가 관광 기관이다. 투레스파냐는 "스페인으로의 관광객 흐름을 개선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공동 판촉 활동 개발에 전념한다"며 "스페인을 목적지로 홍보하고 스페인 제품과 관광 경험의 포지셔닝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대한항공이 스페인과의 MOU 협정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 에어택시 제조업체 릴리움(Lilium)이 전기 수직 이착륙항공기(eVTOL) 상용화에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글로벌 빅데이터 기업인 미국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와 맞손을 잡았다. [유료기사코드]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릴리움과 팔란티어는 eVTOL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팔란티어는 릴리움이 개발 중인 릴리움 제트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할 예정이다. 독일에 기반을 둔 릴리움은 eVTOL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미국 조비에비에이션 등과 함께 에어택시 분야의 선두주자로 꼽힌다. 지난 2017년 2인승 eVTOL의 시험 비행을 마쳤고 2019년에는 5인승 제품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현재 7인승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오는 2025년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다. 릴리움 제트는 달걀 모양의 항공기 선실에 4개의 날개가 달려 있는 제트 비행기다. 날개에는 모두 36개의 전기 제트엔진이 장착돼 있다. 다른 경쟁사의 eVTOL와 달리 달리 비행기 꼬리, 항공기 방향타, 프로펠러, 기어박스 등이 없다. 시속 175마일(약 280㎞)의 속도로 날 수 있으며 155마일(약 250㎞)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보잉이 앞으로 20년간 중동지역 항공사에 3000대가 넘는 항공기를 판매할 것이라는 장미빛 전망을 내놨다. [유료기사코드] 보잉은 19일(현지시간) 20년 동안 7650억 달러(약 1062조원)에 달하는 3000대의 상업용 제트기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항공기 납품 외 유지보수와 수리 같은 애프터마켓 상용 서비스만 2750억 달러(약 383조원) 규모에 달한다. 보잉은 20년 수요 예측 '2022년 보잉 상업 시장 전망(CMO)'에서 추정치를 이같이 밝히고, 증가하는 여객 수송과 화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중동 지역 항공기를 3400대로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보잉 CMO는 글로벌과 지역 분석을 포함해 상업용 항공 교통과 항공기 수요에 대한 장기 예측이다. CMO는 1961년부터 항공 여행의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업계 표준으로 매년 항공사, 공급업체, 항공 커뮤니티에 가치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랜디 헤이시(Randy Heisey) 보잉 중동·아프리카 상업 마케팅 상무이사는 "국제 여행자와 무역의 인기 있는 연결 지점인 중동 지역은 비즈니스 및 레저 승객의 출발지이자 목적지로 성장하고 있다"며 "이 지역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가 이란 위성 서비스를 위해 제재 면제를 추구한다. 이란 내 여성이 히잡 미착용으로 구금된 뒤 발생한 사망 사건을 토대로 인권을 알리기 위해 이란 위성 서비스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는 20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란에서 스타링크(Starlink) 위성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란에 대한 제재 면제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스타링크는 머스크가 설립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인터넷 서비스다. 머스크는 이란에서 스타링크 위성 광대역 서비스 제공을 계획한다. 스타링크가 면제를 요청할 국가를 명시하지 않았지만 이란은 서비스가 쉽지 않자 제재 면제를 요청한다. 머스크는 성명을 통해 "이란에서 경찰 구금 중 한 여성의 죽음에 대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며 "위성 기반 인터넷 방송국을 제공할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머스크가 이란 위성 기반 인터넷 방송국을 요청한 이유는 경찰 구금 중 한 여성의 죽음 때문이다. 앞서 이란 여성 마흐사 아미니(22)는 최근 히잡을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테헤란에서 경찰에 체포된 뒤 조사를 받다가 쓰러져 병원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영국 위성 인터넷 서비스 기업 '원웹(OneWeb)'이 추가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 그룹 차원에서 우주·위성 사업 육성에 전력을 쏟고 있는 한화의 추가 투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재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원웹은 통신망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수십억 파운드를 모금할 계획이다. 자금 모금 계획이나 규모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웬웹은 추가 자금 조달을 통해 젠(Gen) II로 알려진 2세대 출시 비용에 투입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내달 공개될 예정이다. 원웹의 추가 자금 조달 계획에 한화가 참여할지는 미지수다. 앞서 원웹은 세계 3대 통신위성 기업인 유텔샛(Eutelsat)에 인수하기로 했다. <본보 2022년 7월 25일 참고 [단독] 한화시스템 '원웹 투자' 대박치다...세계 3대 통신위성기업 '유텔샛' 인수 추진> 한화시스템을 포함해 원웹의 기존 주주들은 원웹·유텔샛 합병기업이 발행하는 신주를 배정 받기로 했다. 원웹 기업가치는 34억 달러(약 4조4500억원)로 평가됐으며 합병 후 유텔샛과 원웹의 기존 주주는 각각 새로운 회사의 지분 50%를 보유하게 된다. 유텔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급여 지침이 공개됐다. MS에서 근무하는 신입 엔지니어의 연봉이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MS는 레벨 57(초급 엔지니어) 직원에게 8만3000달러부터 12만4600달러(약 1억7320만원) 범위에서 급여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내용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MS의 급여지침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MS의 엔지니어는 레벨 57부터 70까지 직원 등급을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레벨57부터 59까지는 초급 엔지니어를 뜻하며, 레벨 63부터는 선임엔지니어급이다. 레벨 65에 도달하면 수석엔지니어로 분류되고 레벨 68은 파트너가 된다. 최종적으로 레벨 70에 도달하면 특출난 엔지니어(Distinguished engineers)가 돼 상당한 대우를 받는다. 선임엔지니어가 되면 기본 연봉은 14만5000달러(약 2억원)부터 시작되며, 수석엔지니어는 17만2800달러(약 2억4000만원)부터 연봉이 시작된다. 최고 등급인 레벨 70에 도달하면 기본 급료는 25만2000달러(약 3억5000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칩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벤치마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ARM 칩이 윈도우에서 실제 구동된 첫 사례로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노트북용 칩 시장에 도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시스템온칩(SoC) 'N1X'가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데이터베이스에서 포착됐다. 해당 테스트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N1X는 720p 기준 4286점을 기록했고 평균 프레임은 71이었다. 벤치마크 점수는 RTX 2060과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낮았지만, 이번 GPU 성능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하나로 통합된 시스템온칩(SoC)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정상 작동한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ARM 아키텍처는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으로 쓰였고, 윈도우 운영체제를 공식 지원하는 ARM 칩도 일부 퀄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