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영국 광산 기업 '마룰라 마이닝(Marula Mining, 이하 마룰라)'가 탄자니아에서 흑연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아프리카 전역에서 주요 광물 채굴을 추진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인도네시아 광산 기업 '프리포트(PTFI)'의 구리 목표 생산량이 공개됐다. 당국의 승인 하에 채굴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 생산량을 끌어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사우디아라비아와 태국이 비료의 핵심 원료 중 하나인 칼륨을 개발하기 위한 협력을 추진한다. 칼륨 생산을 통해 사우디는 비료 산업을 강화하고 태국은 동남아시아의 전략적 비료 생산 기지로 자리 잡는다는 계획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태국 정부는 최근 정체된 칼륨 채굴 사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사우디 제조업체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앞서 세타 타위신 태국 총리는 수년간 권리를 보유하고도 영업을 시작하지 못한 세 개의 칼륨 채굴 업체에 대해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도록 지시했다. 세 업체 중 한 곳은 8년 동안 아무런 진전 없이 사업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두 곳은 광산 운영을 위한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핌파트라 위차이쿨 태국 산업부 차관은 칼륨 채굴에 관심 있는 사우디 투자자들이 다음달 태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핌파트라 차관은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린 미래 광물 포럼에 참석해 태국 칼륨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브리핑 한 바 있다. 핌파트라 차관은 “사우디가 자국의 요소 광산을 보완하기 위해 태국에서 칼륨을 채굴하는 데 큰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사우디 정부 관계자들
[더구루=정등용 기자] 남미 자원부국으로 평가 받는 볼리비아가 희토류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새로운 희토류 원소 매장지를 발견한 가운데 향후 수출 광물 목록에 희토류를 추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볼리비아가 중국 컨소시엄과 리튬 추출을 위한 협력을 진행한다. 리튬 산업화를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리튬 사우스 디벨롭먼트 코퍼레이션(Lithium South Development Corporation, 이하 리튬 사우스)'이 아르헨티나 살타주에서 진행 중인 리튬 개발 프로젝트에 진전을 보였다. 일부 구역은 목표했던 시추 깊이에 다달았다. 예비경제성평가(PEA) 결과도 곧 발표된다. 리튬 사우스는 18일(현지시간) 옴브레 무에르토 노르테 리튬 프로젝트(Hombre Muerto North Lithium Project, 이하 HMN 프로젝트)의 현황을 공유했다. 먼저 HMN 프로젝트의 가장 큰 채굴 구역인 알바 사브리나에서 340m 깊이까지 뚫어 모래와 깨진 암석을 확인했다. 구멍이 크고 많아 시추에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리튬 사우스는 당초 목표였던 400m까지 뚫어 매장량을 확인하기 위한 펌핑 테스트를 수행할 예정이다. 리튬 사우스는 PEA 완료도 목전에 뒀다. 리튬 사우스는 작년 10월 18일 연간 1만5000톤(t)의 탄산리튬 생산을 가정하고 PEA에 착수했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 나이트 파이솔드, 캐나다 JDS 에너지·마이닝과 협력해 재무 모델을 완성하고 곧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리튬 사우스는 시추와 PEA에 속도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민 알 나세르 아람코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석유 수요 증가를 전망했다. 화석 연료 소비가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 이동하고 있어 수요 증가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예측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나세르 최고경영자는 1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올해 석유 수요를 하루 1억4000만 배럴로 보고 있으며 이는 지난해 260만 배럴 증가에 이어 올해 150만 배럴 추가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그는 “수요 증가와 낮은 재고가 결합해 시장을 더욱 긴축하는 데 영향을 줬다”면서 “지난 2년 동안 소비자들이 연안 및 내륙 매장량을 4억 배럴 고갈시킨 후 전 세계 재고가 5년 평균 하한선까지 줄어들었다”고 진단했다. 이어 “현재 유일한 카드는 전 세계적으로 약 3.5%에 불과한 예비 용량을 사용하는 것”이라며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추가 공급이 없다면 이 예비 용량도 결국 잠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나세르 최고경영자는 화석 연료 소비가 선진국에서 부유한 개발도상국으로 이동하는 데 주목했다. 선진국보다 경제 성장 속도가 빠른 개발도상국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석유 수요가 어디까지 증가할지 예측 불가하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2위 리튬 공급업체인 SQM(Sociedad Quimica y Minera de Chile)이 칠레 리튬 사업을 재개했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됐던 칠레 정부의 도로 봉쇄 조치가 최근 해제되면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올해 구리 가격이 다시 한 번 오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 금리 인하와 함께 전기차 판매 가속화가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칠레 국영 구리위원회(코칠코·Cochilco)는 15일(현지시간) 올해 구리 가격 전망치를 기존 파운드당 평균 3.75달러에서 3.8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내년 구리 가격은 평균 3.90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구리는 파운드당 약 3.7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칠코는 미국 금리 상황과 전기차 판매 흐름에 주목했다. 실제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정상화를 모색하면서 전선 금속에 대한 전망도 개선되고 있다. 또한 전기차 판매가 본 궤도에 오르면서 배선 금속에 대한 추가 수요도 증가 추세다. 이 같은 요인들이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를 상쇄하고 있다. 코칠코는 올해 전 세계 구리 생산량이 5.8% 증가해 수요 증가율 3.2%를 앞지르며 소폭의 공급 과잉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칠레 생산량은 올해 5.7%, 내년 6.4% 증가해 최대 생산국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콩고민주공화국이 생산량 2위를 차지해 페루를 3위로 밀어낼 것으로 예측했다. 민간 부문에서도 올해 구리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네이멍구(내몽골) 중남부 최대 공업도시인 바오터우에서 신규 희토류 물질이 발견됐다. 16일 차이나데일리 등 현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지질대 연구팀은 바오터우 바옌오보 광산에서 새로운 희토류 물질인 '바옌오보이트-와이(Bayanoboite-Y)'를 발견했다. 중국지질대 연구팀은 최근 세미나에서 이러한 내용을 발표했고, 국제광물학협회로부터 이 광물의 명칭을 승인받았다. 새로 발견된 희토류는 이트륨·디스프로슘·가돌리늄·에르븀 등을 함유하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원소 구성과 함량은 공개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는 획기적인 발견"이라며 "이는 바옌오보 광산의 중희토류 원소의 분포와 풍부함을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네이멍구 바오터우 서북쪽에 위치한 바옌오보은 중국 희토류 매장량의 약 80%, 세계 희토류 매장량의 약 38%를 차지한다. 희토류는 란타넘, 류테튬 등 란타넘족 15개 원소와 스칸듐, 이트륨 등을 더해 총 17종의 희귀한 광물이다. 네이멍구 공업정보화부는 앞서 지난 2021년 희토류 생산 규모를 2025년까지 5배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바오터우의 희토류 생산가치를 1000억 위안까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파나마 정부가 퍼스트 퀀텀 미네랄즈(First Quantum Minerals)의 구리 광산에 대한 대규모 조사에 착수했다. 광산 폐쇄 작업의 일환으로 최종 폐쇄까지 최소 수년이 걸릴 전망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광물기업 발레(Vale)가 캐나다에 100억 달러(약 13조1300억원)를 투자한다. 지난해 9월 발표한 투자 계획의 일환으로 저탄소 생산 투자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더구루=김예지 기자] 에어버스(Airbus)와 캐세이퍼시픽항공(Cathay Group, 이하 캐세이 그룹)이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산업 육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아시아 및 전 세계 SAF 생산 확대를 위한 공동 투자에 나서며, 항공 산업의 탈탄소 전환 가속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구글과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도입 논의를 시작했다. 추가 자금을 확보한 앤트로픽이 본격적으로 대규모 AI 인프라 확보에 나서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