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호주 방산업체 오스탈 인수를 향한 한화오션의 전략이 엇박자를 내는 모양새입니다. 호주 매체 '디 오스트레일리안'은 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김동관 부회장이 오스탈의 소수 지분 매수를 검토했으나 최종 거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공개매수를 통한 적대적 인수·합병(M&A)은 국내 대기업들이 선호하지 않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방산 기업 오스탈은 호주와 미국 해군에 군함을 납품하며 미국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화는 미국 내 상당한 입지를 가진 오스탈과의 M&A를 통해 현지 사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오스탈 인수 사활' 한화오션 전략은 부재 '갸우뚱'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내구 레이싱 대회 '르망 24시'에 출전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르망 24시'와 더불어 유럽과 미국 내구 레이스를 통합하는 'IMSA(International Motor Sports Association) 스포츠카 챔피언십' 준비 소식도 알려지며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더구루=진유진 기자] 최근 구리 가격이 t당 1만 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최대 1만2000달러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구리 가격은 t당 1만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시티그룹은 구리 가격 상승이 중국 정책 지원에 대한 투자자들의 낙관론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영국 금속 가격 조사기관 패스트마켓은 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구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구리가격 1만 달러 돌파…中 수요 증가 기대감 반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구리 수요 급증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과 중국, 독일 3국 주요 기업들이 미래 배터리 경쟁력 확보를 위해 뭉쳤습니다. 6일 앰플리파이 셀 테크놀로지(Amplify Cell Technologies, 이하 앰플리파이)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미국 미시시피주 마샬카운티에 21GWh 규모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셀 제조 공장을 착공했습니다. 오는 2027년 생산에 돌입한다는 목표입니다. 앰플리파이는 △독일 다임러트럭&버스 △미국 파카(PACCAR) △미국 엑셀레라(ACCELERA) △중국 EVE에너지 등 4개사가 설립한 합작사로 탈탄소화로 인해 차량 중 전기화가 가장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상용차 시장을 공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美·中·獨 배터리 합작사, 미국에 LFP 배터리셀 제조 공장 착공
[더구루=진유진 기자] 인도 정부가 내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인도형 자주포인 'K9 바지라' 추가 도입을 승인할 전망입니다. 총선으로 인해 미뤄졌던 승인 절차를 마치고 추가로 100문을 확보합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내각안보위원회는 내달 회의에서 K9 바지라 자주포 100문 추가 도입을 의결합니다. 인도는 앞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계약을 맺고 K9 바지라 100문을 받아 실전 배치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인도 내각안보위원회, 내달 K9 '바지라' 자주포 100문 추가 구매 승인
[더구루=진유진 기자] HD현대중공업이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공사 페르타미나 인터내셔널 쉬핑(Pertamina International Shipping, PIS)으로부터 초대형 가스운반선(VLGC) 2척의 일감을 맡습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PIS로부터 8만8000㎥급 VLGC 2척을 수주했습니다. 앞서 PIS가 지난 1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중동 에너지 운송기업인 BGN과 협약을 맺고 HD현대중공업에 선박을 발주했습니다. HD현대중공업은 올 1월 PIS와 체결한 동급 건조 계약에 포함된 옵션분까지 확보해 총 4척을 건조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HD현대중공업, 인니 PIS서 3100억대 초대형 가스운반선 2척 수주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이 중국에서 올 상반기 4000건이 넘는 특허를 인정받으며 글로벌 기술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졌습니다. 반도체부터 배터리,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로봇, 퀀텀닷 소재 등까지 삼성의 미래를 이끌 다양한 기술을 전진배치, 전통 '효자' 사업과 신사업 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부터 중국에서 특허권을 대거 손에 넣으며 현지 기술 경쟁력 강화에 고삐를 죄고 있습니다. 중국에 특허를 출원하는 국내 대기업이 매달 당국으로부터 승인받는 특허 규모는 단연 삼성전자가 압도적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삼성, 상반기 中 특허 '4000건↑'..."그룹 미래 먹거리, 여기 다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 정부 산하 공공정책 싱크탱크 '국가개혁위원회(NITI Aayog, 니티 아요그)'가 인도 국세청에 전동화 전환 택시사업자에 대한 추가 감가상각 혜택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전기차 수요 촉진과 전기차 부문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인도 싱크탱크 "EV전환 택시사업자 추가 감가상각 혜택"…현대차 예의주시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배터리 부품·소재 기업들이 해외 투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부품 회사 중루이(中瑞)는 한국에, 음극재 전문 기업 '샹타이테크놀로지(尚太科技)'는 싱가포르·스페인에 자회사 신설을 추진합니다. 중국을 넘어 해외로 사업을 확장해 새 수익을 발굴하고 미국과 유럽의 고율 관세를 피하려는 행보로 분석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관세 폭탄 피하자' 中 배터리 회사, 해외에 너도나도 '깃발'
[더구루=김은비 기자] 컨테이너선 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해운사들이 신조 발주 대열에 속속 합류하고 있습니다. '홍해 사태' 장기화로 해상 운송 수요가 늘면서 컨테이너선 신규 주문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6월 한 달 동안만 17척의 컨테이너선이 발주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컨테이너선 신조선 수요, 가파른 상승세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가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 물량 확보에 나섰습니다. AI(인공지능) 기술 분야의 리더로 자리매김 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소프트뱅크, 100억 달러 들여 엔비디아 GPU 물량 확보 추진
[더구루=김은비 기자] 루마니아 원자력공사(이하 SNN)가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회사에 자금 지원 규모를 늘립니다. 탄탄한 자금이 뒷받침돼야 속도감 있고 안정적으로 SMR 사업을 전개할 수 있어서입니다. 루마니아에 SMR을 공급할 뉴스케일파워와 파트너사인 '두산에너빌리티'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두산에너빌리티 참여' 루마니아 SMR, 사업 자금 대거 늘린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