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크리스토프 하트만(Christoph Hartmann) 아마존 게임즈 부사장이 엔씨소프트와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쓰론 앤 리버티(THRONE AND LIBERTY, 이하 TL)'의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하게 된 이유를 밝혔습니다. 크리스토프 부사장은 엔터테인먼트 전문지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TL 퍼블리싱 계약은 엔씨소프트의 협업 제안이 시작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아마존 게임즈 부사장이 밝힌 엔씨 TL 계약 이유
[더구루=김은비 기자] 셀트리온이 베트남 국영제약사 비나팜(VinaPharm)과 합작법인을 설립합니다. 현지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을 세우고 아세안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셀트리온, 베트남 바이오 사업 뛰어든다…'비나팜'과 합작법인 설립
[더구루=진유진 기자] ‘인터배터리 유럽 2024’가 지난달 19일부터 3일 동안 독일 뮌헨에서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에코프로 등을 비롯해 글로벌 배터리•소재 기업들이 참여했습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은 해외 시장서 K-배터리의 기술력을 보여주며 유럽연합(EU)과의 협력도 강화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LG엔솔·삼성SDI, 독일서 K-배터리 기술력 '과시' 세계 최고 K-배터리 기술 '한 자리'에 모였다 LG엔솔·삼성, 中 LFP 가격 공세 방어할 필승 전략 공개 '닻' 올린 LG엔솔·삼성·에코프로, '현지화' 카드 전면에 한-EU 배터리 동맹 강화…사업 협력·규제 공동 대응 롯데 3세 신유열, 그룹 미래 먹거리 '이차전지' 사업 현장 점검 김연섭 대표 "얼티엄셀즈 美공장 램프업, 롯데 동박 기여" 롯데에너지머티·금양이 제시하는 미래 사업 '청사진' ‘적과의 동침’ 한화큐셀…”中과의 전쟁에서 살아남는 법"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TSMC의 글로벌 생산능력에서 해외 거점이 차지하는 비중이 한 자릿수 대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해외 투자를 단행하고 있지만 자국 생산량도 지속 확장해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전략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TSMC 해외 영토 비중, 파운드리 전체 생산능력 '10%' 불과 (6일 07시)
[더구루=김은비 기자] 독일 자동차 기업 BMW가 노스볼트에 20억 유로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셀 주문을 취소하자 삼성SDI가 반색하고 있다. 지난 2020년 BMW는 스웨덴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와 계약을 체결했으나 납품 지연으로 20억 유로(약 2조 9700억 원) 상당의 배터리 셀 주문을 취소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더구루=김은비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베트남 최대 정보기술(IT) 서비스 회사 'CMC'의 수장인 응우옌 쭝 찐(Nguyen Trung Chính) 회장과 만났습니다. 팜 민 찐 총리(Pham Minh Chính)가 이끈 방한 경제사절단에 찐 회장이 포함되며 만남이 성사됐습니다. 베트남 정부가 반도체 육성 정책을 강력히 밀어붙이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과 CMC의 협력이 어디까지 확대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이재용 회장, 베트남 CMC그룹 수장과 AI칩 공동 개발 논의
[더구루=김은비 기자] HMM이 미 규제 당국의 '국영선사(Controlled Carriers)' 목록에 올랐습니다. 한국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지분이 과반을 넘겨서입니다. 미 해운법에 따라 엄격한 규제를 받게 됐으나 현지 사업에는 큰 영향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HMM, 美 연방해사위원회 '관리대상' 해운사 지정
[더구루=김은비 기자] 페루가 한국산 경전투기 FA-50 구매에 이어 4.5세대급 초음속 전투기 KF-21(보라매)의 도입과 개발 프로그램 참여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KF-21 개발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를 찾고 있는 한국 정부가 페루에 공동 개발을 제안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페루, KAI 초음속 전투기 'KF-21' 공동개발 참여 추진
[더구루=김은비 기자] 폴란드가 오르카(Orka) 잠수함 사업 후보군과의 예비 협상 절차를 완료했습니다. 결과물을 현지 당국에 제출하며 입찰 준비를 거의 끝냈습니다. 입찰이 곧 개시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과 수주 경쟁을 펼치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도 입찰 전략을 새로이 다잡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정보 '3조' 폴란드 잠수함 예비협상 마무리…HD현대·한화오션 본선경쟁 막올라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의 매출이 회사 역사상 처음으로 2분기 연속으로 매출이 감소했습니다. 테슬라의 올해 상반기 판매량은 83만766대로 작년 대비 6.6% 감소했습니다. 올 한해 200만대 판매라는 목표치를 내걸었던 테슬라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테슬라, 상반기 전 세계 판매량 83만대 전년 대비 6.5%↓…올해 목표치 200만대 ‘빨간불’
[더구루=진유진 기자] 소니가 CD-R 등 광 디스크 데이터 저장 장치 제조 부문의 대규모 감원을 단행했습니다. 지난 1일 업계에 따르면 소니는 미야기현 타가죠 공장에서 근무하는 250여명 직원을 해고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일부 직원은 조기 퇴직 형태로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이번 결정은 미디어 저장 장치에 대한 수요 감소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日 소니, CD·DVD 등 기록 장치 제조 분야 대규모 감원
[더구루=진유진 기자] 이스라엘 자율주행자동차 기업 모빌아이가 완전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지난 1일 업계에 따르면 모빌아이는 최근 독일에서 자율주행 시스템 'L4'에 대한 교통 체증 테스트를 위해 독일 철도기업 도이치반(Deutsche Bahn)과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또한 무인 택시 6대에 자율주행 시스템 '모빌아이 드라이브(Mobileye Drive)'를 제공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명은 '키라(KIRA)’로 알려졌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모빌아이, 독일에서 완전 자율주행 'L4' 교통 체증 테스트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의 기술적 한계라는 벽에 부딪혔다. 딥시크의 자국 칩 사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상당기간 중국이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당초 5월 출시 예정이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R2 출시를 당분간 미뤘다. 딥시크 R2 출시가 지연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화웨이 어센드(Ascend) 프로세서의 성능 문제가 있었다. 딥시크는 R2의 훈련 과정에 화웨이 어센드 칩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문제는 어센드 칩 시스템이 단 한 번의 학습과정도 완료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화웨이 어센드 시스템은 R2 훈련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연산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딥시크는 R2의 학습은 엔비디아 칩, 추론은 화웨이 어센드 칩을 활용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고 출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AI 모델 개발에서 훈련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모델을 만드는 가장 연산 집약적인 단계이며,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하드웨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비게임 앱의 지출 규모가 게임을 앞질렀다. AI 기술의 발전이 모바일 앱 시장의 지출 지형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의 '2025년 2분기 디지털 시장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모바일 인앱결제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410억 달러(약 57조3430억원)를 기록했다. 센서타워는 조사를 시작한 이래 분기 수익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비게임 앱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나 급증한 211억 달러(약 29조5100억원)를 기록, 200억 달러(약 27조9700억원)에 머문 모바일 게임 부문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10년 전 게임 부문 매출은 비게임 앱에 6배에 달했었다. 비게임 앱의 매출 성장은 구독 모델의 보편화와 숏폼 플랫폼 틱톡의 수익화 전략 성공 등으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 일차적인 이유로 꼽힌다. 틱톡은 인앱 결제를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보낼 가상 선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