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암석에서 추출한 광물을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질로 사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10일 덴마크 공과대학(DTU)에 따르면 모하마드 코슈칼람(Mohamad Khoshkalam) 박사후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대표적인 암석인 규산염에 속하는 규산나트륨과 규산칼륨을 기반으로 한 초이온성 신소재를 개발했습니다. 규산염의 낮은 이온 전도성 문제를 해결해 전고체 배터리의 고체 전해질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바위 덩어리에서 전고체 배터리 신소재 발견
[더구루=진유진 기자]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미국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개발 업체 뉴럴링크가 새로운 BCI 칩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10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를 비롯한 뉴럴링크 경영진은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첫 임상 환자의 현재 상태와 향후 계획 등을 공유했습니다. 이번 발표를 통해 뉴럴링크는 기존 BCI 칩에서 전극의 수를 절반으로 줄인 더욱 효율적인 장치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뉴럴링크는 올해 안에 10명에 가까운 환자에게 임상을 진행한다는 목표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일론 머스크 '뉴럴링크', 새로운 BCI 장치 개발 계획 공개
[더구루=진유진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의 그래프코어(Graphcore) 인수가 임박했습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그래프코어에 5억 달러(약 6900억원) 규모의 인수안을 제안했습니다. 영국 당국의 심사를 거쳐야 하지만 소프트뱅크가 암(Arm)에 대한 막대한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거래가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입니다. 업계 절대자로 군림하고 있는 엔비디아(NVIDIA)의 대항마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소프트뱅크, '엔비디아 대항마' 그래프코어 품는다…인수액 5억 달러
[더구루=김은비 기자] 브라질 국영 석유업체인 페트로브라스(Petrobras)가 선대 확장과 현대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핸디 사이즈 석유화학제품(PC) 운반선을 발주합니다. 브라질 자국 조선소에 발주가 유력하지만 과거 STX유럽과 HD현대중공업 등 한국 조선소에도 주문 이력이 있어 수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브라질발 초대형 유조선 25척 발주 '시동'…한국 조선업계 기대감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프랑스 EDF가 영국 소형모듈원전(SMR) 입찰전에서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뉴스케일파워는 9일 공식 X 계정을 통해 “엔트라원 에너지와 함께 영국 정부의 SMR 공모에 입찰서를 제출하게 돼 자랑스럽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프랑스 EDF는 영국 SMR 입찰을 포기하기로 최종 결정했습니다. 영국 정부는 오는 2050년까지 원전 발전용량을 24GW로 늘린다는 목표로 지난해 7월 SMR 기술 선정 절차를 개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뉴스케일파워, 영국 원자력청 소형모듈원전 입찰 참여 프랑스 EDF, 영국 최초 SMR 수주 경쟁 '백기'
[더구루=진유진 기자] 케이조선이 석유화학제품선 6척을 수주했습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조선은 아랍에미리트(UAE) 선사 걸프에너지마리타임(Gulf Energy Maritime·GEM)으로부터 7만5000DWT급 LR1 탱커 4척을, 베트남 선주·선박관리회사인 아시아태평양해운(Asia Pacific Shipping, ASP)으로부터 5만DWT급 석유화학제품선(PC선) 2척을 수주했습니다. 6척의 수주가는 5400억원 규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케이조선, '5400억 규모' 중동 GEM·베트남ASP 석유화학제품운반선 6척 수주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조사 '무어스레드'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중국 제재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을 거듭하며 엔비디아의 아성을 깰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中 GPU 제조업체 무어 스레드, 엔비디아 아성에 '도전'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텍사스 주정부가 세아의 특수합금 공장 건설을 공식화했습니다. 세아는 텍사스주 템플에 1억1000만 달러(약 1500억원)를 쏟아 공장을 설립합니다.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를 비롯해 미국 항공우주 기업들이 모인 텍사스에 둥지를 터 현지 공급을 추진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세아, 美 텍사스 템플에 '1500억 투자' 특수합금 공장 건설 공식화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텔의 차세대 데스크톱 프로세서인 '애로우레이크-S(Arrow Lake-S, 이하 애로우레이크)'의 신경망처리장치(NPU) 성능이 기대보다 많이 떨어질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11일 IT 팁스터 제이킨에 따르면 인텔이 오는 10월 출시하는 차세대 데스크톱 프로세서 애로우레이크의 NPU 속도가 13 톱스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인텔 차세대 프로세서, NPU 성능 기대 못 미칠수도"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알제리에 자동차 공장 신규 설립을 추진합니다. 알제리는 과거 현대차의 '아프리카 거점' 역할을 했던 국가입니다. 정치적 불안정을 이유로 사업 지속이 어렵다고 판단한 현대차는 지난 2021년 알제리 내 사업을 완전히 철수했습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최근 아프리카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중동·아프리카 전략에 변화가 생길지 관심이 주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현대차, '중동·아프리카 공략 거점' 알제리 공장 설립 추진
[더구루=진유진 기자] 발·송전 설비 정비 전문회사 한전KPS가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공사와 합작사 설립을 추진합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김홍연 한전KPS 사장은 최근 UAE 바라카원자력발전소를 방문해 현지 원전운영법인 바라카원컴퍼니(BOC)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중장기 정비사업 협력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만남에서 김 사장은 UAE원자력공사와 한전KPS 간 합작사 설립 추진 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관련 제안서를 제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한전KPS, UAE 원자력공사와 원전 정비사업 합작사 설립 추진
[더구루=진유진 기자] 호주 방산업체 오스탈 인수를 향한 한화오션의 전략이 엇박자를 내는 모양새입니다. 호주 매체 '디 오스트레일리안'은 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김동관 부회장이 오스탈의 소수 지분 매수를 검토했으나 최종 거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공개매수를 통한 적대적 인수·합병(M&A)은 국내 대기업들이 선호하지 않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방산 기업 오스탈은 호주와 미국 해군에 군함을 납품하며 미국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화는 미국 내 상당한 입지를 가진 오스탈과의 M&A를 통해 현지 사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오스탈 인수 사활' 한화오션 전략은 부재 '갸우뚱'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의 기술적 한계라는 벽에 부딪혔다. 딥시크의 자국 칩 사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상당기간 중국이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당초 5월 출시 예정이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R2 출시를 당분간 미뤘다. 딥시크 R2 출시가 지연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화웨이 어센드(Ascend) 프로세서의 성능 문제가 있었다. 딥시크는 R2의 훈련 과정에 화웨이 어센드 칩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문제는 어센드 칩 시스템이 단 한 번의 학습과정도 완료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화웨이 어센드 시스템은 R2 훈련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연산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딥시크는 R2의 학습은 엔비디아 칩, 추론은 화웨이 어센드 칩을 활용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고 출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AI 모델 개발에서 훈련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모델을 만드는 가장 연산 집약적인 단계이며,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하드웨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비게임 앱의 지출 규모가 게임을 앞질렀다. AI 기술의 발전이 모바일 앱 시장의 지출 지형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의 '2025년 2분기 디지털 시장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모바일 인앱결제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410억 달러(약 57조3430억원)를 기록했다. 센서타워는 조사를 시작한 이래 분기 수익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비게임 앱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나 급증한 211억 달러(약 29조5100억원)를 기록, 200억 달러(약 27조9700억원)에 머문 모바일 게임 부문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10년 전 게임 부문 매출은 비게임 앱에 6배에 달했었다. 비게임 앱의 매출 성장은 구독 모델의 보편화와 숏폼 플랫폼 틱톡의 수익화 전략 성공 등으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 일차적인 이유로 꼽힌다. 틱톡은 인앱 결제를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보낼 가상 선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