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스킨케어 브랜드 프란츠가 일본 럭셔리 골프웨어 브랜드 마크앤로나와 손잡고 일본 공략에 나선다. 프란츠는 서울대 출신 연구원들이 설립한 바이오센서연구소가 2017년 론칭한 브랜드다. 프란츠 제품이 마크앤로나 일본 온오프라인몰에 입점되면서 본격 해외 사업에 시동을 거는 모습이다. 8일 마크앤로나에 따르면 프란츠 스킨케어 제품이 오는 19일부터 일본 공식 온라인몰과 전 직영 매장에 출시된다. 제품 라인업은 △선쉴드 펩타이드 투명 썬패치 △선쿠션 △쿨링 클렌저 △쿨링 마스크 총 4가지다. 오는 봄·여름 라운딩 시즌을 앞두고 자외선을 피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 필수 제품으로 구성했다. 이번 협업은 마크앤로나가 프란츠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하며 공동 개발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프란츠의 핵심 제품인 선쉴드 펩타이드 투명 썬패치는 0.012㎜의 얇은 두께와 투명한 필름으로도 UV-B 99.9%, UV-A 98.6%의 높은 자외선 차단율을 가진 동시에 줄기세포 배양액을 함유해 스킨케어 효과가 있도록 개발됐다. 마크앤로나는 럭셔리 골프웨어 브랜드로 평가받고 있다. 도쿄·오사카·삿포로·나고야 등 주요 도시에서 매장 9개를 운영 중이다. 일본 최고의
[더구루=김형수 기자] 에뛰드, 네이처리퍼블릭, 어뮤즈 등 국내 뷰티 브랜드가 일본 뷰티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현지 버라이어티숍(화장품 등 편집매장) 로프트가 개최하는 뷰티 페스티벌에 참가해 여심을 사로잡겠다는 계획이다. 8일 로프트에 따르면 에뛰드, 네이처리퍼블릭, 어뮤즈 등은 오는 20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개최되는 '로프트 K-코스메틱 페스티벌 2024SS'에 참가한다. 로프트 K-코스메틱 페스티벌은 로프트가 지난 2014년부터 한국 화장품을 집중 조명하기 위해 주최하고 있는 이벤트다. 올해로 11년째를 맞았다. 이번 행사는 로프트 오프라인 매장,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연다. 총 98개 브랜드·503종의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에뛰드는 이번 페스티벌에서 플레이 컬러 아이즈 썸머 휘핑 크림을 알리는 데 매진할 예정이다. 플레이 컬러 아이즈 썸머 휘핑 크림은 에뛰드가 국내 잡화 브랜드 '후카후카 스튜디오'(HOOKKA HOOKKA STUDIO)와 손잡고 지난달 현지에 출시한 아이섀도다. 휘핑 크림에서 모티브를 얻어 개발한 화장품으로 화이트 톤의 저채도 컬러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본보 2023년 3월 22일 참고 에뛰드, 휘핑 클라우드 컬렉션
[더구루=김형수 기자] 씨에프디에이의 골프웨어 브랜드 페어라이어가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브랜드 앰배서더로 활동 중인 아이돌그룹 소녀시대의 멤버 티파니를 내세운 스타 마케팅을 펼치며 열도 여심(女心)잡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8일 페어라이어 일본 파트너사인 유통기업 웨이무역에 따르면 페어라이어는 티파니와 손잡고 제작한 2024 S/S 콜렉션 '피크닉 투 팜 스프링스'(Picnic to Palm Springs) 화보를 공개했다. 해당 화보에는 페어라이어 △리본 바이저 △스커트 △셔츠 등을 착용한 티파니의 모습이 담겨있다. 페어라이어 의류를 입고 골프, 피크닉 등을 즐기는 티파니의 이미지를 통해 세련된 고품질 골프웨어라는 페어라이어의 브랜드 콘셉트를 나타냈다. 페어라이어는 인스타그램에 티파니가 등장하는 동영상을 게시하고 홍보전을 펼치고 있다. 티파니는 "페어라이어와 함께하는 화보를 이렇게 찍고 있다"면서 "이것보다 더 좋은 소식은 페어라이어가 도쿄에서 팝업스토어를 연다는 것이다. 여러분들도 팝업스토어에 함께 해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페어라이어는 티파니 화보에 이어 오는 17일부터 다음달 21일까지 도쿄 다이마루백화점에서 팝업스토어를 오픈한다. 또 오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휠라홀딩스 미국 자회사 아쿠쉬네트(Acushnet)가 확실한 실적 효자로 자리 잡았다. 연매출이 2년 연속 3조원을 돌파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골프용품 판매가 호조를 보이는 데 힘입어 실적이 우상향했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아쿠쉬네트 지난해 매출은 23억8200만(약 3조2290억원)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4.9% 늘어났다. 2022년에 이어 연매출 3조원을 넘기는 새역사를 썼다. 미국 골프용품 판매가 확대되면서 호실적을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아쿠쉬네트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10.0% 늘어난 13억5000만달러(약 1조3800억원)를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내셔널 골프 파운데이션(National Golf Foundation) 조사 결과 지난해 현지 골프 인구 규모는 약 4500만명으로 전년 대비 9.5% 늘어났다. 아쿠쉬네트는 지난해 타이틀리스트의 골프공 신제품 프로 V1·프로V1x, 골프 클럽 신제품 TSR·T-Series 등 인기 제품의 신형 모델을 연달아 선보였다. 제품군별 매출은 타이틀리스트 골프공이 전년 대비 12.2% 늘어난 7억6170만달러(약 1조320억원)를 기록했다. 타이틀리스
[더구루=한아름 기자] CJ올리브영이 자체개발 브랜드(PB) 웨이크메이크를 내세워 일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이달 온라인몰에 봄여름(S/S) 메이크업 트렌드 '라임 그린 컬러 코어'를 적용한 아이섀도 신제품을 선보인 데 이어 오프라인 으로 유통망 확대에 나선다. 이를 통해 '아이섀도 맛집'이라는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8일 일본 대형 버라이어티숍 로프트·플라자에 따르면 오는 20일 웨이크메이크가 '소프트 블러링 아이 팔레트' 신제품을 선보인다. 지난 1일 일본 온라인몰 큐텐재팬에 제품을 론칭한 데 이어 오프라인 판매망을 늘리고 있는 모습이다. 웨이크메이크는 로프트·플라자에 이어 아토코스메(@Cosme) 등 버라이어티숍에 순차적으로 입점될 예정이다. 이번 신제품은 17호 라임 크러시 블러링과 18호 피치 크러시 블러링 총 두 가지다. 기존 16구 디자인에서 중간에 사선을 추가해 20개 컬러로 출시, 다양한 메이크업룩을 선보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올해 메이크업 트렌드인 라임 그린 색상을 모티브로 한 점이 특징이다. 경쾌한 라임 그린 색상의 글리터가 청량하고 싱그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효과적이다. 웨이크메이크는 브랜드 뮤즈인 아이돌 그룹 (여자)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 라네즈가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킨케어 브랜드로 선정됐다. 해외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는 라네즈가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7일 스웨덴의 글로벌 뷰티 시장 조사기관 민토이로(Mintoiro)에 따르면 라네즈는 지난 2월 '틱톡 톱 트렌딩 스킨케어 브랜드'(Top Trending Skincare Brands on Tiktok) 순위 1위를 차지했다. 민토이로는 327개 스킨케어 브랜드의 △팔로워 숫자 증가율 △커뮤니케이션 참여도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고 전했다. 라네즈가 해외 진출국을 적극 확대한 것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라네즈는 지난 2022년 9월 일본에 이어 지난해 5월 영국과 아랍에미리트(UAE)·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카타르·바레인 등 중동, 지난해 9월 멕시코에 연달아 진출했다. 립 슬리핑 마스크, 워터뱅크 블루 히알루로닉 크림, 크림스킨, 네오쿠션 등 간판 제품 해외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헐리우드 배우 시드니 스위니를 내세운 글로벌 홍보전을 적극 펼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라네즈는 지난 1월 시드니 스위니를 글로
[더구루=김형수 기자] 우크라이나가 유망한 뷰티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러시아와의 전쟁이 지속되며 경기가 침체된 상황 속에서도 뷰티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한국산 뷰티 제품은 폭넓은 제품군, 품질, 가격 등이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국내 기업들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7일 글로벌 수출입 통계기관 GTA(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지난해 우크라이나 한국 뷰티 제품 수입액 규모는 3408만달러(약 460억원)를 기록했다. 전년에 비해 116.1% 급증한 수치다. 한국은 △폴란드(4711만달러·약 630억원) 1위 △중국(4562만달러·약 610억원) 2위 △프랑스(3536만달러·약 480억원) 3위 등에 이어 지난해 우크라이나 화장품 수입시장 4위에 올랐다. 이어 미국(2017만달러·약 170억원) 5위, 이탈리아(1628만달러·약 220억원) 6위, 독일(1467만달러·약 200억원) 7위, 스페인(1051만달러·약 140억원) 8위, 영국(979만달러·약 130억원) 9위, 스위스(783만달러·약 100억원) 등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국산 메이크업·파우더 등이 우크
[더구루=김형수 기자] 에이블씨엔씨가 일본에 저자극 더마 브랜드 셀라피(Cellapy)의 자외선 차단제 신제품을 출시하고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에이블씨엔씨는 일본에 셀라피 '에이리페어 데일리 수딩 선크림'(A.Repair Daily Soothing Sun Cream·이하 에이리페어 선크림)을 론칭했다. 미샤 공식 일본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에이리페어 선크림은 섬세한 입자의 자외산 산란제를 활용해 개발됐다. 자외선을 반사시켜 피부에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췄다. 피부 자극 테스트를 거친 저자극 제품으로 민감한 피부를 지닌 이들도 안심하고 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에이블씨엔씨는 "셀라피를 통해 아침 피부관리의 마지막 자외선 케어 단계에서 쓰기 좋은 에이리페어 선크림을 선보인다"면서 "자극이 적고 사용감이 편안한 제품으로 자외선을 차단해주면서도 피부를 부드럽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7월 일본 시장에 셀라피를 론칭한 에이블씨엔씨가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현지 시장을 겨냥한 셀라피 마케팅을 강화하고 나선 것이다. 에이블씨엔씨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유니클로가 유엔난민기구(UNHCR)과 손잡고 자선 캠페인을 펼치며 난민 지원에 나섰다. 유니클로는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유니클로는 미국에 '호프 어웨이 프롬 홈'(Hope Away From Home) 티셔츠 콜렉션을 론칭했다. 미국 뉴욕, 보스턴, 올랜도, 시카고, 시애틀, 호놀룰루 등에 자리한 매장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유엔난민기구와 협력은 지난해 이어 두번째다. 지난해 '2023 청소년과 함께하는 난민 아트 콘테스트' 수상작을 디자인에 활용해 해당 콜렉션 티셔츠를 제작한 바 있다. 유니클로는 해당 콜렉션 티셔츠가 한 장 판매될 때마다 3달러(약 4100원)를 유엔난민기구에 기부한다. 또 이와 별도로 10만달러(약 1억3500만원), 티셔츠 5000장, 토트백 1000개 등을 전달한다. 유니클로는 "'2023 청소년과 함께하는 난민 아트 콘테스트' 수상 작품을 새겨넣은 티셔츠 콜렉션을 준비했다"면서 “고객들과 손잡고 난민 지원에 일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유니클로는 인권 관련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며 ESG 경영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해
[더구루=한아름 기자] LG생활건강 메이크업 브랜드 글린트가 일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현지 대형 온라인몰에서 대규모 할인 이벤트를 펼친다. 6일 일본 온라인몰 큐텐재팬에 따르면 글린트가 오는 7일까지 할인 이벤트를 연다. 이 기간 △립세린 △하이라이터 △스틱 하이라이터 △블러셔 등 전 제품을 20% 할인한다. 글린트 공식 온라인몰을 팔로우하면 3% 추가 할인 쿠폰을 증정한다. 큐텐재팬은 일본 4대 온라인 쇼핑몰 중 하나인 만큼 글린트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큐텐재팬의 지난달 방문객 수는 1억110만명에 달한다. 특히 구매력이 높은 20대부터 40대 사이 고객 비중이 전체의 43.8%를 차지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대규모 할인전을 통해 불황에 얼어 붙은 소비 심리를 잡고 수익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지 전략형 제품 개발에도 나선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일본에서 글린트 신제품 출시 확대와 온오프라인 채널 대응 강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해 현지 사업의 성장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일본 소비자의 화장법 및 피부 특성을 분석하고 제품을 개발해 타 브랜드와 차별화를 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글린트는 지난해부터 일본에서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아모레퍼시픽 뷰티 브랜드 이니스프리가 미국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현지 대형 온오프라인 채널 유통망을 확대했다. 주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젠지세대((Generation Z, 199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출생한 세대))를 겨냥한다는 계획이다 6일 미국 세포라에 따르면 이니스프리 신제품 '비타C 그린티 엔자임 잡티 토닝 세럼'이 주요 세포라 매장과 세포라닷컴에 입점했다. 특히 세포라는 미국 대표 뷰티 쇼핑 플랫폼으로 꼽히는 만큼 이니스프리의 매출 상승 기대감도 커진다. 세포라는 미국 전역에 460여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3100만명 이상의 충성 회원(뷰티 패스)을 보유하고 있다. 현지 온라인 헬스앤뷰티(H&B) 시장 점유율은 26%에 달한다. 이 때문에 미국의 뷰티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여기에 핵심 소비층으로 떠오른 젠지 세대를 주 고객으로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시장 조사기관 스태티스타 조사 결과, 젠지 세대가 모든 연령층에서 스킨케어 제품을 가장 많이 구매한다. 젠지 세대의 41%가 화장품에 가장 많이 지출한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스킨케어 제품 1개를 살 때마다 50달러(약 6만7000원)를 쓴다고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아이오페, 비레디, 롱테이크 등의 브랜드를 일본에 론칭하고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일본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을 강화하며 부진에 빠진 아시아 실적 반등을 노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오는 20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일본 버라이어티숍(화장품 등 편집매장) 로프트에서 '아모레퍼시픽 페스티벌'을 열고 아이오페, 비레디, 롱테이크 등을 선보인다. 도쿄, 요쿄하마, 오사카, 교토, 후쿠오카 등 주요 도시에 자리한 로프트 매장 10곳에서 아모레퍼시픽 페스티벌을 진행할 예정이다. 아모레퍼시픽 페스티벌은 아모레퍼시픽이 기획한 대형 프로모션 이벤트다. 지난해의 경우 일본 도쿄 하라주쿠에 있는 아토코스메 도쿄(@cosme Tokyo)에서 개최했다. 아모레퍼시픽이 준비한 10만개 규모의 고객 체험 샘플이 소진되는 등 흥행했다.<본보 2023년 5월 15일 "11개 브랜드 싹 모았다"…아모레퍼시픽, 일본서 페스티벌 처음으로 진행> 아이오페, 비레디, 롱테이크 대표 제품의 첫 론칭이 눈길을 끈다. 이들 제품은 일본시장에 첫 출시라는점에서 현지 소비자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것으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