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보경 기자] 한국의 문화가 K-푸드·K-뷰티·K-콘텐츠란 이름을 달고 글로벌 시장에서 그 인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빙그레 대표 아이스크림 메로나는 지난해 상반기 해외 매출액이 29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CJ ENM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가 일본 OTT 유넥스트(U-NEXT)가 발표한 '2024 상반기 한류·아시아 콘텐츠' 시청 순위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 외에도 갓·정수기 등 의외의 K아이템들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부럽템 영상보기 ◇ 'K-빙과' 빙그레 메로나, 美 코스트코 '베스트 아이스크림' 'K콘텐츠 대표주자' CJ ENM… '선재 업고 튀어' 日 아시아 콘텐츠 '1위' 삼양식품, 日요리연구와 '이색 콜라보'…1000억 'K소스'로 키운다
[더구루=이진욱 기자] 국내 자전거 인구가 건강 및 취미 등을 이유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체 인구의 22.4%가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으며, 매년 5%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건강과 대중교통 대체 목적으로 자전거 이용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여기에 국내외 등 다양한 방식의 자전거들이 등장해 재미를 더하고 있습니다. 걸어서 가는 '로퍼핏', 12인승 ‘파티용 자전거', 화물용 '카고 바이크', 장애인용 '핸드 자전거' 등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 더구루 부럽템 영상보기 ◇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의 차세대 차량 조립 방식인 '언박스 프로세스(Unboxed Process)' 특허가 공개됐습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는 지난 6일(현지시간) 테슬라가 출원한 '차량 조립을 위한 모듈식 차량 구조'라는 특허를 공개했습니다. 해당 특허는 2023 테슬라 투자자의 날에 공개됐던 언박스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언박스 프로세서는 차량의 각 부분을 모듈식으로 제작하고 최종 단계에서 조립만 하는 방식입니다. 테슬라는 언박스 프로세스 도입시 제조인력 40%, 제조공간 30%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해당 기술은 향후 테슬라 차량의 생산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춰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테슬라, 차세대 차량 조립 방식 '언박싱' 기술 공개
[더구루=오재우 기자] 올해도 변함없이 청약시장은 시세차익 등을 이유로 '로또 청약' 열풍입니다. 무순위 청약은 신청 자격이 까다롭지 않고 시세보다 공급가가 낮은 경우 큰 시세차익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동탄 롯데캐슬 무순위 청약의 경우 10억원의 시세차익이 기대되면서 청약 홈페이지가 마비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더구루=진유진 기자] 지난 7월 체코에서 들려온 원전 낭보에 대한민국이 들썩였습니다. 무려 24조원 규모 체코 신규 원전 건설 사업 수주전에서 '팀코리아 컨소시엄(한국수력원자력·대우건설·두산에너빌리티)'이 '프랑스전력공사(EDF) 컨소시엄'을 누르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습니다. '팀코리아'가 체코 원전 사업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건 어떤 의미인지, 수주를 위해 지난 5년간 어떤 여정을 걸어왔는지, 향후 남아 있는 단계는 무엇인지 등을 낱낱이 짚어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더구루=진유진 기자] 최근 한류 열풍을 타고 K-콘텐츠에 나온 K-푸드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푸드 인기가 북미와 아시아, 유럽까지 확산하면서 국내 식품·주류 업계는 인지도 제고와 생산 증대에 힘쓰고 있습니다. 올해 추석을 맞아 더구루가 선정한 K-컬쳐 속 K-푸드 톱5는 무엇인지 함께 만나보실까요?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글로벌 스타링크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팀 휴즈 스페이스X 수석부사장은 판 민 찐 베트남 총리를 만나 스타링크 서비스 출시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는데요. 이번 베트남 방문으로 제자리 걸음했던 스타링크의 베트남 서비스 출시가 돌파구를 찾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일론머스크는 지난 8일 자신의 엑스를 통해 화성을 향한 첫번째 우주선은 2년후 발사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스페이스X는 지난 6월 4번째 시도 만에 스타십의 지구 궤도 비행과 재진입에 성공했다. 스페이스X는 차세대 랩터3 엔진을 공개하는 등 추가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요. 이번 세기 중반에는 화성에 도시까지 건설하겠다는 목표입니다. 베트남과의 협력 등 스페이스X 스타링크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스페이스X, 베트남 총리 또 만났다…스타링크 출시 '탄력' + 본격 '출사표' 일론 머스크 "4년 뒤 화성행 유인 우주선 띄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는 자동차 한번 팔아보겠다고 기아 운전자들에게 뇌물을 주진 않는다(Tesla never has to bribe Kia drivers to buy a Tesla)".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11일(현지시간) SNS를 통해 공개 저격했다. 기아가 테슬라 고객을 대상으로 마련한 '테슬라 컴페리티브 보너스 프로그램'(Tesla Competitive Bonus Program)을 '뇌물(bribe)'이라고 표현하고 날이 선 반응을 보였습니다. 안방인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50%가 붕괴되며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미국 전기차(BEV) 시장 2위인 기아가 테슬라 고객을 대상으로 프로모션을 펼치자 불편한 심기를 가감 없이 드러낸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일론 머스크, 기아 공개 '저격'…"기아 인센티브는 뇌물(bribe)"
[더구루=진유진 기자] 삼성전자 보급형 스마트폰 '갤럭시 M05'가 인도 아마존 웹사이트에 등장했습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아마존 웹사이트에 갤럭시 M05 제품이 게재됐습니다. 현재 구매는 불가능한 상태로, 실제 상품이 준비되기 전 미리 가상으로 등록해 자리를 비워두는 ‘플레이스 홀더’인 상태로 분석됩니다. 갤럭시 M05의 정확한 가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전 모델인 갤럭시 M04와 유사한 8000루피(약 12만 원)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삼성전자, 초저가 스마트폰 '갤럭시 M05' 인도 아마존 등장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대형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블룸에너지(Bloom Energy), 넥스트에러에너지(NextEra Energy) 등을 과소평가된 인공지능(AI) 수혜주로 꼽았습니다. 12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생성형 AI 인프라 확장에 따른 주가 상승 잠재력이 높은 종목을 선정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미국 데이터센터 용량 부족 △데이터센터의 탄소발자국 증가 △생성형 AI 성장과 관련된 자금조달 기회 등을 주요 추세로 강조하며 수혜를 볼 회사를 꼽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모건스탠리 "블룸에너지·넥스트에라, 과소평가된 AI 수혜주"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대통령 선거가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 대결 구도로 확정되며 '초접전'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권 향방에 대해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이번 대선에서 트럼프가 재집권한다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축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 대선 이후 국내외 전기차 판도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요?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더구루=진유진 기자] 구글이 차세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생산 파트너사로 TSMC를 낙점했습니다. 12일 외신에 따르면 구글은 '픽셀11' 시리즈에 탑재할 AP '텐서 G6' 칩셋을 TSMC 2나노미터(nm) 공정으로 생산할 예정입니다. 텐서 G5에 이어 후속작까지 TSMC와의 동행을 선택한 겁니다. 당장 내년부터 '큰 손' 고객을 TSMC에 빼앗길 위기에 놓인 삼성전자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수주 전략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결론은 TSMC' 구글 모바일 AI칩 텐서 G6 삼성 파운드리 '적신호'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오클로(Oklo)가 최대 5조원 규모 자금 조달을 추진하기로 했다. SMR 상용화에 속도를 높일 전망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미시간주(州) 의회가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에 대한 세액 공제를 추진한다. 현대건설이 참여하는 현지 SMR 사업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30일 미시간주 공화당 및 민주당에 따르면 미시간주 하원은 신규 원자력 발전소 개발사에 법인세 세액 공제를 제공하는 내용의 '원자력 에너지 법안 패키지'를 통과시켰다. 양당이 초당적 합의를 이룬 법안인 만큼 상원 문턱도 넘을 것으로 점쳐진다. 해당 법안은 첨단 원전 연구·개발(R&D) 비용에 대한 법인세와 SMR 전력 판매와 관련 법인세를 공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안을 발의한 민주당 소속 조이 앤드류스 미시간주 하원 의원은 "미시간주는 에너지 미래에 투자하고 청정 기술 분야의 전국적인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함으로써 큰 진전을 이뤘다"며 "팰리세이즈 원전 재가동과 이번 초당적 법안 통과로 미시간주가 원전 혁신을 선도할 준비가 돼 있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신규 법안이 통과되되면 현대건설과 홀텍 인터내셔널이 공동 추진하는 SMR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는 미시간주 코버트에 위치한 홀텍 소유의 팰리세이즈 원전 단지에 300㎿(메가와트)급 SMR 2기를 건설할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