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창신신소재(恩捷股份, 은첩고분)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로부터 대규모 분리막 수주를 따냈다. 최근 가동을 시작한 헝가리 공장에서 생산 후 납품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창신신소재에 따르면 회사는 글로벌 대형 리튬이온배터리 제조 업체와 분리막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오는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최소 9억6000만㎡ 규모 분리막을 공급한다. 창신신소재는 "이번 주문은 고객과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협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고객의 해외 배터리 공장 원자재 공급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공급량은 최초 주문보다 약 10% 위아래로 변동될 수 있다"고 밝혔다. 창신신소재는 헝가리 데브레첸 공장에서 생산한 분리막을 조달한다. 데브레첸 공장은 연간 생산능력 4억㎡를 갖췄다. 총 투자액은 3억4000만 유로에 이른다. 지난 7월 초 1차 생산라인 시범 가동에 돌입했다. 창신신소재는 2차 전지 핵심소재 중 하나인 습식 분리막 글로벌 1위 제조업체다. 지난 2018년 '상하이 은제구펀'을 인수하면서 본격적인 신소재 대기업으로 거듭나기 시작했다. 상하이, 주하이, 장시, 우시 등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CATL, LG에너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선전시니어테크놀로지머티리얼(深圳市星源材质科技股份, 이하 시니어)이 말레이시아에 약 9000억원을 투자해 분리막 공장을 짓는다. 중국을 넘어 스웨덴과 말레이시아 등 해외에도 거점을 만들며 고객사 수요에 대응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시니어의 자회사 이노바뉴머티리얼테크놀로지(英诺威新材料科技(马来西亚)有限公司)는 말레이시아 페낭에 50억 위안(약 9000억원)을 투자해 분리막 공장을 짓는다. 66에이커(약 26만7092㎡) 규모 부지에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1단계로 약 20억㎡의 생산능력을 갖춘다. 예상 공사 기간은 18개월이다. 분리막은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과 함께 배터리 4대 소재 중 하나다. 양극과 음극을 격리해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분리막 수요가 2030년 379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219억 달러(약 29조원)에 달한다. 시니어는 2003년 설립된 후 CATL과 BYD, EVE에너지, 궈시안 등 중국 업체뿐만 아니라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 일본 무라타, 스웨덴 노스볼트, 프랑스 사프트 등과 거래했다. 고객사들의 분리막 수요가
[더구루=한아름 기자] 중국 바이오기업 하버바이오메드가 항체약물접합(ADC) 후보물질 'HBM9033'의 임상에 박차를 가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HBM9033 임상시험계획(IND) 승인받으면서 연구에 속도를 낸다. 한올바이오파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올바이오파마는 하버바이오메드와 지난 2017년부터 협업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하버바이오메드에 따르면 ADC 항암후보물질 HBM9033 글로벌 임상 1상을 시작한다. ADC 항암제는 항체에 항암 약물을 붙여 특정 암세포만 공격하도록 만든다. 일종의 표적항암제다. HBM9033은 중국 바이오기업 메디링크 테라퓨틱스(MediLink Therapeutics)와 공동 연구로 개발됐다.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단백질 메소텔린(mesothelin·MSLN)을 타깃한다. 메소텔린은 최근 암 항원 타깃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피종 85~90%, 췌장암 80~85%, 난소암·폐암 60~65% 발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임상에서 HBM9033이 △중피종 △췌장암 △난소암 △폐암 △유방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 치료 효과를 보이는 지 확인한다. 안전성과 내약성 등도 함께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자율주행차 회사 위라이드가 미국 증시 상장을 본격화했다. 위라이드는 미국 상장을 통해 6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이하 증감회)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위라이드가 미국에서 IPO(기업공개)를 진행하겠다는 해외 상장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서류에 따르면 위라이드는 미국 뉴욕 증권 거래소나 나스닥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1억 5904만 5000주 상당의 보통주를 발행하며 이를통해 5억 달러(약 6600억원)를 조달한다. 중국 증감회는 해당 서류의 유효기간을 1년으로 명시했다. 위라이드는 향후 12개월 이내에 미국 상장을 마무리해야 하며 기간 내 마무리하지 못한다면 제출 서류를 업데이트 해야한다. 2017년 설립된 위라이드는 레벨4의 자율주행차를 개발하는 회다. 레벨4는 비상시에도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수준을 뜻한다. 위라이드는 자율주행 택시(로보택시)와 버스·밴, 청소차 개발에 나섰다. 2019년부터 중국 광저우에서 자율주행 택시(로보택시)를 운영했다. 전 세계 23곳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테스트 중이다. 중국 광저우에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비야디(BYD)의 배터리 사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비용 절감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가성비'의 비야디 배터리를 채택하는 사례가 늘면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비야디는 최근 테슬라, 포드, 토요타 등에 이어 기아차와 포드의 럭셔리 브랜드 '링컨'까지 배터리 고객사로 확보했다. 자회사 심천비야디리튬배터리와 푸디전지 등을 통해 배터리를 공급한다. 기아차와 링컨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열린 '2023 청두 국제 모터쇼'에서 비야디 배터리를 장착한 신차를 공개했다. 기아차는 리튬인산철(LFP), 링컨은 삼원계(NMC) 배터리를 각각 탑재했다. 기아차는 EV5 중국형 모델에 푸디전자에서 제조된 LFP 기반 블레이드 배터리를 적용한다. EV5는 기아차가 처음으로 중국에서 생산해 출시하는 차량이다. 링컨은 세단 라인업 'Z'에 이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노틸러스 하이브리드'에 심천비야디리튬배터리의 삼원계 배터리를 탑재키로 했다. 중국에서 생산한 모델은 미국으로도 수출될 예정이다. 비야디는 일찍부터 배터리 기술력을 인정받아 왔다. 중국 브랜드 뿐만 아니라 세계 완성차 업체들로부터 러브콜을 받아
[더구루=김형수 기자] 휠라홀딩스 합작 파트너 중국 스포츠웨어업체 안타스포츠(ANTA Sports)가 미국 시장 공략에 팔을 걷었다. 안타스포츠는 미국프로농구(NBA) 유타 재즈(Utah Zazz) 조던 클락슨(Jordan Clarkson)과 후원계약을 체결하며 '스타 마케팅'을 내세워 미국 고객몰이에 나서고 있다. 조던 클락슨은 NBA 2020-2021 시즌 올해의 식스맨으로 선정되는 등 스타 플레이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안타스포츠에 따르면 조던 클락슨은 다음달 10일까지 필리핀·일본·인도네시아에서 공동 개최하는 2023 FIBA 농구 월드컵에서 안타스포츠 농구화를 신고 경기에 나선다. 조던 클락슨은 필리핀 대표팀 명단에 포함됐다. 양측은 오는 10월 개막을 앞두고 있는 NBA 2023-2024 시즌으로 계약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JP 패글리나완(JP Paglinawan) 안타그룹 필리핀 제너럴 매니저는 "FIBA 농구 월드컵은 세계 최고의 토너먼트"라면서 "수준높은 경쟁이 펼쳐지는 경기장에서 정상급 농구 선수가 안타스포츠 농구화를 신고 뛰는 것은 안타스포츠의 우수한 기술력을 뽐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안타스포츠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스타벅스가 중국에 혁신기술센터를 짓는다. 중산층 증가·도시화 영향으로 중국 커피 시장 성장성이 크다고 판단, 대규모 투자에 나서는 모양새다. 2025년까지 중국 도시 300개에 진출, 매장을 9000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현재 스타벅스는 250개 도시에서 매장 6500여개를 운영 중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스타벅스에 따르면 내달 중국 선전 푸톈구에 스타벅스혁신기술센터(Starbucks China Innovation and Technology Center·SITC)를 운영한다. △원두 개발 및 기술력 제고 △매장 운영 자동화 △커피 전문가·비즈니스 인재 육성 △공급망 디지털화 등을 꾀한다. 스타벅스는 3년간 SITC에 15억위안(약 2735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3분기 내 스타벅스커피이노베이션산업단지(Starbucks China Coffee Innovation Industrial Park)도 문을 연다. 산업단지에선 커피 로스팅 공장(생두를 볶는 공장)과 물류 단지가 들어선다. 스타벅스가 아시아에 로스팅 공장을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스타벅스는 "이번 로스팅 공장 운영 방식을 고도화해 커피 업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으로 가
[더구루=한아름 기자] 휠라 2세 윤근창이 옳았다. 2018년 단독 대표로 경영 전면에 나선 이후 국내를 넘어 글로벌 사업이 본격 성과를 내고 있어서다. 휠라 중국 사업을 전개 중인 안타가 올 상반기 유의미한 성적을 거뒀다. 휠라홀딩스의 디자인 역량과 안타의 영업력이 시너지를 낸 덕분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안타에 따르면 올 상반기 매출 300억위안(약 5조4687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14% 이상 늘어났다. 이는 △안타스포츠 △코오롱스포츠 △휠라 △데상트 △아머스포츠(아크테릭스·살로몬 등 12개 브랜드) 실적을 합친 규모다. 이 기간 휠라 매출은 전년 대비 13.5% 증가한 122억3000만위안(2조2280억원)을 기록했다. 휠라 단일 브랜드로만 안타 총 매출 42%를 차지한 것이다. 실제 휠라의 중국 스포츠웨어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냈다. 휠라가 호실적을 거둘 수 있는 배경은 안타와의 시너지 덕분이다. 휠라는 상품 기획 및 디자인, 연구개발(R&D)을, 안타가 영업과 현지 마케팅을 담당하는 투트랙 전략이 적중했다. 안타그룹은 유명 스포츠 선수를 홍보 모델로 발탁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키우고 경쟁사 리닝과 격차를 벌리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나스 테크놀로지(NaaS Technology Inc, 이하 나스)가 스웨덴 전기차 충전기 업체를 인수한다. 중국에서의 성공 경험을 토대로 성장잠재력이 높은 유럽 충전 시장에 진출한다. 24일 나스에 따르면 회사는 7억2400만 크로나(약 890억원)를 투자해 차지 앰프스(Charge Amps AB)의 지분 전량을 매입한다. 2012년 설립된 차지 앰프스는 가정·산업용 전기차 완속 충전기를 만드는 회사다. 13개 시장에서 점유율 22%를 차지한다. 인권·노동·환경·반부패 등 4개 분야의 10대 원칙을 준수하는 세계 최대 규모 자발적 협약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UNGC)'에도 가입해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왔다. 나스는 차지 앰프스의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유럽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인 아서디리틀(ADL)에 따르면 유럽은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량이 약 62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보급에 대응해 충전기도 약 5000만 기가 설치될 전망이다. 나스는 2019년 중국 최초로 설립된 전기차 충전 정보 서비스 기업이다. 지난 3월 31일 기준 중국 전역
[더구루=윤진웅 기자] 지난달 인도 투자 계획을 전면 철회한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가 필리핀으로 눈을 돌렸다. 전기차·배터리 공장 설립 관련 타당성 검토 결과에 따라 최종 투자를 결정할 방침이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도 선택지에 포함된 상태이지만, 필리핀 정부가 니켈 생산 강국인데다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활동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유력하다는 평가이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비야디는 필리핀에 전기차·배터리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세금 면제 등 현지 정부 지원 및 인센티브를 고려해 타당성을 평가한 뒤 최종 결정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비야디는 필리핀이 인도네시아에 버금가는 니켈 생산 강국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만큼 현지 전기차 생산에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필리핀은 지난해 기준 전 세계 두 전째로 큰 니켈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필리핀 정부 역시 비야디 현지 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오는 2040년까지 현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50%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소매무역자유화법, 외국인투자법, 공공서비스법, 민관협력 촉진을 위한 건설 운영 이전 법 시 행 규칙 개정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전구체 기업 GEM(거린메이)가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니켈을 상장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LME에 따르면 GEM은 지난 17일 자사 니켈 금속 브랜드 'GEM-NI1'의 상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 제품은 중국 후베이성 진먼시에 위치한 GEM 공장에서 생산되는 풀 플레이트 니켈 음극제다. 연간 1만t의 생산 능력을 갖췄다. LME가 올해 3월 기존 6~9개월이 걸리던 상장 대기 시간을 3개월로 단축한 이후 니켈 상장이 잇따르고 있다. 앞서 화유코발트도 지난 6월 니켈을 상장했다. 런던금속거래소는 앞서 작년 3월 니켈 가격이 이틀간 250% 급등해 t당 10만 달러를 넘어서자 니켈 매매를 중단하고 그 이전에 체결된 거래를 취소했다. 이후 LME는 일주일 만에 니켈 거래를 재개했으나, 기술적 결함으로 다시 거래를 중단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전기차 시장 호황에 따른 리튬 소재 수요 급증으로 중국 기업들이 해외 리튬광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짐바브웨는 '일대일로' 연선 국가로서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많은 신생 에너지 기업의 중요한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짐바브웨가 전기차 배터리의 주 소재인 리튬의 새로운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신흥 리튬 자원 국가인 짐바브웨의 광물은 주로 남북을 가로지르는 '만리장성'과 마니칼랜드 주의 '그린 스톤 벨트'에 분포됐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짐바브웨 리튬자원 매장량은 367만 톤 LCE(탄산리튬 기준 단위, Lithium Carbonate Equivalent)로 세계 7위, 아프리카 1위를 기록했다. 작년 리튬 자원 생산량은 약 4256톤의 LCE로 전 세계 총 공급량의 0.6%를 차지한다. 짐바브웨의 리튬 자원 공급량은 2025년 11만3000t에 달해 전 세계 총 공급량의 약 8.3%를 차지하며 신흥 리튬 자원 강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국은 일찌감치 짐바브웨를 배터리 핵심 원료 수입처로 삼고 탄탄한 공급망을 구축해왔다. 형통그룹은 최근 전액 출자 자회사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첨단 배터리 제조사 SES AI 코퍼레이션(이하 SES AI)가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나섰다. 상업·산업용 ESS 전문기업 UZ에너지 인수를 완료하면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운영 데이터까지 통합한 풀라인업 솔루션 역량을 갖추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SES AI는 최근 약 2550만 달러(약 350억 원)에 UZ에너지 지분 100%를 매입했다. UZ에너지는 2013년 중국 선전에 설립된 ESS 전문기업으로, 전 세계 60여 개국에 500MWh 이상 설치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고전압 ESS 제품군과 국제 품질·안전 인증을 기반으로 주거용부터 유틸리티급까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 입지를 넓혀왔다. SES AI는 이번 인수로 ESS 전 과정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자체 플랫폼 ‘몰리큘러 유니버스(Molecular Universe)’와 UZ에너지 기술을 결합, AI 기반 통합형 ESS 솔루션을 선보인다. ‘몰리큘러 유니버스’는 배터리 소재를 원자 단위에서 분석·예측하는 독자 플랫폼이다. UZ에너지의 설치·운영 데이터가 더해지면서 △배터리 수명 예측 △실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리비안이 비밀리에 개발해 온 전기자전거의 모습이 노출되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리비안의 마이크로모빌리티 자회사 ALSO는 최근 공개한 홍보 영상에서 다음달 공개 예정인 전기자전거를 노출했다. 해당 영상은 전기자전거 홍보 영상을 촬영하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비하인드 영상으로, 현재는 삭제된 상태다. ALSO에서 개발하고 있는 자전거는 약 20인치 휠, 전후방 서스펜션 등이 장착되며, 디자인은 전기자전거와 엔진이 달린 자전거인 모페드의 중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자전거 가운데에는 사각형 형태의 박스가 위치하고 있으며, 리비안의 디자인 테마가 반영된 대형 헤드라이트도 확인할 수 있다. ALSO는 첫 번째 전기자전거를 내달 22일 공개할 계획이다. 공개 전까지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 채널을 통한 홍보를 진행할 계획이다. 업계는 ALSO 전기자전거의 성공은 가격정책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로 과거 세련된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으로 힙한 제품으로 관심을 받았던 네덜란드의 밴무프(VanMoof)는 높은 가격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며 대중화에는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