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배터리 소재 회사 '중웨이구펀(中伟股份, 이하 CNGR)'이 증자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다. 니켈과 전구체 생산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를 단행, 전구체 1위 기업 지위를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CNGR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이사회를 열고 4개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유상 증자 안건을 승인했다고 공시했다. 자본금은 49억 위안(약 8891억원)에서 61억 위안(약 1조1068억원)으로 증가했다. CNGR은 △ABC금융자산투자 △CCB금융자산투자 △중국동방자산관리유한회사 △중국은행금융자산투자유한회사 등으로부터 지분 투자를 받았다. 당초 CNGR이 주식 100% 보유하고 있었지만 증자 후 지분율은 80.3220%로 줄어들었다. ABC금융자산투자가 7억 위안으로 가장 높은 금액을 출자해 지분 6.2611%를 확보했다. 나머지 3개사는 각각 5억 위안을 베팅, 지분 4.4723%를 부여 받았다. 등록자본금 1위안 당 프리미엄이 붙어 실제 납입자본금은 현금가 보다 낮은 약 3억8200만 위안과 2억7300만 위안으로 환산됐다. CNGR은 투자금을 활용해 니켈 공급망을 강화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차량 관리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 텐센트는 블록체인 기술 확보는 물론 클라우드를 활용한 블록체인 인프라 확대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중국지식산권국(CNIPA)에 따르면 텐센트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관리 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基于区块链的车辆管理方法)' 특허를 획득했다. 해당 특허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관리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한 기술을 담고있다. 특허 속 기술은 우선 차량 번호판을 해시값으로 변환한 다음 공용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그 후 기존에 저장된 차량 정보와 해시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텐센트는 해당 기술을 차량 공유, 렌탈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블록체인화 된 차량의 정보를 손쉽게 스마트폰으로 받아볼 수 있으며 업체들도 블록화된 예약정보 등을 받아볼 수 있다. 또한 계약 과정도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만큼 더욱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텐센트는 이번 특허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의 채택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텐센트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바바가 미국에서 '위조품 판매'에 기여했다는 혐의로 소송에 휘말렸다. [유료기사코드] 뉴욕남부지방법원 제시 퍼만(Jesse Furman) 판사는 27일(현지시간) 알리바바가 제기한 소송 기각 요청을 돌려보냈다. 앞서 어린이 장난감 전문기업 켈리 토이즈는 지난 3월 알리바바가 스퀴시멜로우 저작권, 상표권 침해에 기여했다며 고소한 바 있다. 이번 소송은 지난 2022년 11월 켈리 토이즈가 알리바바에서 위조 '스퀴시멜로우' 제품을 판매한 약 90명의 상인을 고소하면서 시작됐다. 켈리 토이즈는 3월에는 알리바바가 이들의 저작권, 상표권 침해에 기여했다며 피고로 추가했다. 이번 소송이 관심을 받는 것은 켈리 토이즈 뒤에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있기 때문이다. 켈리 토이즈의 모회사는 재즈웨어(Jazwares)다. 재즈웨어는 지난 2020년 4월 켈리 토이즈의 대주주 지분을 확보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2022년 10월 재즈웨어의 모회사인 앨러게니(Alleghany)를 인수했다. 켈리 토이즈는 위조품 판매 혐의로 6차례나 소송을 진행했음에도 알리바바가 자체적인 쓰리(3) 스트라이크 정책을 무시하고 일부 침해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산학계 어벤저스가 자동차용 5G 통신모듈 시장 선점을 위해 뭉쳤다. 화웨이를 필두로 표준을 구축하고 칩을 출시, 미국의 그늘을 벗어나 반도체 내재화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화웨이는 25일(현지시간) "업계 파트너와 자동차용 5G 모듈에 대한 'Uu 포트 통신 인증 표준 1.0(이하 Uu 표준 1.0)'을 공동 개발했다"며 "화웨이 본사 연구소에서 실제 테스트와 검증을 거쳐 △화웨이 MH5000 △퀙텔(Quectel) AG551Q·AG568N 등 3개 칩이 인증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표준 개발을 위해 중국 주요 기업과 대학이 힘을 모았다. 화웨이는 △통신사 차이나모바일·차이나유니콤 △셀룰러·사물인터넷(IoT) 모듈 기업 퀙텔 △푸저우 IoT 공개 연구소 △푸단대학교 마이크로전자공학부 등과 협력했다. Uu 표준 1.0은 무선통신 국제표준화 기술협력 기구인 3GPP(3rd Partnership Project) 승인을 받은 최신 5G 기술 표준 '릴리즈18(R18)'을 기반으로 한다. 5G 네트워크와 차량 간 호환성 테스트 방법을 표준화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품질 평가 기준을 제공한다. 모듈 속도, 대기시간 등을 측정할 수 있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폭스바겐그룹이 중국 자율주행차 반도체 기업 '호라이즌 로보틱스(이하 호라이즌)'와 합작사를 신설했다. 인텔, BYD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은 유망 기업과 협력해 자율주행차 두뇌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한다. 미래차 시대에 대비해 주력 판매처인 중국에서 부진을 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호라이즌에 따르면 이 회사는 폭스바겐의 소프트웨어 자회사 카리아드와 합작사 '카리아즌(Carizon)'의 닻을 올렸다. 새 합작사는 베이징에 본사를 둔다. 연말까지 300명의 고급 인력을 채용하고 호라이즌의 차량용 인공지능(AI) 반도체 '저니(Journey)'를 기반으로 한 칩 개발을 진행한다. 이 칩은 저비용·저전력을 특징으로 한다. 폭스바겐의 중국향 전기차에 탑재된다. 2015년 설립된 호라이즌은 자율주행차 반도체 분야의 유망 기업이다. 2019년 중국 최초 자율주행차용 AI 칩 저니를 선보여 이듬해 양산에 성공했다. 현재 저니5까지 출시해 고객사들에 공급하고 있다. 저니5를 탑재한 자동차는 보행자와 신호등, 차선, 표지판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주변 상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운전자의 개입을 최소화한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를 일군 마윈(马云)이 새로운 미래를 그리고 있다. 마윈의 알리바바 이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전 파트너이자 앤트그룹의 전 CEO 후샤오밍(胡晓明)이 이미바농업과학기술공사(一米八农业科技公司)의 회장 자리에 올랐다. 후샤오밍은 2005년 알리바바에 합류해 앤트그룹을 결제 서비스 회사에서 핀테크 그룹으로 성장시킨 핵심 인물로 평가받는다. 후샤오밍은 2019년 앤트그룹의 CEO를 맡았으나 지난 2021년 개인적인 이유로 CEO를 그만뒀다. 후샤오밍이 이미바농업과학기술공사의 회장을 맡은데는 마윈 알리바바 창업주의 스마트 농업 비전이 있다는 분석이다. 마윈은 이미 수 년전부터 농업에 대한 관심을 보여왔다. 마윈이 특별임용 교수로 있는 도쿄대에서도 연구하는 분야가 지속가능한 농업과 식량 생산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후샤오밍 회장도 "이미바라는 회사명이 마윈의 농업에 대한 초심모든 아이가 1m 80cm까지 건강하게 자랐으면 하는 엄마의 바람)에서 나온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로 이미바농업과학기술공사 뿐 아니라 7월 항저우에서 설립된 이미바해야과학기술유한공사에도 마윈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자율주행차량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나서 자율주행차량 활성화를 위해 적극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시장 규모는 지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운수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교통운수부(交通运输部)는 지난 5일 '자율주행차 운수 안전 서비스 지침'(自动驾驶汽车运输安全服务指南)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자율주행기술 발전을 이끌고 운수 서비스 분야에서의 자율주행차 활용을 표준화하기 위한 정책 중 하나이다. 해당 지침은 △기본 원칙 △활용 시나리오 △자율주행차운송사업자 △운송 차량 △요원 배치 △안전 보장 △관리·감독 등 7개 부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각종 도로에서 자율주행차를 운행하는 전기버스운송사업자와 택시운송사업자, 여객운송사업자, 화물 운송사업자 등에 모두 적용된다. 해당 지침에 따르면 자율주행차 서비스는 안전운행을 보장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 내에서 진행하고, 교통안전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시내공공전기버스운송사업자와 여객운송사업자가 운행하는 자율주행차 또는 화물 운송사업에 자율주행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운전 요원 1인이나 안전 요원
[더구루=김형수 기자] 중국 기업 DPP홀딩스가 지난해 9월 미국에 론칭한 온라인 쇼핑 애플리케이션 티무(Temu)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초저가 전략, 공격적 마케팅을 무기로 내세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티무발(發) 미국 유통업계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미국 데이터 분석기업 어니스트 애널리스틱스(Earnest Analytics)에 따르면 미국 할인점 시장에서 티무가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은 17%(지난달 기준)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시장점유율이 0.6%에 불과했던 것을 고려하면 1년 새 28배 넘게 폭증한 수치다. 티무 시장점유율은 올해 △1월 1.7% △3월 3.8% △5월 8.0% △7월 13.1% △9월 14.0%를 기록하며 지속 증가했다. 꾸준한 성장세에 힘입어 시장 점유율 기준 미국 할인점 업계 순위도 지난 1월 5위에서 지난 9월 3위로 2계단 상승했다. 티무가 전개하는 초저가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티무는 미국 소매가격의 1/3 수준의 가격에 물건을 판매하고 있다. 유튜브 등에 줄줄이 올라오고 있는 티무 하울(제품 품평 콘텐츠)가 중국 직구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경계감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SVOLT 에너지 테크놀로지(蜂巢能源科技, 이하 SVOLT)'가 태국에서 첫 배터리팩 생산에 성공했다. 안정적인 현지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동남아시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도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SVOLT 태국법인은 21일(현지시간) 촌부리에 위치한 배터리팩 공장 양산을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내년 1분기부터 고객사에 본격 인도를 시작할 예정이다. 촌부리 공장은 태국 에너지개발기업 '반푸그룹'의 자회사인 '반푸넥스트(Banpu NEXT)'와 합작해 설립한 생산시설이다. 반푸넥스트는 지난 10월 SVOLT 태국법인 지분 40%를 7억5000만 바트에 매입했다. SVOLT는 지난 7월 공장을 착공해 5개월여 만에 완공했다. 초기 생산능력은 연간 6만 개 규모다. 추후 시장 수요에 따라 증설한다. △하이브리드 전기차(HEV)용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배터리 기반 전기차(BEV)용 모듈·팩을 제조한다. 전기차를 시작으로 △2~3륜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등 품목 다변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신공장에서 생산되는 배터리팩 초기 물량은 중국 창청자동차(GWM)의 태국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IT기업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 여파로 개발한 자체 OS '훙멍(鴻蒙·Harmony)'의 생태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화웨이는 훙멍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 19일(현지시간) 2023 오픈소스 산업 생태 컨퍼런스에서 훙멍 OS가 장착된 단말기가 7억대를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화웨이에 따르면 7억대 중 자체 설비는 3억대 수준이다. 화웨이는 훙멍 OS가 장착된 단말기가 2024년 중으로 최대 10억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카날리스(Canalys)에 따르면 훙멍OS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12%로 17%인 iOS와 71%인 안드로이드를 추격하고 있다. 화웨이는 미·중 무역 분쟁 영향으로 구글 OS인 안드로이드 수급이 어려워지며 자체 OS를 개발했다. 2019년 1.0 버전을 출시하고 스마트 TV와 스마트폰, PC,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등에 탑재를 진행해 왔다. 화웨이는 미국의 제재 속에서 자체 OS와 함께 자체 프로세서 등을 개발하며 기술 내재화에 집중해왔다. 올해 8월에는 7나노미터 공정에서 생산된 자체 프로세서와 훙멍OS를 결합한 메이트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선사 머스크가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 규모의 메탄올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15척을 중국 조선소에 발주했다. 머스크로부터 세계 최초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을 수주했던 현대미포조선은 이번 수주전에선 고배를 마셨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선박집단(CSSC) 자회사 황푸원충조선은 머스크로부터 3500TEU 메탄올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15척을 수주했다. 머스크는 지난달 최종 후보로 중국 황푸원충과 양쯔장조선을 낙점했다. 이후 수주전 평가에서 선가 경쟁력이 높은 황푸원충에 신조 건조를 맡기기로 했다. 황푸원충은 척당 6800만 달러(약 886억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쯔장조선에는 이미 지난 6월 9000TEU급 메탄올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 6척을 발주했다. 머스크는 이들 외 현대미포조선과 저우산 창홍조선(Zhoushan Changhong International)를 두고도 발주를 저울질을 했다. 머스크는 2021년 현대미포조선에 2200TEU 메탄올 이중연료 컨테이너선을 발주한 바 있다. 머스크는 선대 리뉴얼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27년까지 메탄올 동력 선박 전체를 교체해 이산화탄소(CO2)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금융업계가 베팅한 중국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가 홍콩 증시에 상장을 추진한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휘청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기업이 투자 수익을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홍콩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옥틸리언 에너지(중국명 幂源科技·미위안 테크놀로지, 이하 옥틸리언)'는 지난 8일(현지시간) IPO(기업공개)를 위해 투자설명서를 제출했다. 상장 주관사는 글로벌 자산운용사 HSBC와 중국 최대 투자은행인 중국국제금융공사(CICC)다. 수요예측 등을 거쳐 공모가가 확정되면 시장에서 바라보는 옥틸리언의 기업가치가 평가된다. 상장을 추진하기 전 마지막 펀딩 라운드에서 약 7억 달러 규모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옥틸리언은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기술 개발 △연간 생산능력 확장 △기업 운영 자본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옥틸리언은 2009년 설립된 중국 배터리 제조사다. 중국 허페이에 본사와 주요 사업장이 있으며, 미국과 인도에도 지사를 두고 있다. 중국과 인도에서 각각 3만1912㎡와 2800㎡ 규모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다. 소형 전기차용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설계·제조·판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의 휴대전화 제조사인 'HMD(Human Mobile Devices)'이 세계 최고 인기 축구팀 중 하나인 FC바르셀로나와 손잡고 중국에서 노키아 피처폰을 출시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HMD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중국에서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레이션한 바르사 3210(Barça 3210) 피처폰을 선보였다. HMD는 클래식 노키아 휴대전화의 매력과 FC바르셀로나의 브랜드를 결합해, 노키아를 좋아하는 축구팬을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르사 3210은 HMD와 FC바르셀로나가 맺은 파트너십에 따라 제작됐다. 양사는 지난해 8월 3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바르사 3210이 처음 출시된 것은 지난 4월이다. HMD는 바르사 3210 외에도 컬래버레이션 스마트폰인 '바르사 퓨전'도 출시했었다. 바르사 3210은 지난해 출시된 노키아 3210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4G 통신망을 지원하며 200만화소 후면 카메라 1개가 장착됐다. 디자인은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한 제품이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엠블럼과 상징색이 사용됐다. 휴대전화 후면에는 FC바르셀로나를 상징하는 자주빛의 빨간색과 엠블럼이 각인됐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