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이탈리아의 럭셔리 완성차 기업 마세라티가 플래그십 전기 모터보트를 시장에 선보였다. 마세라티는 전기화 전략을 기존 자동차에서 해상으로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마세라티는 럭셔리 전기 모터보트 '트리던데(TRIDENTE)'를 최근 공개했다. 마세라티는 트리던데 개발을 위해 비타 파워(VITA POWER)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비타 파워는 전용 고속 충전 시스템 등 전반적인 전기 추진 시스템을 담당했다. 트리던테의 길이는 10.5m로 운전자를 포함해 최대 10명이 탑승할 수 있다. 배터리는 252kWh이며 직류(DC) 고속 충전을 지원해 10%에서 90%까지 1시간 이내 충전이 가능하다. 최대 출력은 600마력이며 순항속도는 25노트(46.3km/h)다. 최대 속도는 40노트(74.07km/h)에 달한다. 트리던테의 몸체는 탄소 섬유로 만들어졌으며 승객들을 위한 샤워 시설, 선데크가 설치됐다. 또한 침대와 화장실도 갖추고 있다. 트리던테의 시작 가격은 250만 유로(약 37억3000만원)에 달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럭셔리 스포츠카 제조업체 포르쉐가 독일 배터리 제조사 바르타(Varta)의 대형 리튬이온 배터리 사업에 투자를 추진한다. 바르타는 포르쉐의 투자를 이끌어내 수익성 있는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르쉐는 바르타의 대형 리튬이온 배터리 사업 V4드라이브(V4Drive)에 대한 잠재적 투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양사는 현재 구속력 없는 계약서에 서명했으며 재무적 요소는 공개하지 않은 채 세부 사항을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번 투자 논의는 바르타가 올해 연간 매출 전망을 하향 조정한지 한 달 만에 이뤄졌다. 바르타는 올해 연간 매출을 8억2000만~8억7000만 유로(약 1조2200억~1조3000억원)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이전 전망치인 최소 9억 유로(약 1조3400억원)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번 투자 거래는 성공적인 실사 검토와 주주 승인을 조건으로 한다. 거래가 최종 승인 되면 바르타는 V4드라이브 사업을 자회사인 V4드라이브 배터리 GmbH(V4Drive Battery GmbH)로 이전하고 포르쉐가 증자를 통해 참여하게 된다. 이 경우 포르쉐는 V4드라이브 배터리 GmbH
[더구루=길소연 기자] 수소를 활용한 철강 탈탄소화가 이탈리아에서 처음으로 시험 적용된다. 이탈리아는 철강공장에서 수소를 사용해 철강제품을 처리하는 시험을 통해 그린 철강 전환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강관 생산 업체인 이탈리아 테나리스(Tenaris)는 유럽의 주요 에너지 인프라 운영사 중 하나인 스남(Snam), 이탈리아 엔지니어링 기업 테노바(Tenova)와 협력해 6개월간 탈탄소화가 가장 어려운 부문에서 수소 사용의 성능과 신뢰성을 평가한다. 테스트는 테노바가 최근 개발해 테나리스의 달미네(Dalmine) 공장에 설치한 이음매 없는 파이프 열간압연 재가열로에 수소를 사용해 연료를 공급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산업 제조 공정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낮추는 통합 솔루션 개발을 시작한다. 테나리스는 이번 프로젝트 테스트 현장 제공 외에도 제철소의 설치, 운영, 성능 모니터링에 대한 노하우도 제공할 예정이다. 스남은 달미네 공장에서 테스트에 필요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알칼리성 전기분해 시스템을 제공한다. 테노바는 연소 시스템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고 수소 연료 전용 버너를 공급함으로써 공정의 가치 사슬을 완성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 원자력공사(이하 SNN)가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회사에 자금 지원 규모를 늘린다. 탄탄한 자금이 뒷받침돼야 속도감 있고 안정적으로 SMR 사업을 전개할 수 있어서다. 루마니아에 SMR을 공급할 뉴스케일파워와 파트너사인 '두산에너빌리티'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4일 부쿠레슈티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SNN은 전날 현지 에너지부의 요청으로 오는 18일과 19일 예정된 임시 주주총회 안건을 보완했다. 가장 눈에 띄는 안건은 자금 조달이다. SNN은 작년 8월 16일 체결한 대출 계약에 따라 합작사 로파워 뉴클리어(RoPower Nuclear)에 지원할 자금 한도를 2억4300만 달러(약 3300억원)까지 증액하는 안건을 올렸다. 로파워 뉴클리어는 SNN과 민간 전력 회사인 누바파워·가스(Nova Power & Gas)가 SMR 사업을 위해 설립한 합작사다. SNN은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 조달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깔고 대출 한도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안건이 통과되면 로파워 뉴클리어는 조달 자금으로 SMR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다. SMR은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기술로 불확실성이 큰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주류·음료기업 산토리홀딩스 인도 법인이 공식 출범했다. 인도를 교두보로 삼아 아프리카, 중동 등으로 글로벌 영토 확장을 나선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산토리홀딩스는 4일 인도 법인이 공식 운영을 시작했다. 마사시 마츠무라(Masashi Matsumura) 매니징 디렉터가 산토리 인도 사업의 지휘봉을 잡았다. 산토리홀딩스 인도법인은 인도 수도 뉴델리 인근에 있는 도시 구르그람(Gurugram)에 자리를 잡았다. 구르그람은 BMW, GE, 지멘스 등 여러 글로벌 기업의 인도 본사가 자리하고 있어 인도 경제·산업의 중심지로 꼽히는 곳이다. 산토리홀딩스는 인도 법인을 통해 현지에서 주류, 음료 사업을 전개하며 장기적 성장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인도에 일본 위스키 야마자키·히비키와 미국 위스키 짐빔·메이커스 마크 등 주류, 오렌지나·오아시스·보스 커피 등 음료를 선보일 전망이다. 세사민 EC(Sesamin EX) 등의 브랜드를 내세워 현지 건강기능식품 시장 공략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인도 사업 거점을 마련하고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현지 주류, 음료 수요를 선점하기 위한 산토리홀딩스의 행보로 해석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더구루=정등용 기자] 독일 화학 대기업 바스프(BASF)가 칠레 리튬 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를 철회했다. 전기자동차 판매 성장 둔화에 따른 주요 원자재 가격 하락이 요인으로 꼽힌다. [유료기사코드] 바스프는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를 통해 칠레 리튬 탐사 프로젝트와 관련한 웰스 미네랄(Wealth Minerals)과의 초기 회담에서 철수했다고 발표했다. 바스프는 “결국 웰스 미네랄과의 협력은 실현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당초 바스프는 웰스 미네랄과 협력해 칠레 리튬 탐사 프로젝트와 관련한 자금 조달 방안을 모색하고 있었다. 또한 리튬을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음극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장 설립도 추진하고 있었다. 하지만 바스프는 전기차 판매 둔화로 주요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자 칠레 리튬 개발을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시아 공급업체들이 유럽 제조업체들이 따라올 수 없을만큼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배터리를 앞세우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앞서 바스프는 프랑스 광산 업체 에라메(Eramet)와 추진해왔던 인도네시아 니켈·코발트 합작공장 투자도 백지화 했다. 에라메는 프로젝트 실행 전략에 대한 평가 끝에 이 같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라클래식 커뮤니티가 바이낸스에서 루나 클래식(LUNC)의 추가 소각을 진행했다. 테라클래식 커뮤니티는 소각을 통한 LUNC의 가치 상승을 시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테라클래식 커뮤니티는 바이낸스에서 LUNC 토큰 17억개를 소각했다. 바이낸스는 2022년 5월 사태 이후 LUNC 소각을 지원해왔다. LUNC는 2022년 5월 벌어진 '테라-루나' 붕괴 사태 이후 테라 블록체인의 하드포크를 통해 새롭게 가상자산을 출시하면서 기존 루나가 리브랜딩 된 토큰이다. 하드포크란 기존 체인을 두고 새로운 규칙을 가진 체인을 분리시켜 쌓는 업그레이드를 말한다. 이에 따라 기존 체인과 하드포크로 새로 생긴 체인은 동시에 존재하지만 다른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번 소각은 23번째 LUNC 소각으로 테라클래식 커뮤니티는 바이낸스에서만 지금까지 620개 LUNC를 소각했다. 이번 소각으로 현재까지 소각된 LUNC는 1250억개를 넘어섰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LUNC는 약 6조7800억개다. 대규모 소각에도 시장에서는 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소각 직전 LUNC의 1개당 가격은 0.000081달러 선이었던 것이 소각이 진행된 1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다국적 엔지니어링기업 램볼(Ramboll)이 국내 최초 대규모 해상풍력단지인 안마 해상풍력사업(Anma Offshore Wind Energy) 설계를 맡는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안마해상풍력(주)는 최근 램볼을 532MW 안마 해상풍력발전 단지에 대한 세부 기초 설계와 인증 프로세스 지원 업체로 선정했다. 램볼은 안마해상풍력(주)와 풍력 발전 단지의 38개 14MW 유닛에 대한 풍력터빈발전기(Wind Turbine Generator, WTG) 기초 상세 설계 계약을 체결했다. 안마풍력발전은 핀파일(Pinpile, 재킷 암반에 고정)이 사전 설치된 3단 재킷(Jacket)으로 지원된다. 램볼은 설계 기준 파트 A를 개발하고 인증 기관과 함께 인증 프로세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팀 피셔(Tim Fischer) 램볼 풍력 부문 글로벌 전무이사는 "서울에서 성장하고 있는 우리 현지 팀은 국제 전문가들과 협력하고 있다"며 "램볼은 한국의 녹색 에너지 미래를 향한 한국의 여정을 지원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램볼은 지난 2022년 말 한국에 첫 사무소를 설립해 한국의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 협력이 쉽다. 안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테스볼트(Tesvolt)'가 창립 이래 최대 규모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장치(BESS) 수주를 따냈다. 테스볼트의 영향력이 확대되며 배터리 파트너사인 삼성SDI가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테스볼트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독일 남서부 라인란트팔츠주 보름스 인근에 구축될 65MWh급 ESS 시설에 대한 공급 계약을 확보했다. 테스볼트는 ESS 공급·설치와 저장 발전소에 대한 서비스 유지·관리 역할을 수행한다. 테스볼트가 공급하는 ESS에는 삼성SDI의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배터리가 장착된다. 삼성SDI는 일찍부터 테스볼트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배터리를 공급해왔다. 테스볼트는 "ESS의 전체 수명 동안 좋은 수익성을 달성하기 위해 삼성SDI의 고품질 배터리 셀을 사용한다"며 "대규모 저장 시스템에 설치된 리튬 NCA 셀은 일반적인 리튬인산철(LFP) 셀에 비해 에너지밀도가 높고 효율이 평균 이상"이라고 평가했다. 테스볼트는 자사 ESS의 뛰어난 안전성을 자신했다. 자체 개발한 방화 시스템을 적용해 셀의 과열을 바로 감지하고 소화제가 자동 주입, 가동을 멈춘다. 자사 방화 시스템은 유럽 내에서 유럽(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가 오르카(Orka) 잠수함 사업 후보군과의 예비 협상 절차를 완료했다. 결과물을 현지 당국에 제출하며 입찰 준비를 거의 끝냈다. 입찰이 곧 개시될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기업들과 수주 경쟁을 펼치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도 입찰 전략을 새로이 다잡고 있다. 2일 폴란드 해양경제(Gospodarka Morska) 등 외신에 따르면 폴란드 군비청은 지난달 오르카 프로젝트에 대한 예비 시장 협의(WKR)를 완료했다. 잠재 공급사들로부터 받은 성능과 비용 등 주요 정보를 토대로 권장 사항을 작성하고 이를 폴란드 기술현대화위원회(Rady Modernizacji Technicznej)에 전달했다. 군비청은 지난해 약 11개 업체로부터 참여 의향서를 받았다. <본보 2023년 8월 8일 참고 HD현대중공업·한화오션, '폴란드 잠수함' 사업 출사표…11개 업체 경쟁> 이후 약 1년 만에 WKR 절차를 마치며 입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론적으론 이달 입찰이 가능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군비청은 먼저 3개 후보군으로 좁힌 후 이르면 내년 상반기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입찰의 막이 오르며 후보군들의 경쟁도 치열할 전망
[더구루=한아름 기자] 종근당의 이스라엘 파트너사 캔파이트 바이오파마(Can-fite Biopharma·이하 캔파이트)가 나모데노손의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의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비대상성 간경변은 간이식 외에는 치료가 힘든 중증 간경변인 만큼 나모데노손의 가치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16년 캔파이트와 나모데노손 판권 계약을 체결한 종근당에도 호재로 작용할지 관심이다. [유료기사코드] 이스라엘 소로카 메디컬 센터(Soroka Medical Center)는 지난해부터 나모데노손 동정적 사용제도를 진행한 결과, 비대상성 간경변을 앓고 있는 63세 여성 환자에게서 간지표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의약품 동정적 사용제도는 허가 전 임상 단계에 있는 신약후보물질을 인도주의적 차원으로 환자에 지원하는 제도다. 환자는 비대상성 간경변으로 인해 복수가 차면서 발생한 급성 정맥 출혈로 병원에 입원했다. 이후 나모데노손을 1년간 투약했더니 혈액검사·간섬유화검사 등에서 호전을 보였다. 부작용을 보고되지 않았다. 나모데노손이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의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는 게 병원 측 설명이다. 나모데노손 동정적 사용제도 총 책임자인 오하드 에치온(Oh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 포병부대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보낸 K9 자주포를 실사격하고 화력과 성능, 기동성에 극찬을 보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폴란드 제18기계화사단은 지난달 노바 덴바(Nowa Dęba) 훈련장에서 K9 자주포 위력과 사거리, 효율성을 테스트했다. 테스트에 참여한 제18기계화사단 부대원들은 첫 실사격 후 "K9 자주포가 안정적이고 직관적이라 운용하기에 좋다"고 평가했다. 폴란드는 최근 한화에어로로부터 K9 자주포와 다연장로켓(MLRS) 호마르-K(HOMAR-K, K-239 천무 폴란드명)' 발사대 모듈을 전달받았다. 1차 계약 물량의 일환으로, K9 자주포는 다섯 번째 배치이다. <본보 2024년 6월 12일 참고 한화, 폴란드에 K9 자주포 6문·호마르-K 발사대 12대 모듈 인도> K9 자주포는 지난달 인도 물량을 포함해 총 72문을 납품했다. △1차-2022년 12월 24문 △2차-작년 2월 12문 △3차-작년 3월 12문 △4차-작년 12월에 18문을 납품했다. 오는 2026년까지 212문이 공급될 예정이다. 공급된 물량 중 24문은 벵고제보에 위한 제16기계화사단 제11포병연대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Meta)와 패션 브랜드 레이벤(Ray Ban)이 새로운 디자인의 스마트 안경을 공개했다. 메타는 실시간 인공지능(AI) 번역 기능을 정식 출시하는 등 스마트 안경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레이벤은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Skyler Shiny Chalky Gray)'라는 스마트 안경을 출시했다. 메타-레이벤은 해당 스마트 안경이 뉴트럴 톤에 포인트 컬러를 더한 캣아이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실내외 어디에서나 착용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메타에 따르면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연한 회색의 안경 프레임'과 변색 기능을 갖춘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가 결합됐다. 또한 1200만 화소 광각 카메라와 오픈이어 스피커 2개, 마이크 5개, 완충 시 최대 4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됐다. 무게는 50그램(g)이다. 트랜지션 사파이어 렌즈는 실내에서는 투명하게, 실외에서는 검정색으로 변해 사용성을 높였다. 스카일러 샤이니 초키 그레이 스마트 안경은 미국과 캐나다, 영국,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핀란드, 노르웨이, 덴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팀이 생체신호로 감정을 확인할 수 있는 '패치'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해당 기술이 원격 의료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여갈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팀은 피부 온도와 심박수, 혈중 산소 농도와 같은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해, 착용자의 감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티커 형태의 패치를 개발했다. 해당 연구 내용은 미국화학회 동료 심사저널인 '나노레터스(Nano Letters)'를 통해 공개됐다. 패치에는 피부 온도, 심박수, 혈중 산소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탑재됐다. 패치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모바일 기기와 클라우드를 통해 의사에게 전달돼,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연구팀은 측정된 데이터만 전송되도록 설계돼 개인정보가 보호된다고 덧붙였다. 패치 개발은 2단계에 걸쳐 진행됐다. 1단계에서는 8명의 실험자를 모집해 △행복 △놀라움 △두려움 △슬픔 △분노 △혐오 등 6가지 감정에서 나타나는 얼굴 표정을 확인했다. 이렇게 확보된 데이터는 인공지능(AI) 모델 학습에 이용됐다. 연구팀은 AI모델이 얼굴 표정만을 보고 96.28%의 정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