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 에어택시 제조업체 릴리움(Lilium)이 애프터마켓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상용화에 앞서 관련 서비스 구축에 나선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릴리움은 22일 릴리움제트의 효율적이고 원할한 작동을 보장하는 디지털 솔루션 제품군을 제공하는 애프터마켓 서비스 포트폴리오 '파워-온(POWER-ON)'의 2단계 청사진을 공개했다. 애프터마켓은 제품 판매 후에 부품을 교체하거나 제품의 정비 및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등 판매 후 파생되는 서비스 사업이 진행되는 시장을 말한다. 디지털 제품군에는 비행 계획, 항공기 성능, 전자 비행 백 솔루션, 건강모니터링, 고객 포털 등이 포함된다. 고객 포털은 효율적인 작업 흐름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능을 통합한다. 릴리움은 "우리의 목표는 릴리움제트 작동의 모든 측면에서 최대한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독일에 기반을 둔 릴리움은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 등과 함께 에어택시 분야의 선두주자로 꼽힌다. 지난 2017년 2인승 eVTOL의 시험 비행을 마쳤고 2019년에는 5인승 제품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현재 7인승 제품 개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EDF가 10년 동안 매년 2기 원전을 짓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핀란드와 스웨덴, 네덜란드 등 다른 유럽 국가에도 원전 수출을 추진한다. 체코 원전 수주전 패배로 등장한 '프랑스 원전 산업'의 위기설을 의식해 공격적인 청사진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9일 RFI 등 프랑스 매체에 따르면 EDF는 지난 17일 체코 원전 수주 발표 직후 공식 성명을 통해 "향후 10년 동안 매년 2기 원전을 건설하겠다는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예정대로 프랑스에 최대 EPR2 원전 14기를 구축하고 다른 국가에도 공급을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EDF가 노리는 국가는 폴란드와 핀란드, 스웨덴, 네덜란드, 슬로베니아 등이다. EDF는 앞서 폴란드 신규 원전 입찰에 참여했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웨스팅하우스에 밀렸으나 포기하지 않고 추가 원전 사업 수주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 2022년에는 핀란드 포어텀(Fortum)과 핀란드와 스웨덴 내 대형 원전·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에 손잡았고, 네덜란드 제일란트주 보르셀러에 원전 2기를 짓는 사업 입찰에도 출사표를 던졌다. 슬로베니아에서도 2400㎿ 원전 사업에 관심을 표명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튀르키예 법원이 네이버 북미 콘텐츠 자회사 왓패드(Wattpad) 접속을 차단했다. 튀르키예 법원은 수백만명의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왓패드 접속 차단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법원이 왓패드 접근 차단 명령을 내리면서 튀르키예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검열 논란이 촉발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앙카라 제10 형사평화법원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왓패드에 대한 접속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 왓패드는 튀르키예 내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 하루 이용자만 수백만명이다. 현재 법원이 무슨 이유로 왓패드를 차단했는지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일각에선 왓패드 내 일부 콘텐츠가 튀르키예 법률을 위반했을 수 있다는 분석 정도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판결이 나오기 전 튀르키예 일부 언론에서 왓패드 일부 콘텐츠를 표적으로, 비난 보도를 연이어 쏟아낸 바 있다. 법원이 왓패드 접근 차단 명령을 내리면서 튀르키예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검열 논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를 끈 플랫폼인 만큼 SNS상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표현의 자유 협회(İFÖD) 창립 멤버인 야만 아크데니즈(Yaman Ak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카오모빌리티와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 글로벌 공동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영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가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VX4' 두 번째 시제기를 공개했다. 이전 시제기보다 진보된 성능으로 항공 인증 단계와 상용화에 한발 더 가까워졌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이하 버티컬)는 두 번째 풀스케일 eVTOL VX4를 공개했다. 버티컬은 두 번째 VX4로 비행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작년부터 제작해온 두 번째 시제기는 영국 항공기 구조물제작사 GKN 에어로스페이스와 글로벌 항공전자기술 솔루션 기업인 하니웰, 대만 배터리 제조사 몰리셀, 이탈리아 방산기업 레오나르도, 글로벌 화학소재 전문기업 솔베이 등을 포함한 글로벌 항공우주 파트너와 함께 협력해 영국 브리스톨 인근의 최첨단 항공우주 배터리 시설인 버티컬 에너지 센터에서 설계·제작됐다. 최신 VX4에는 파트너들의 기술이 60% 적용됐다. <본보 2023년 9월 1일 참고 버티컬, '한화에어로 핵심 기술' 적용한 두번째 eVTOL 제작 돌입...내년 비행 목표> 내년부터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선급인 뷰로 베리타스(BV)가 전기차 배터리 글로벌 1위 기업인 중국 CATL이 개발한 리튬이온 배터리 선박에 형식 승인했다. 이번 선급 인증으로 선박용 리튬 이온 배터리 시스템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BV는 10일(현지시간) CATL의 자회사 닝더스다이전기선박과학기술회사(寧德時代電船科技有限公司, 이하 CAEV)가 개발한 리튬이온 배터리 셀과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해양 형식 승인 인증서를 발급했다. 형식 승인은 선급에서 제시하는 안전과 성능 기준을 만족하는지 검증하는 절차다. 인증을 받아야 실제 선박에 해당 부품이나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은 선박의 발전기와 전력부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 및 관리해 발전기 연료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경오염 물질 배출 감소는 물론 선박 운항 비용도 절감한다. 이번 형식 승인은 작년 말 BV와 CAEV가 체결한 양해각서(MOU)를 바탕으로 한다. 양측은 해양 배터리 관련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분야에서 양사의 협력과 공동 발전을 강화하기 위해 전략적 협력을 맺었다. 장화타오(江华涛) BV 북아시아 연구개발(R&a
[더구루=김형수 기자] 프랑스 주류기업 페르노리카(Pernod Ricard)가 와인 브랜드를 매각한다. 체질 개선을 통해 실적 반등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페르노리카는 18일 AWL(Australian Wine Holdco Limited)과 여러 와인 브랜드 매각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 다만 구체적 계약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AWL은 아콜레이드와인(Accolade Wines) 소유주와 국제기관 투자자 등이 협력해 구축한 컨소시엄이다. 이번 매각 계약에 따라 △제이콥스 크릭(Jacob’s Creek) △올랜도(Orlando) △세인트 휴고(St Hugo) △스톤리(Stoneleigh) △브랜콧 이스테이트(Brancott Estate) △처치 로드(Church Road) △캄포 비에호(Campo Viejo) △이시오스(Ysios) △타르수스(Tarsus) △아스필리쿠에타(Azpilicueta) 등 10개 와인 브랜드를 AWL에 넘길 예정이다. 호주, 뉴질랜드, 스페인 등에 자리한 이들 와인을 생산하는 와이너리 7곳의 주인도 AWL로 바뀐다. 내년 상반기 내에 거래가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0월 제기된 페르노리카 와인 브랜드 매각설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선사 머스크(Maersk)가 한국 조선소와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컨테이너선 건조 뭍밑 협상을 진행 중이다. 중국 조선소의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설계에 실망한 게 이유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는 한국 조선소에 1만6000TEU급 12척의 컨테이너선 신조를 문의했다. 머스크의 문의 내용과 조선소는 비공개이다. 머스크의 신조 선박은 LNG 이중연료 추진 사양으로 발주될 전망이다. 머스크는 그동안 LNG 다음으로 선택할 미래 선박 연료로 메탄올을 택해 메탄올 추진선을 발주해왔다. 메탄올 추진 선박으로 기존에 운영하던 노후 컨테이너선을 일부 대체해 연간 이산화탄소(CO₂) 배출 100만톤(t) 가량 저감 효과를 기대했다. 하지만 중국 황푸원충 조선소에 발주한 15척의 35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의 설계 도면에 실망하면서 발주를 중단하고, LNG 추진선으로 복귀했다. 머스크는 중국 조선소 발주 연기와 함께 올해 하반기까지 사업을 재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보 2024년 5월 9일 참고 머스크, 中에 주문한 '1조원↑' 메탄올 추진 컨선 15척 발주 '잠정 보류'> 머스크는 탈탄소화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형 컨테이너 해운사들이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선택해 차세대 컨테이너선을 주문하고 있다. 선사들이 탈탄소화를 위해 친환경 선대 구축에 박차를 가하면서 LNG 추진선을 발주한다. LNG는 가격과 인프라 측면에서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현재까지 대체 연료 선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덴마크 선사 머스크, 프랑스 CMA CGM, 노르웨이 SFL 코퍼레이션, 싱가포르 이스턴 퍼시픽 쉬핑(EPS), 그리스 캐피탈 마리타임 앤 트레이딩 등 주요 선사들이 차세대 컨테이너선에 LNG 이중연료(DF·Dual Fuel) 추진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CMA CGM은 최근 HD한국조선해양과 1만55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총 3조6832억원으로, 척당 선가는 3069억원에 달한다. <본보 2024년 6월 19일 참고 HD현대 '5조원' 규모 프랑스발 컨테이너선 20척 수주 '잭팟'> 선박에는 LNG 이중연료 추진 엔진을 비롯해 폐열회수장치 등 친환경 장비가 탑재된다. 폐열회수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해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장비를
[더구루=한아름 기자] 도미노피자가 글루텐프리 피자를 선보인다. 최근 전 세계에서 웰빙 열풍이 불면서 글루텐 프리 식품 시장 성장세가 가파른 가운데, 국내 출시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도미노피자가 스페인에 글루텐 프리 피자를 론칭한다. 지난 2012년 영국에 처음 론칭한 데 이어 미국, 호주, 캐나다 등 10여개국에 판매 중이며 출시국을 지속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도미노피자 측은 현지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글루텐 프리 피자를 개발·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글루텐 민감증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더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커진 소비자 사이에서 글루텐 프리 식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는 분석에서다. 도미노피자의 글루텐 프리 피자는 스페인 셀리악병(소화장애) 협회(FACE)의 인증을 받아 신뢰성·안전성을 입증받았다.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고려했다. 얇은 도우로 바삭한 식감을 극대화한 '씬 도우'에 모짜렐라 치즈, 햄, 치킨, 베이컨, 버섯 등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도미노피자가 글루텐 프리 피자 사업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성장 잠재력이 높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포드가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공들인 준중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익스플로러EV' 생산을 본격화했다. 탄탄한 내구성에 더해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얻을 것으로 기대되며 유럽 현지 운전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전날 독일 쾰른 공장에서 익스플로러EV 1호 모델을 출고했다. 당초 지난해 8월부터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었으나 비용 효율을 우선시하는 산업 동향에 따라 기존 니켈 망간 코발트(NMC) 배터리에서 리튬 철 인산염(LFP) 배터리로 전환하기로 결정하면서 11개월 가량 지연됐다. 폭스바겐의 전기차 전용 MEB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된 익스플로러EV의 판매 가격은 4만9900달러(한화 약 6891만 원)다. 포드가 유럽에서 판매하는 가장 저렴한 전기차 모델이다. 머스탱 마하-E와 비교해 최소 3200달러 싸다. 파워트레인은 281마력을 내는 단일 모터를 갖춘 후륜 구동 모델과 335마력을 내는 듀얼 모터가 장착된 사륜 구동 모델 등 두 가지로 구성됐다. 두 모델 모두 최대 11킬로와트 AC 충전을 지원하며 급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 국영 원전기업 PEJ가 미국 웨스팅하우스 주도의 신규 원전 사업에 폴란드 기업의 참여를 확인한다. 현지 기업의 관심도와 준비 상황을 살피고 지원 방안을 세울 계획이다.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신규 원전 건설이 가져올 수주 기회를 현지 기업들이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유료기사코드] 17일 PEJ에 따르면 이 회사는 폴란드 경제연구소(Polish Economic Institute), 폴란드 개발은행(Bank Gospodarstwa Krajowego, 이하 BGK)과 폴란드 기업의 신규 원전 사업의 참여 연구를 시작했다. 이번 연구는 폴란드 기업의 원전 사업 참여 잠재력을 파악하고자 기획됐다. 원전 분야에 폭넓은 연구 경험이 있는 폴란드 경제연구소의 주도로 진행된다. 해당 연구소는 수십 개의 세부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수행한다. 원전 사업에 관심이 있는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설문 조사를 통해 폴란드 기업의 관심 정도를 파악하고 참여를 막는 장벽을 확인한다. 금융 지원과 인증서 취득 등 원전 공급망에 참여토록 현지 기업을 지원할 방안을 마련한다. 아담 유슈차크 폴란드경제연구소 박사는 "질적 연구와 업계 협의가 선행됐다"며
[더구루=길소연 기자] 덴마크 해상 풍력 발전 단지 운송·설치 계약업체 카델러(Cadeler, 옛 에네티)가 해상 풍력터빈발전기(Wind Turbin Generator, WTG) 설치를 위한 선박 용량 확보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카델러(Cadeler)는 풍력터빈발전기(WTG)를 운송·설치하기 위한 공급업체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업체는 비공개로 오는 2029년 WTG 설치를 위해 카델러와 계약했다. 카델러는 해상 풍력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 서비스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업계 최대 규모의 잭업 해상풍력설치선을 소유, 운영하고 있으며 10년 이상 수백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해상 풍력 에너지 개발의 핵심 업체다. 카델러는 4척의 풍력 터빈 설치 선박(WTIV)을 운영 중이며 2026년까지 6척의 신조선이 인도될 예정이다. 신조선 중 일부는 한화오션이 건조한다. 한화오션은 카델러와 합병 전 에네티의 자회사인 시잭인터내셔널로부터 NG16000X WTIV를 지난 2021년 상, 하반기에 각각 1척씩 수주했다. <본보 2021년 5월 12일 참고 대우조선, '3700억원'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수주> 한화오션은 지난 3월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비보(Vivo)의 프리미엄 브랜드 아이쿠(iQOO)가 소형 플래그십 태블릿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아이쿠의 참전으로 애플과 샤오미가 주도하고 있는 소형 태블릿 시장 경쟁 구도가 변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유명 IT 팁스터 '디지털 챗 스테이션(DCS)'은 "아이쿠가 플래그십 사양을 갖춘 8.3인치 소형 태블릿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DCS는 아이쿠가 해당 테블릿을 올해 말 출시할 계획이지만, 내부 사정으로 내년으로 연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DCS에 따르면 아이쿠의 새로운 태블릿은 퀄컴의 최신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출시가 2026년으로 연기될 경우 차세대 칩셋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DCS는 디스플레이 크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외의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업계는 아이쿠가 고성능을 앞세워 기존의 강자인 애플 아이패드 미니와 샤오미 패드 미니 등과 직접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고있다. 샤오미 패드 미니는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레드미 K 패드의 글로벌 판매명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로봇 스타트업 카트켄(Cartken)이 사업의 중심축을 '라스트 마일 배송'에서 '산업 현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카트켄은 기존 라스트 마일 배송 사업은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며, 기술 개발에 발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카트켄은 최근 쿠리어(Courier) 6륜 식품 배달 로봇을 산업 현장 자재 운반용 로봇으로 투입하고 있다. 크리스처 버쉬(Christian Bersch) 카트켄 최고경영자(CEO)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를 통해 "배송로봇을 산업 현장에 투입하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다"며 "산업 현장 수요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트켄은 2019년 구글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로보 스타트업으로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 로봇을 주로 공급해왔다. 카트겐의 배송 서비스를 이용한 기업으로는 그럽허브와 스타벅스, 우버이츠 등이 있다. 이들 기업들은 쿠리어를 이용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카트켄의 사업 전환은 2023년 독일의 제조 회사인 ZF 라이프텍(ZF Lifetec)과 첫 산업 고객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ZF 라이프텍은 공급받은 쿠리어를 자재 운반용으로 투입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