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약 20조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네옴시티 등 초대형 프로젝트로 인해 곳간 사정이 악화하는 가운데 자금 조달에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PIF는 주요 23개 금융기관과 150억 달러(약 20조600억원) 규모 회전거래신용(Revolving Credit Facility) 약정을 맺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RCF의 만기는 3년으로 추가로 2년 연장할 수 있다. RCF는 기업들이 이용하는 일종의 마이너스통장으로 일정 기낸 동안 한도 내에서 계속 돈을 빌릴 수 있다. PIF는 앞서 이달 초 중국 주요 금융기관과 최대 70조원 규모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유동성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본보 2024년 8월 2일자 참고 : 사우디 PIF, 中 금융기관 6곳과 '70조 규모' MOU 체결> PIF는 네옴시티와 같은 초대형 프로젝트를 비롯해 첨단 산업 육성와 스포츠 이벤트 개최 등에 막대한 돈을 지출하면서 보유 현금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실제로 작년 9월 기준 PIF의 현금 보유량은 150억 달러로 1년 전 500억 달러 대비 75% 감소했다. 이는 PIF가 관련 데이터를
[더구루=정등용 기자] GS그룹 산하 기업형벤처캐피털(CVC)인 GS퓨처스가 미국 PAI(물리적 인공지능) 스타트업 버틀러(Butlr)에 투자했다. AI(인공지능) 투자에 대한 허태홍 GS퓨처스 대표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란 해석이다. 버틀러는 26일(현지시간)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3800만 달러(약 5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총 투자 유치 자금은 6800만 달러(약 900억원)로 늘어났다. GS퓨처스는 △퍼시픽 얼라이언스 벤처 △DNX 벤처스 △레이 스타타 △조이 이토 △캐리어 △퀄컴 등과 함께 이번 라운드의 주요 투자사 중 하나로 참여했다. GS퓨처스의 이번 투자는 AI 산업에 대한 허 대표의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허명수 전 GS건설 부회장의 차남이자 허주홍 GS칼텍스 전무의 동생인 허 대표는 GS홈쇼핑 벤처투자팀 소속으로 투자 관련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지난 2020년 GS퓨처스 대표를 맡았다. 허 대표는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 참석해 AI 관련 기술과 전략을 살펴보기도 했다. MIT 미디어랩에서 분사한 버틀러는 벽이나 천장에 자석으로 부착하는 센서 형태의 체온 감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생명이 투자한 프랑스 자산운용사 메리디암(Meridiam)이 요르단 담수화 프로젝트의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 향후 요르단 특별조달위원회(Special Procurement Committee)와 구체적인 협상에 착수할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메리디암과 수에즈로 구성된 프랑스 컨소시엄은 최근 요르단 ‘아카바 해수 담수화 프로젝트’의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 아카바 해수 담수화 프로젝트는 홍해 바닷물의 염분을 제거해 담수로 만들어 요르단 수도 암만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약 445km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연간 3억㎥(입방미터)의 물이 공급되며, 총 사업 규모는 42억 달러(약 5조5840억원)에 이른다. 사업 추진을 위해 요르단 정부는 지난 2022년 유럽투자은행으로부터 2억유로(약 2780억원)의 차관을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요르단은 심각한 물 부족에 직면해 있다. 지난 2019년 기준 요르단의 연간 강우량은 30~600mm로 세계에서 4번째로 물이 부족한 나라다. 또한 국토의 80% 이상이 연간 강수량이 100mm 미만인 사막 지대이며, 4%만이 연간 300mm
[더구루=정등용 기자] 헤지펀드와 기타 대형 투기자본의 금 순매수 포지션이 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26일 미국 정부 등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헤지펀드와 기타 대형 투기자본의 금 순매수 포지션은 전주 대비 7.8% 증가한 23만6749건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초 이후 최고치다. 헤지펀드와 투기자본의 금 순매수 포지션이 늘어났다는 것은 금 베팅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2월물 금 선물은 20일 미국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온스당 255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선물 가격은 지난 12일 종가(2504달러) 기준 처음으로 2500달러를 넘어선 뒤 최근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최고가 행진을 하고 있다. 금값이 치솟으면서 투자 수요도 몰리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금 선물 가격과 연동한 ‘KODEX 골드선물(H)’, ‘TIGER 골드선물(H)’를 각각 15억원, 7억원 규모로 순매수했다. 해당 ETF는 최근 일주일 사이 2.11%, 1.94% 뛰었다. 금 현물에는 더 많은 매수세가 집중됐다. 개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의료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케어신텍스(Caresyntax)가 대규모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케어신텍스는 투자금을 바탕으로 AI기반 수술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케어신텍스는 연장 시리즈C 투자라운드를 통해 1억8000만 달러(약 2400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8000만 달러 투자와 1억 달러 성장 부채로 구성됐다. 펀딩에는 심바이오틱 캐피탈, 블랙록 이노베이션 캐피탈, 옵텀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케어신텍스는 2013년 설립됐으며 정밀 수술 플랫폼 개발해왔다. 케어신텍스의 정밀 수술 플랫폼은 사물인터넷(IoT), 엣지 컴퓨팅 솔루션을 결합해 수술실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 분석해 수술의 위험도를 낮추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케어신텍스의 솔루션은 전세계 7000개 이상의 수술실에 설치돼 있으며 사용하는 수술팀은 4만 팀이 넘는다. 케어신텍스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기존 정밀 수술 플랫폼에 AI 기술을 도입한다. AI기술의 도입으로 케어신텍스의 플랫폼은 수술의 위험도를 낮추는 것과 함께 수술 결과, 비용 분석 등의 서비스도 제공하게 될 예정이다. 케어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대형 사모 부동산 운용사인 홍콩 피닉스프라퍼티인베스터스(Phoenix Property Investors)가 김광현 한강에셋자산운용 부동산투자운용 대표를 영입했다. 한국 시장에서의 성장을 가속화 하는 동시에 새로운 투자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피닉스프라퍼티인베스터스는 22일(현지시간) 한국 대표로 김광현 대표를 임명했다고 밝혔다. 1972년생인 김 대표는 국내외 부동산 개발과 투자 관련 경력만 23년에 달한다. 현대건설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으며 미국 버지니아와 뉴저지에서 부동산 투자·대출 및 개발회사, KT 해외부동산, 삼성SRA자산운용 해외투자2 사업부장을 지냈다. 김 대표는 삼성SRA자산운용 시절 약 2200억원 규모의 미국 덴버 US 뱅크 타워 오피스와 약 6000억원의 규모 미국 뉴욕 맨해튼 195 브로드웨이 오피스 매입을 주도했다. 오피스 JV(조인트벤처) 투자와 멀티패밀리(임대주택) 메자닌(중순위) 대출, 글로벌전략대출 블라인드펀드 (GSDF) 설정, 물류 JV 블라인드펀드 설정 등도 맡은 바 있다. 한강에셋자산운용에서는 지난 2022년 초 캐나다 오타와 소재 아마존 풀필먼트 센터(fulfil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미국 인공지능(AI) 시뮬레이션 인프라 스타트업 트레이스 마키나(Trace Machina)에 투자했다. 트레이스 마키나는 인간과 더 유사한 능력을 갖춘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트레이스 마키나는 22일(현지시간) 웰링턴 매니지먼트가 주도한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470만 달러(약 63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삼성넥스트는 세쿼이아 캐피탈 스카우트 펀드, 그린베이 벤처스, 베리시모 벤처스 등과 함께 이번 펀딩 라운드에 주요 투자사 중 한 곳으로 참여했다. 엔젤 투자자로는 허깅 페이스의 CEO(최고경영자)인 클렘 델랑그와 디지털오션의 공동 창립자인 미치 와이너, 아마존의 응용 머신러닝 디렉터인 거트 래크리트 등이 이름을 올렸다. 트레이스 마키나는 기존 인프라와 툴의 한계로 인해 이전에는 달성할 수 없거나 비경제적이었던 미래형 기술을 빌더가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애플과 구글, 몽고DB, 도요타 연구소의 임원진이 합류해 있으며 AI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 제품으로는 네이티브링크(NativeLink)가 있다. 네이티브링크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갑부 가운데 하나인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회장이 올해 들어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 약 4000억원을 쏟아부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의 투자기관인 아글레벤처스(Aglaé Ventures)는 올해 5개 AI 스타트업의 자금조달에 참여했다. 아글레벤처스가 투자한 기업은 △H(옛 홀리스틱AI) △라미니(Lamini) △프록시마(Proxima) △보더리스AI(Borderless AI) △포토룸(Photoroom) 등이다. 아글레벤처스는 이들 회사에 3억 달러(약 4000억원) 이상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H는 구글 딥마인드 출신 과학자들이 설립한 AI 개발업체다. 아글레벤처스는 지난 5월 2억2000만 달러(약 3000억원) 규모로 진행된 시드 자금조달 라운드에서 투자했다. 삼성도 해당 라운드에 참여했다. H는 이 라운드에서 기업가치를 3억7000만 달러(약 4900억원)로 평가받았다. <본보 2024년 5월 22일자 참고 : [단독] 삼성, '제2의 미스트랄' 프랑스 AI 스타트업 투자> 미국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라미니는 기업용 생성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한국계 벤처투자자 음재훈(미국명 제이 음) 대표가 설립한 벤처캐피털(VC)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위토스AI(Wethos AI)에 투자했다. 위토스AI는 21일 750만 달러(약 100억원) 규모 시드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자금조달은 GFT벤처스가 주선했다. 미라마르디지털벤처스, UCI코브펀드, 카펠라스파트너스 등이 투자했다. 위토스AI는 AI 기반 조직관리 플랫폼 서비스 기업이다. AI 기술과 조직 심리학 등을 적용해 조직 운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을 지원한다. 스튜어트 매클루어 위토스AI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기업의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AI 운영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면서 "AI가 보편화하는 사회에서 인간의 잠재력을 이해하고 최적화하는 것이 궁극적인 경쟁 우위다"고 전했다. 제프 허스트 GFT벤처스 대표는 "위토스AI는 업무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창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GFT벤처스는 엔비디아 출신 제프 허브스트 대표와 베테랑 벤처캐피털리스트 음재훈 전 트랜스링크 공동대표가 함께 설립한 벤처캐피털(VC)이다. 캘리포니아 팔로알
[더구루=홍성환 기자] KB인베스트먼트가 신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제약 스타트업 파탈리스파마(Pathalys Pharma)에 투자했다. 파탈리스파마는 21일 1억500만 달러(약 1400억원) 규모 시리즈B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둔 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털(VC) TCGX가 주도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KB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JP모건라이프사이언스프라이빗캐피탈 △삼사라바이오캐피탈 △마샬웨이스 △JPS그로스인베스트먼트 등이 있다. 파탈리스파마는 노스캐롤라이나주(州)에 본사를 둔 바이오제약 스타트업이다. 말기신장질환(ESKD)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혈액투석환자의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SHPT) 치료제인 'upacicalcet'를 초기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 SHPT는 만성신부전의 진행으로 발병하는 합병증의 일종으로, 부갑상선으로부터 부갑상선호르몬(PTH)이 과잉으로 분비되는 질환이다. 앞서 파탈리스파마는 지난 2022년 일본 제약사 EA파마로부터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 아세안 등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upacicalcet를 개발·판매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획득한 바 있다. 파탈리스
[더구루=정등용 기자]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DS프라이빗에쿼티가 루마니아 정부로부터 예비국가 보안허가를 획득했다. 지난해 투자를 결정한 로파워 뉴클리어(RoPower Nuclear)의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에 동등한 파트너로 참여할 수 있게 됐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DS프라이빗에쿼티는 최근 루마니아 정부로부터 로파워 뉴클리어 지분 33.33%를 인수하기 위한 예비국가 보안허가를 받았다. 이로써 DS프라이빗에쿼티는 로파워 뉴클리어의 SMR 프로젝트와 관련한 재정적 부담을 공유하는 데 역할을 할 전망이다. 로파워 뉴클리어는 도이세슈티 소형모듈원전 개발을 위해 루마니아 원자력공사(Nuclearelectrica)와 노바 가스 앤드 파워(Nova Gas and Power)가 함께 설립한 프로젝트 기업이다. DS프라이빗에쿼티는 지난해 7월 루마니아 원자력공사와 로파워 뉴클리어에 7500만 유로(약 1060억원)를 투자하는 예비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소형모듈원전에 대한 타당성 조사(FEED 2단계)를 위한 자금 조달이 목적이었다. 당시 투자는 지난 5월 한국과 미국·일본·아랍에미리트(UAE) 등 4개 국가가 루마니아에 소형원전을 공급하기 위해 공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이 위안화 국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8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8.11 위안화 환율 개혁'이 올해로 9년째를 맞았다. 중국 인민은행은 앞서 지난 2015년 8월 11일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환율(중간가) 형성 메커니즘을 조정했다. 이는 시장 수급 현황을 좀 더 반영해 기준환율 결정의 시장 메커니즘 확대와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 환율 개혁 이후 위안화 환율의 양방향 변동이 일상화됐고 환율의 탄력성이 크게 강화돼 거시 경제 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4년 2분기 중국 통화정책 집행 보고서를 보면 올해 상반기 위안화 환율은 118거래일 가운데 55거래일 상승했고 63거래일 하락했다.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위안화는 주요 국제 통화 대비 상대적으로 국경 간 자본 흐름이 안정적이고 질서 있게 유지됐다. 환율 개혁은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구성 통화(바스켓)에 편입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지난해 기준 위안화는 글로벌 결제 통화 중 4.61%를 차지하며 8개월 연속 세계 4위 결제 통화 자리를 유지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