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애플의 전설적인 디자이너 조너선 아이브(Jonathan Ive)가 오픈AI와 손잡고 새로운 인공지능(AI) 기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3일 외신에 따르면 조너선 아이브의 디자인 회사 '러브프롬(LoveFrom)'은 오픈AI의 새로운 스마트 하드웨어 디자인을 맡았습니다. 애플의 디자…
[더구루=진유진 기자] 세계적인 억만장자 켄 그리핀의 헤지펀드 시타델(Citadel)이 엔비디아 주식을 대거 매각했습니다. 23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13F 보고서에 따르면 시타델은 지난 분기 엔비디아 주식 928만2018주를 매각해 지분율을 79% 줄였습니다. 대신 이달 초 S&P500 지수…
[더구루=김은비 기자] 볼보트럭이 탈탄소화 철강 사용을 확대할 방침입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볼보트럭은 내년 1만2000대 트럭에 탈탄소화 철강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볼보는 지난 2022년 스웨덴 철강기업 사브(SSAB)가 개발한 저탄소 철강인 사브제로(SSAB Zero)를 처음 도입한 바 있습니…
[더구루=김은비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표했습니다. MS는 지난 10일 양자컴퓨터 기업 아톰 컴퓨팅(Atom Computing)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애저 퀀텀 컴퓨팅 플랫폼(Azure Quantum compute platform)을 강화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더구루=진유진 기자] 소형모듈원자로(SMR)가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할 친환경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6일 로버트 에클스 미국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는 "원자력 발전은 △기저부하 특성 △작은 발전소 부지 면적 △긴 발전소 수명 등으로 글로벌 전력 수요를 충족…
더구루=김보경 기자] 한국의 문화가 K-푸드·K-뷰티·K-콘텐츠란 이름을 달고 글로벌 시장에서 그 인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빙그레 대표 아이스크림 메로나는 지난해 상반기 해외 매출액이 29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또한 CJ ENM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가 일본 OTT 유넥스트(U-NEXT)가 발표…
[더구루=이진욱 기자] 국내 자전거 인구가 건강 및 취미 등을 이유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체 인구의 22.4%가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으며, 매년 5%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건강과 대중교통 대체 목적으로 자전거 이용이 크게 늘어났습…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의 차세대 차량 조립 방식인 '언박스 프로세스(Unboxed Process)' 특허가 공개됐습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는 지난 6일(현지시간) 테슬라가 출원한 '차량 조립을 위한 모듈식 차량 구조'라는 특허를 공개했습니다. 해당 특허는 2023 테…
[더구루=진유진 기자] 지난 7월 체코에서 들려온 원전 낭보에 대한민국이 들썩였습니다. 무려 24조원 규모 체코 신규 원전 건설 사업 수주전에서 '팀코리아 컨소시엄(한국수력원자력·대우건설·두산에너빌리티)'이 '프랑스전력공사(EDF) 컨소시엄'을 누르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습니다. '팀코리아…
[더구루=진유진 기자] 최근 한류 열풍을 타고 K-콘텐츠에 나온 K-푸드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푸드 인기가 북미와 아시아, 유럽까지 확산하면서 국내 식품·주류 업계는 인지도 제고와 생산 증대에 힘쓰고 있습니다. 올해 추석을 맞아 더구루가 선정한 K-컬쳐 속 K-푸드 톱5는 무엇인지…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글로벌 스타링크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팀 휴즈 스페이스X 수석부사장은 판 민 찐 베트남 총리를 만나 스타링크 서비스 출시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는데요. 이번 베트남 방문으로 제자리 걸음했던 스타링크의 베트남 서비스 출시가 돌파구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는 자동차 한번 팔아보겠다고 기아 운전자들에게 뇌물을 주진 않는다(Tesla never has to bribe Kia drivers to buy a Tesla)".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11일(현지시간) SNS를 통해 공개 저격했다. 기아가 테슬라 고객을 대상으로 마…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