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가 첨단 공정 칩과 패키징 가격을 잇따라 인상합니다. 4일 대만 공상시보에 따르면 이 매체는 최근 모건스탠리, 유니프레지던트증권 등의 보고서를 인용해 TSMC가 내년 3나노미터(nm) 공정과 자체 개발한 첨단 후공정 기술 '칩 온 웨…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국 대형 조선소와 카트르에너지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계약이 해를 넘길 전망입니다.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는 한국 조선소와 LNG 운반석 20척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부 선박은 27만1000㎥인 카타르…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플로리다 주정부가 플로리다 연기금의 비트코인 투자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지미 패트로니스 플로리다 주정부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크리스 스펜서 플로리다 주 행정위원회(SBA) 전무이사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플로리다 연기금에 비트코인…
[더구루=진유진 기자] 체코전력공사(CEZ)가 영국 롤스로이스SMR의 지분을 사들였습니다. CEZ는 롤스로이스 지분 20%를 확보, 체코 내 SMR 구축에 협력하고 유럽에서 롤스로이스 수주 활동을 지원합니다. 한편 체코 협상단은 이달 중순 두코바니 신규 원전 수주와 관련해 한국을 찾아 국내 원전을 시…
[더구루=진유진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개발기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사지마비 환자를 지원하는 것을 넘어 일반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술도 개발합니다. 지난달 31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뉴럴링크 최고경영자(CEO)는 미국신경외과학회 연례…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건설이 사우디아라비아 초고압송전망(HVDC) 사업에 참여합니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는 지난 23~24일 열린 '에너지 현지화 포럼'에서 체결한 1040억 리알(약 38조원) 규모 협약의 세부 내용을 최근 공개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전력 △재…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분야 스타트업 아이엠빅 테라퓨틱스가 획기적인 신약 개발 모델 '인챈트’를 공개했습니다. 아이엠빅 테라퓨틱스는 인챈트에 대해 “신약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혁신적인 인공지능 모델”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인챈…
[더구루=진유진 기자]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 서연이화가 내년 1월부터 텍사스 공장 운영을 시작합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서연이화는 내년 초 텍사즈주 후토 혁신산업단지에 마련한 신공장을 가동, 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에 사이버트럭용 부품을 납품할 전망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
[더구루=진유진 기자] 구글과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미국 의료 분야 인공지능(AI) 기업 템퍼스AI(TempusAI)가 JW중외제약의 신약 개발을 돕습니다. 템퍼스AI는 지난 28일(현지시간) JW중외제약과 협업해 실사용 데이터(RWD)·생물학적 모델링 등을 활용해 종약학 초기 치료 연구에…
[더구루=진유진 기자] 비트코인 ETF 보유액이 660억 달러(약 91조3100억원)를 넘어섰습니다. 29일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듄 애널리틱스(Dune Analytics)에 따르면 현물 비트코인 ETF 보유액은 현재 660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미국 대통령 선거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비트코인 투자 여부…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인수합병(M&A)에 나서고 있습니다. 29일 중국 현지 매체 증권타임즈 및 업계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 업계 M&A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23일(현지시간) 기준 올해 첨단 기술 및 미디어, 통신(T…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북경순수리튬신에너지(北京纯锂新能源科技公司)가 전고체 배터리 생산 라인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대량 생산에 돌입했습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순수리튬신에너지는 지난 17일(현지시간) 허난성 카이펑시 란카오현 신에너지 산업단지에서 열린 ‘전고체 배터…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