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장으로 발생하는 기후 발자국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 MS는 기후 발자국 완화에 열쇠는 '재활용수'라고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오는 2026년 애리조나주 피닉스, 위스콘신주 마운트 플레전트에 완공되는 데이터센터에 새로운 냉각시스템을 적용한다. MS에 따르면 새로운 냉각시스템이 적용된 데이터센터는 건설 이후 외부에서 추가로 물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다. 새로운 냉각 시스템은 폐쇄 루프 방식을 활용, 서버 냉각수를 재활용한다. AI 연산 등에 사용되는 가속기들은 엄청난 열을 발생시킨다. 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켜주지 못하면 성능 저하는 물론 내구성 문제가 발생한다. 데이터센터에서 가장 많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냉각 방식은 물로 식혀주는 '수랭 방식'이다. 수랭식은 물을 순환시켜 가속기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증발시켜 냉각하는 방식이다. 이에 24시간 365일 가동되는 데이터센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물이 필요했다. 그동안 데이터센터들은 냉각에 이용된 물을 그대로 증발시켰으며 연간 수십억 리터의 물을 사용했다. MS의 새로운 냉각 방식은 증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에 중국 반도체 기업이 국유기업에 경영권을 양도했다. 반도체 수출 규제에 중국 내 민간 반도체 기업들의 국유기업화가 속도를 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반도체 설계 자동화(electronic design automation, EDA) 기업 엠피리언 테크놀로지(Empyrean Technology)는 경영권을 국영기업인 중국전자정보산업그룹(中国电子信息产业集团·CEC)에 이관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에 따르면 엠피리언 테크놀로지 이사회는 CEC가 회사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이사회 결정에 따라 엠피리언 테크놀로지 이사 중 4명이 사임하고 CEC는 기존에 차지하고 있던 이사회 자리를 포함해 11명 이사회 멤버 중 6명을 임명하게 된다. CEC는 엠피리언 테크놀로지 지분 34%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이사회 결정은 이달 말 예정된 주주총회에 보고돼 공식적으로 승인될 예정이다. 주주총회 승인이 완료되면 CEC는 엠피리언 테크놀로지 재무제표를 완전히 통합해 직접 자회사로 운영할 계획이다. CEC 자회사로 편입되는 엠피리언 테크놀로지는 2009년 설립됐으며 케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 양자컴퓨터 스타트업 쿠오블리(Quobly)가 전통적인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한 양자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쿠오블리는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FD-SOI) 기술을 활용한 상용 양자 컴퓨팅 확장 가능 플랫폼을 개발했다. 쿠오블리는 프랑스 전자정보기술연구소(CEA-Leti), 그르노블 학제간 연구소(Interdisciplinary Research Institute of Grenoble, IRIG),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와 함께 해당 기술의 핵심 구성 요소를 시연했다. CEA-Leti 연구개발(R&D) 파일럿 라인에서 진행된 이번 시연에서 쿠오블리는 실리콘 큐비트의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쿠오블리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 제조 기술과 인프라를 활용한 양자 컴퓨팅 기술 개발에 집중해왔다. 쿠오블리는 실리콘 스핀 큐비트가 내결함성(시스템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고장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능력), 대규모 양자 컴퓨팅, 마이크로(µ)초 범위 클록 속도, 1큐비트 및 2큐비트 게이트 연산에서 99% 이상의 충실도, 작은 단위 셀 크기 달성 등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판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에서 504큐비트 초전도 양자칩과 양자컴퓨터를 결합한 새로운 양자 시스템이 공개됐다. 새로운 양자 시스템은 중국의 국가 통신 보안 강화에 투입될 것으로 전해졌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통신양자그룹(CTQG)은 504큐비트 초전도 양자 칩 '샤오홍-504(Xiaohong-504)'와 '티엔옌-504(Tianyan-504)'를 결합한 최신 양자 시스템으로 개발했다. CTOQ는 샤오홍-504 양자칩이 큐비트 수명, 게이트 충실도, 회로 깊이 등 중요 영역에서 미국 IBM과 같은 기존 양자 플랫폼과 유사한 성능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처음으로 제작된 샤오홍-504는 양자 기술 기업 퀀텀CT텍에 납품, 광범위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샤오홍-504와 함께 공개된 티엔옌-504는 총 1180 큐비트로 구성된 양자컴퓨터다. 시제품은 지난해 말 공개됐다. 티엔옌-504 개발에는 CTQG를 비롯해 중국과학원, 퀀텀CT텍 등이 참여했으며, 향후 티엔옌 양자 클라우드 플랫폼에 통합된다. CTOQ 등은 티엔옌-504를 앞세워 양자 우위를 달성 뿐 아니라 대규모 양자 시스템 구축을 위한 인프라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업계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 자율주행 기술 핵심 연구원이 아마존 산하 자율주행기술회사 죽스(Zoox)로 이직했다. 자율주행차 인재 영입을 둘러싸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죽스는 정 가오(Zheng Gao) 테슬라 오토파일럿 하드웨어 및 제품 디자인-전자 부문 책임자를 영입했다. 정 가오는 죽스에서도 테슬라에서 수행했던 역할과 같이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총괄 임무를 수행한다. 정 가오는 중국 출시의 전자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전문가로 파워테스트, 플렉스트로닉스를 거쳐 2007년 애플에 합류했다. 애플에서 제품 디자인 부문 관리자로 2016년까지 근무한 뒤 테슬라에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부문 관리자로 합류했다. 정 가오는 2021년부터는 오토파일럿 하드웨어 부문을 이끌며 FSD(Full Self Driving)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죽스는 정 가오 영입으로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죽스는 샌프란시스코와 라스베이거스 등에서 스티어링 휠(핸드)과 페달이 없는 완전 자율 로보택시를 테스트하고 있다. 정 가오의 이직에 대해 업계에서는 '중요한 시점에 이뤄진 이례적 이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테슬라가 내년에는 완전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당국에 전기픽업 사이버트럭(Cybertruck)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등록했다. 테슬라는 아직 사이버트럭을 중국에 출시할 계획은 없는 상황이다. 중국 시장 내 트럭 모델에 대한 제한과 차체 안전 규제 때문이다. 사이버트럭의 중국 출시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의 선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는 11일 홈페이지를 통해 사이버트럭의 에너지 소비 인증 데이터를 공개했다. MIIT는 같은 날 해당 라벨에 대한 만료도 진행했다. MIIT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인증 받은 사이버트럭은 한 번 충전으로 618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M1 승용차로 분류된다. 무게는 3104kg, 206kW/222kW/222kW 힘을 내는 전기모터 3개가 장착됐다. 100km당 전력 소모량은 22.6kWh였다. 화석연료로 환산하면 2.62리터(L)로 100km를 주행하는 것과 같으며, 100km당 에너지 비용은 14.92위안(약 2930원)이었다. MIIT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델은 최고 고성능 버전인 '사이버 비스트'로 추정된다. 사이버 비스트는 사이버트럭 모델 중 유일하게 3개의 전기모터(트라
[더구루=홍성일 기자] 데브시스터즈의 모바일 게임 쿠키런의 인도 서비스 사전등록에 많은 이용자들이 몰리면서 흥행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쿠키런 인디아(CookieRun India)는 사전등록을 통해 100만 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했다. 쿠키런 인디아의 사전등록은 지난달 12일(현지시간) 시작됐다. 사전 등록은 구글플레이 스토어, 애플 앱 스토어에서 진행됐으며 참가자들은 A급 쿠키인 '나이트 쿠키' 등을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쿠키런은 데브시스터즈 2013년 출시한 모바일 캐주얼 런닝 게임이다. 쿠키런은 간단한 조작, 빠른 속도, 아기자기한 쿠키를 앞세워 출시 이후 국내외 1억 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 데브시스터즈의 대표 IP(지식재산권)로 자리잡았다. 크래프톤은 지난 2월 데브시스터즈와 쿠키런 인도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퍼블리싱 계약에 따라 크래프톤은 쿠키런을 인도 전역에 서비스 하기로 했으며 서비스 운영과 개발은 데브시스터즈 산하 스튜디오킹덤이 전담하기로 했다. 스튜디오킹덤 조길현·이은지 대표가 프로젝트를 총괄한다. 크래프톤과 데브시스터즈는 퍼블리싱 계약 체결 이후 인도 현지화 작업을 진행해왔다. 이에 쿠키런 인디아에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하이브 자회사 인공지능(AI) 오디오 기업 수퍼톤(Superton)이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한 우군을 확보했다. 수퍼톤은 AI 기반 실시간 음성 변환 서비스 '시프트(Shift)'를 앞세워 일본 콘텐츠 시장을 공략한다. 일본 엔터테인먼트 기업 '솔리스 엔터테인먼트(SOLIS Entertainment, 이하 솔리스)'는 10일 수퍼톤과 전략적 업무 제휴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제휴 협정에 따라 솔리스는 수퍼톤 시프트의 일본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솔리스는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유튜브 등 다방면에 걸친 콘텐츠 크리에이터, 일반 이용자들에게 시프트를 제공한다. 솔리스는 수퍼톤과 함께 일본 시장에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체험을 제공하고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의성을 지원한다는 목표다. 수퍼톤은 목소리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조합해 무한에 가까운 목소리를 생성해내는 AI 오디오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하이브는 지난 2021년 40억원을 투입해 수퍼톤 지분 18.2%를 확보했다. 지난해 2월에는 450억원을 추가 투자해 수퍼톤 지분 56.1%을 확보, 인수에 성공했다. 지난달 5일 글로벌 출시된 시프트는 수퍼톤이 자체 개발한 파운데이션 모델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게임·e스포츠 기업 나자라 테크놀로지(Nazara Technologies, 이하 나자라)가 웹3 분야 진출을 본격화한다. 나자라는 웹2 영역을 넘어 웹3 영역에서도 인도 게임 시장을 주도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나자라는 웹3 인프라 스타트업 '리스토(Lysto)'와 의향서를 체결하고 웹3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의향서 체결에 따라 나자라와 리스토는 '더 그로쓰 프로토콜(The Growth Protocol)'이라는 레이어1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한다. 더 그로쓰 프로토콜은 웹3 생태계 내 디지털 마케팅,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재편을 목표로 개발된다. 나자라와 리스토는 더 그로쓰 프로토콜로 생태계 참여자들에게 더 큰 투명성, 공정성,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나자라는 4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 인디아 블록체인 위크(India Blockchain Week)에서 더 그로쓰 프로토콜의 정보를 공개했다. 또한 이를 기념해 게임 마케팅을 위해 설계된 로열티 보상 개념 증명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도 공개했다. 나자라는 현재 더 그로쓰 프로토콜의 비공개 테스트넷을 운영하고 있으며 테스트 참여자들에게 피드백을 받는 과정을 거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사이버트럭, 사이버캡에 테슬라 로고를 부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제품이 충분히 특별한 경우 로고가 필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국적의 유명 투자자 '마리오 나우팔(Mario Nawfal)'의 글에 게재된 답글이다. 마리오 나우팔은 사이버캡의 사진을 올리고는 "사이버트럭에 이어 사이버캡도 로고가 없는 세련된 디자인을 유지한다"며 "이렇게 대담할 때 디자인이 그 자체로 돋보인다"고 설명했다. 사이버캡은 테슬라에서 출시할 로보택시 제품의 상품명이다. 테슬라는 모델X의 팔콘 윙 도어 등 독창적인 디자인 요소를 제품에 적용해왔다. 이는 테슬라가 로고 없이도 사람들이 테슬라 제품을 식별하길 바랐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제품이 사이버트럭이다. 사이버트럭은 독특한 외관때문에 누구나 테슬라의 제품인 것을 알 수 있다. 테슬라는 사이버트럭 디자인 단계서 시중에 출시된 픽업트럭이 유사하게 디자인됐다고 판단했고 우주선과 같은 모습을 만들어냈다. 업계에서는 향후에도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는 차량 자체가 하나의 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순다르 피차이(Sundar Pichai)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의 스타십 우주선을 활용한 '우주 양자 컴퓨팅 클러스터'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유료기사코드] 순다르 피차이 CEO는 10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언젠가 스타십과 함께 우주에 양자 컴퓨팅 클러스터를 만들어야겠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순다르 피차이 CEO가 엑스에 게재한 구글 양자 칩 '윌로우(Willow)' 소개글에 일론 머스크 CEO가 "Wow"라는 반응을 보이자 이에 답하면서 등장했다. 일론 머스크는 순다르 피차이의 우주 양자 클러스터 아이디어 제안에 "아마 그렇게 될 것"이라며 "적어도 카르다쇼프 척도 2단계 문명에 도달해야 한다. 우리 문명은 아직 1단계 5% 미만에 불과하고 30%에 도달하려면 사막 등 건조한 지역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야한다"고 답했다. 카르다쇼프 척도는 문명 수준을 총 에너지 사용량으로 분류한다. 1964년 소련의 천문학자 니콜라이 카르다쇼프가 제안했다. 2024년 기준 인류 문명은 0.75단계로 1단계에도 도달하지 못했다. 1단계 문명은 지구를 기준으로 태양에서 도달하는 에너지 100%를 이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크래프톤이 페이데이 시리즈 등을 개발한 유명 게임 개발사 스타브리즈(starbreeze)와 손잡고 배틀그라운드 컬래버레이션을 준비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브리즈는 크래프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에 따라 크래프톤과 스타브리즈는 배틀그라운드에서 페이데이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1년간 진행되며 스타브리즈의 개발 조직 중 약 4분의 1이 참여한다. 페이데이는 스타브리즈가 개발한 범죄 일인칭슈팅게임(FPS)다. 이용자들은 다른 이용자들과 함께 범죄를 저지르는 미션을 수행하며, 캐릭터를 육성할 수도 있다. 페이데이 시리즈는 2011년 첫 게임이 출시됐으며 2013년 페이데이2, 2023년 페이데이3 등이 출시됐다. 스타브리즈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배틀그라운드를 통해 페이데이 프랜차이즈 도달 범위을 넓힌다는 목표다. 또한 크래프톤의 유통, 이용자 기반을 활용해 시장 입지도 강화, 궁극적으로 페이데이 지식재산권(IP) 잠재력을 극대화해 포트폴리오 확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스타브리즈 관계자는 "크래프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페이데이를 글로벌 고객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됐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첨단 배터리 제조사 SES AI 코퍼레이션(이하 SES AI)가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나섰다. 상업·산업용 ESS 전문기업 UZ에너지 인수를 완료하면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운영 데이터까지 통합한 풀라인업 솔루션 역량을 갖추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SES AI는 최근 약 2550만 달러(약 350억 원)에 UZ에너지 지분 100%를 매입했다. UZ에너지는 2013년 중국 선전에 설립된 ESS 전문기업으로, 전 세계 60여 개국에 500MWh 이상 설치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고전압 ESS 제품군과 국제 품질·안전 인증을 기반으로 주거용부터 유틸리티급까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 입지를 넓혀왔다. SES AI는 이번 인수로 ESS 전 과정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자체 플랫폼 ‘몰리큘러 유니버스(Molecular Universe)’와 UZ에너지 기술을 결합, AI 기반 통합형 ESS 솔루션을 선보인다. ‘몰리큘러 유니버스’는 배터리 소재를 원자 단위에서 분석·예측하는 독자 플랫폼이다. UZ에너지의 설치·운영 데이터가 더해지면서 △배터리 수명 예측 △실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리비안이 비밀리에 개발해 온 전기자전거의 모습이 노출되면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리비안의 마이크로모빌리티 자회사 ALSO는 최근 공개한 홍보 영상에서 다음달 공개 예정인 전기자전거를 노출했다. 해당 영상은 전기자전거 홍보 영상을 촬영하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비하인드 영상으로, 현재는 삭제된 상태다. ALSO에서 개발하고 있는 자전거는 약 20인치 휠, 전후방 서스펜션 등이 장착되며, 디자인은 전기자전거와 엔진이 달린 자전거인 모페드의 중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자전거 가운데에는 사각형 형태의 박스가 위치하고 있으며, 리비안의 디자인 테마가 반영된 대형 헤드라이트도 확인할 수 있다. ALSO는 첫 번째 전기자전거를 내달 22일 공개할 계획이다. 공개 전까지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 채널을 통한 홍보를 진행할 계획이다. 업계는 ALSO 전기자전거의 성공은 가격정책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로 과거 세련된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으로 힙한 제품으로 관심을 받았던 네덜란드의 밴무프(VanMoof)는 높은 가격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며 대중화에는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