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아케이드 서비스 론칭 이후 2주 간의 이용자 데이터를 공개했다. 코인원은 지난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랭킹보드, 인사이트, 프로필 등 거래소 내 분산돼 있던 콘텐츠를 한곳에 모아 '아케이드'로 개편한 바 있다. 고객의 정보 접근 및 편의성과 소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코인원은 아케이드 론칭 초기 성과 분석을 위해 10월 27일부터 11월 9일까지 2주 간 집계한 서비스 이용자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직전 2주의 수치와 비교 분석했다. 해당 기간 아케이드 일평균 방문객은 직전 2주 대비 251% 증가했다. 특히, 신규 가입자 10명 중 3명이 아케이드에 방문해 신규 유입된 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자의 실제 활동 지표도 크게 높아졌다. 아케이드 페이지뷰(PV)가 125.8% 증가했고, 게시글 댓글 수는 303.6%나 많아졌다. 또한 최근 업데이트된 수익률 인증글과 프로필 조회 기능 이용횟수가 각각 154.6%, 56.6% 늘어 타 이용자의 투자 현황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아케이드 방문 후 실제 거래까지 이어지는 케이스도 크게 늘었다. 아케이드 방문자 중 거래 서비스까지 이용한 고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고객 체감품질과 네트워크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함께 노력한 네트워크 분야 협력사를 초청해 '2024 네트워크 우수 협력사 시상식'을 개최했다.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노력한 협력사의 성과를 공유하고, 동반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시상식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14일 오후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권준혁 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을 비롯한 LG유플러스 임직원들과 18개 우수협력사, 13개 특별 공로협력사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우수 협력사를 선정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5개 분야(IP·전원/환경·중계기·전송·SW)에서 우수한 역량을 보유한 장비 협력사 6곳과 유·무선 분야별 시공능력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협력사 12곳을 각각 선정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보안망 구축 △적기 서비스 제공 및 장애대응 △교통 인프라 구간 개선에 기여한 협력사 13곳에게도 특별공로상을 수여했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도 협력사들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고 나아가 고객 체감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이 같은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권준혁 LG유플러스 네트워크부문장(
[더구루=홍성일 기자] 불황을 겪고있는 독일 테크 스타트업들이 생존을 위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양자컴퓨팅 등 고부가가치 사업에 다수의 스타트업이 뛰어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코트라 뮌헨무역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독일 AI 스타트업 수는 전년 대비 35%가 증가한 687개사로 나타났다. 프랑스에 이은 유럽 2위 규모다. 독일 AI 스타트업은 중 95%는 B2B(기업간 거래) 솔루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운영 및 생산 자동화 같은 기업용 솔루션을 주력으로 삼고 있다. 독일 AI 스타트업들이 B2C(기업 고객간 거래) 솔루션보다 B2B 솔루션 개발에 집중하는 것은 미국과 프랑스에 비해 저조했던 정부 지원 이외에도 경제 침체로 인해 벤처 캐피털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안정적이고 실질적인 수익 구조를 선호하게 됐기 때문이다. 또한 독일 스타트업의 AI 도입율이 지난해보다 27% 늘어난 76%를 기록할 만큼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도 스타트업들이 AI에 투자에 집중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AI외에도 양자 기술, 반도체 기술 등 고부가가치 첨단 기술도 스타트업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생성형AI 등 AI 수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연구팀이 현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이 실제 세상의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MIT 연구팀은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생성 모델의 내제된 세계 모델 평가하기(Evaluating the World Model Implicit in a Generative Model)'라는 논문을 공개했다. 연구팀은 MIT 연구원 3명 외에도 하버드대학교, 코넬대학교 연구원으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생성형 AI 시스템이 세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현재의 거대언어모델(LLM)에 대해서 인간의 지능을 모방해 사용자의 텍스트 프롬프트에 따라 매우 설득력 있는 결과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특정 텍스트 문맥에서 최적의 단어를 예측해 내놓는 결과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LLM이 예측할 수 없는 실제 상황에 직면하면 결과를 신뢰할 수 없게 된다고 덧붙였다. 즉 현재 LLM이 실제 세상의 시스템을 이해해 답변을 내놓기 보다는 문맥을 분석해 데이터 안에서 그럴듯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피자브랜드 피자헛(Pizzz Hut)이 플레이스테이션5 게임을 하면서 피자를 데울 수 있는 피자 워머를 출시했다. 식품업계의 게임 이용자 대상 마케팅이 다양화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피자헛 캐나다는 'PIZZAWRMR'이라는 피자워머 3D 프린팅 소스 파일을 공개했다. 해당 피자워머는 플레이스테이션5를 이용하면서 동시에 피자를 데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 피자헛 캐나다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PIZZAWRMR은 플레이스테이션5 위에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상단에는 피자를 넣을 수 있는 뚜껑이 있으며, 뚜껑을 열면 내부에는 호일 트레이와 피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PIZZAWRMR은 플레이스테이션5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피자를 뜨겁게 만든다. PIZZAWRMR를 설치하면 플레이스테이션5의 통풍구에서 나오는 뜨거운 공기가 안으로 들어와 피자를 데우는 원리다. PIZZAWRMR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15(38.1cm)X15 인치 베드가 있는 3D 프린터를 보유해야한다. 이에 개인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소형 3D 프린터로는 제작이 불가능하다. 최근 식품업계에서는 IT제품을 활용한 독특한 굿즈를 내놓
◇넷마블 넷마블은 지스타 2024 넷마블관에서 신작 '킹 오브 파이터 AFK(THE KING OF FIGHTERS AFK)'의 코스프레 무대 행사를 실시했다. 지스타 2024에서 선보이는 넷마블의 킹 오브 파이터 AFK 코스프레 무대 행사는 △가위바위보 토너먼트 △댄스 타임 △퀴즈쇼 등으로 구성됐으며, 시라누이 마이, 야가미 이오리 등 킹 오브 파이터(KOF) 시리즈의 인기 캐릭터를 코스프레한 특별한 코스어가 무대에 등장해 현장 관람객들의 높은 호응을 받았다. 모든 행사는 코스어와 넷마블관 관람객들의 참여형 이벤트로 운영되며 △가위바위보 토너먼트는 15일 10시 20분, 16일 12시 20분 △댄스 타임은 15일 14시 30분, 16일 14시 30분 △17일 15시 50분 △퀴즈쇼는 15일 13시 40분, 17일 11시 10분에 진행된다. 특히 레이저(Razer) 마우스·키보드·헤드셋과 미니 가습기, 보조 배터리, USB-Hub, 쿵야 IP 상품 등 풍성한 경품을 마련해 무대 행사가 진행되는 15~17일 동안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넷마블은 지난 10월 30일 신작 킹 오브 파이터 AFK의 글로벌 사전 등록을 시작했다. 글로벌 사전 등록은 공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아키텍처 블랙웰(Blackwell) 기반 AI 가속기 'B200'의 벤치마크 점수를 공개했다. B200은 이전 세대 제품에 비해 월등한 AI 처리 능력을 증명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B200 블랙웰의 벤치마크 점수를 AI 학습 벤치마크 정리 플랫폼 'MLPerf Training'에 제출했다. 벤치마크는 장치의 성능을 지수화한 것으로 장치간 성능 차이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이번에 엔비디아가 벤치마크 점수를 제출한 MLperf는 개방형 엔지니어링 컨소시엄 'ML커먼스(MLCommons)'에서 공개하는 벤치마크 점수다. MLperf는 기계 학습을 뜻하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성능을 의미하는 퍼포먼스(Performance)를 합친 단어다. ML커먼스는 2018년 구글, 바이두, 하버드, 스탠퍼드, uc 버클리 개발자 연합으로 시작했다. 2020년 12월에는 전 세계 50여개 기업과 학교, 비영리 단체 등이 참여한 개방형 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을 발족시키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B200은 이전세대 호퍼 아키텍처 기반 H1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미디어텍(MediaTek)이 글로벌 스마트폰 칩셋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수성했다. 자체 스마트폰 칩셋을 출시한 화웨이는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며 시장에 안착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시장조사기관 카날리스(Canalys)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미디어텍은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1억1900만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출하했다. 미디어텍의 시장 점유율은 38%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 2021년 4분기 점유율 1위에 오른 뒤 3년 째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미디어텍에 이어서는 퀄컴이 전년동기 대비 4% 증가한 7600만개를 출하해 2위를 기록했으며 애플이 9% 증가한 5400만개를 출하해 3위에 위치했다. 퀄컴의 점유율은 24%, 애플의 점유율은 18%였다. 성장률은 중국 화웨이가 1위를 기록했다. 화웨이는 올 3분기 전년동기 대비 211% 성장한 800만개 프로세서를 출하했다. 이어서 중국 UNISOC가 전년대비 29% 성장한 2900만개를 출하했으며 삼성전자도 24% 증가한 1700만개를 출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부문에서는 애플이 1위에 올랐다. 애플은 고급 AP 출하에 집중해 높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클라우드 플랫폼 아마존 웹 서비스(AWS)가 컴퓨팅 기업 IBM과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 협상을 진행 중이다. [유료기사코드] 15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AWS와 IBM은 5년 4억7500만 달러(약 6670억원) 규모 엔비디아 GPU 공급 계약을 논의 중이다. IBM은 지난 5월 왓슨 AI(Watson AI) 플랫폼에서 AWS 사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협상이 마무리되면 IBM은 엔비디아 인공지능(AI) 가속기가 장착된 AWS EC2 서버 접근 권한이 확대된다. IBM이 AWS와 GPU 공급 협상을 벌이는 것은 AI 모델 학습 때문이다. IBM은 1997년 체스 세계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긴 딥 블루를 개발하는 등 지속적으로 AI를 개발해왔다. 왓슨은 자연어 형식으로 된 질문에 답할 수 있게 개발된 AI 모델로, 왓슨이라는 이름은 IBM 첫 회장인 토머스 J. 왓슨에서 따왔다. 왓슨은 미국 최고 TV 퀴즈쇼인 제퍼디에 도전하기 위해 개발됐다. 제퍼디는 1964년 3월 방영된 이후 현재까지도 인기를 끌고 있는 퀴즈쇼다. 왓슨은 2005년 개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가 세계 최대 규모 슈퍼컴퓨팅 기술 전시회 '슈퍼컴퓨팅(SuperComputing, 이하 SC)24'에 참가한다. 아이온큐는 SC24에서 최신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현지시간) 아이온큐는 오는 17일부터 22일까지 애틀랜타에서 개최되는 SC24에 참가한다고 발표했다. SC24는 미국 컴퓨터 학회(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산하 컴퓨터 학회(Computer Society, CS)가 1988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연례 슈퍼컴퓨터 전시회로 고성능컴퓨터(HPC) 관련 최신 기술이 전시된다. 아이온큐는 SC24에서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 솔루션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전시할 예정이다. 또한 앤시스(Ansys), 델(Dell), 구글(Google), 엔비디아(NVIDIA) 등 파트너사와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도 소개한다. 아이온큐의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터 솔루션은 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자회사인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로봇개 '스폿(Spot)'의 추가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스폿의 능력을 한층 높이는 한편 신뢰도까지 높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14일(현지시간) 스폿에 AI모델을 활용한 위험 회피 기능을 업데이트했다고 밝혔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이번 업데이트로 스폿이 바닥에 떨어진 케이블은 물론 밟으면 깨지기 쉬운 물체 등을 회피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스폿이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방법은 3단계를 거치게 된다. 스폿에는 깊이 데이터(depth data) 측정할 수 있는 5대의 카메라 장착돼있다. 우선 스폿은 카메라를 통해 주변의 깊이 데이터를 확보한다. 이어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벽, 빈 공간, 기타 물체들로 구성된 3D 지도가 제작한다. 스폿은 제작된 3D 지도를 다시 한 번 세분화하며 이 과정에서 가파른 경사면, 높은 계단 등 극복이 힘든 장애물을 판별한다. 전체 과정은 기하학(geometry)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기하학을 이용하면 기본적인 자율주행, 경로 계획 설정이 효과적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주변 공간과 장애물이 가진 특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최대 군용 드론 제작사인 중국항천과기그룹(China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CASC)이 새로운 대형 다목적 무인전투기(UCAV)를 공개했다. 새로운 무인전투기는 중국 본토에서 미국령 괌까지 원할한 작전이 가능하다. [유료기사코드] 14일 CASC에 따르면 중국 최대 에어쇼인 주하이에어쇼(중국국제항공우주박람회) 2024에서 신형 무인전투기 CH-9을 공개했다. CH-9는 새로운 차이훙(彩虹, CH) 계열 무인 전투기로 큰 동체, 강력한 운반 능력, 긴 비행 거리 등이 특징이다. CH-9의 동체는 길이 12m, 날개폭은 약 25m에 달한다. 터보프롭 엔진이 장착돼 최대 이륙 중량은 5톤(t)이다. 날개 하단에는 8개의 하드포인트(무기 장착 지점)가 있으며 공대공·공대함 미사일, 폭탄, 어뢰 등을 장착할 수 있다. CH-9의 강점은 무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비행하는 작전거리가 최대 1만1500km에 달한다는 점이다. 중국 남부 푸젠성에서 미국령 괌까지 거리는 3000km로, 중국 본토에서 출발해 괌에서 충분히 작전을 수행한 후 복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또한 정찰 목적으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