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베트남에 신규 투자를 단행한다. 최대 18억 달러(약 2조4100억원)에 달하는 투자 금액이 거론된다. 베트남을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생산 거점으로 육성하려는 현지 정부의 꿈이 삼성디스플레이와의 협력을 통해 영글어지고 있다. 12일 박닌성에 따르면 도당 상임위원회는 전날 개최한 이달 1차 회의에서 옌퐁산업단지 내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법인의 신규 프로젝트 개발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자는 제안에 동의했다. 양측은 MOU를 토대로 투자와 협력 방안 등을 조율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투자 내용이 확정되진 않았으나 장기적으로 최대 18억 달러 규모의 금액이 투자 집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측 간 합의가 완료되면 베트남 현지 당국이 투자인증서를 발급하고, 삼성디스플레이는 본격적으로 투자를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투자를 통해 기존 박닌 공장에서 생산하던 디스플레이 생산량을 늘리는 한편 IT용 8.6세대 OLED 후공정 라인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전공정은 국내에서, 후공정은 베트남에서 담당하고 있다. 작년 4조1000억원을 쏟아 오는 2026년까지 충남 아산에 8.6세대 O
[더구루=정예린 기자] 슈퍼태풍 '야기'가 베트남 북부를 강타한 가운데 현지에서 공장을 운영 중인 LG디스플레이의 발빠른 대처가 재조명되고 있다. 근로자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안전한 작업 환경 구축에 전력을 쏟는 모습이다. 12일 베트남 일간지 탄 니엔(Thanh Niên)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응우옌 안 투안(Nguyen Anh Tuan) 하이퐁시 노동총연맹 의장은 "LG디스플레이 노조 회장과 얘기한 결과, 회사는 직원들이 태풍을 피해 공장에 머물 수 있도록 기숙사를 마련해 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투안 의장이 LG디스플레이 측과 만나 대책 현황 등을 살핀 것은 태풍이 하이퐁시에 상륙한 당시 온라인에서 벌어진 해프닝 때문이다. 자신을 LG디스플레이 직원이라고 소개한 응우옌 반(Nguyen Ban)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용자는 지난 7일 페이스북에 "오늘 밤 하이퐁에서 잠잘 곳을 찾는 데 도움이 필요하다"고 글을 올렸다. 회사가 폭풍우가 몰아치는 와중에도 공장 밖으로 나갈 것을 요구해 머무를 곳을 찾는다는 내용이다. 온라인 상에서 이 페이스북 글이 퍼지면서 LG디스플레이에 대한 비난이 쏟아졌다. 하지만 당국과 회사 노조 측이 함께 조사한 결과 해
[더구루=정예린 기자] 구글이 내후년 공개할 차세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생산 파트너사로 TSMC를 낙점했다. 당장 내년부터 ‘큰 손’ 고객을 TSMC에 빼앗길 위기에 놓인 삼성전자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수주 전략에 적신호가 켜졌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에너지가 중국 '해신에너지(Haixin Energy·중국명 海新能科)'로부터 바이오디젤을 대량 공급받는다. 안정적인 친환경 연료 공급망을 구축해 탈탄소 행보를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일 해신에너지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SK에너지를 포함해 비유럽권 기업으로부터 1만 톤(t) 규모의 탄화수소 기반 바이오디젤 주문을 확보했다. 납품할 구체적인 물량과 계약 조건 등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물량이 SK에너지에 할당된다. SK에너지와 해신에너지는 계약을 체결하기에 앞서 같은 달 베이징에서 회동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바이오 연료 등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했다. 각 사의 공급망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기술 혁신은 물론 새로운 사업 기회 공동 개발 등을 추진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바이오디젤은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로, 차량용 경유의 대체 연료 등으로 쓰인다. 국내에서는 2011년부터 정유사가 생산하는 경유에 바이오 디젤을 의무 혼합하도록 했다. 친환경 바람을 타고 국내외에서 차량용 외 선박유와 항공유에도 바이오디젤 혼합 의무화 정책이 확산되는 추세다. SK에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시놉시스가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 '칩렛'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의 전송 효율성을 개선하는데 기여, 고성능 컴퓨팅 분야 혁신을 이뤄내는 데 일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보안 업체 ‘슈프리마’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바이오인식 솔루션 시장 우위를 자신했다. 현지화 전략을 통해 고성장이 예상되는 미국 공략을 가속화, 브랜드 입지를 다지고 성장 가속페달을 밟는다. 11일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The Worldfolio)'에 따르면 이재원 슈프리마그룹 회장은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슈프리마는 바이오인식 기술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이 기술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권위자가 됐다"며 "떠오르는 기술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AI 기반 얼굴 인증 및 딥러닝 역량을 활용한 지문 인식 기술에 대한 투자가 성공의 밑바탕이 됐다"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그는 "헌신적인 연구개발(R&D) 노력을 통해 딥러닝 기반 얼굴 인증 기술의 성능을 개선하고 신경망처리장치(NPU)가 내장된 엣지 디바이스를 출시, 디바이스에서 직접 AI 성능을 최적화하는 등의 과제를 수행했다"며 "그 결과 비록 시장에 늦게 진출했음에도 AI가 통합된 얼굴 인증 기술에 많은 투자를 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슈프리마는 2000년 설립된 보안 회사다. 통합보안 시스템과 바이오인식 솔루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중국 톈진에서 철수한지 4년 만에 완전히 흔적을 지웠다. 중국 대안으로 떠오른 베트남, 인도 등의 사업장 운영이 안정화되며 신(新) 생산거점으로 확실히 자리잡은 상황인지라 중국 사업 비중 축소 움직임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중국 기업 정보 플랫폼 '톈옌차(天眼查)'에 따르면 삼성전자 톈진법인 영업상태는 '존속'에서 '취소'로 변경됐다. 영업기간 만료로 법인이 말소된 것이다. 톈진법인은 지난 1993년 4월 설립돼 TV,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의 제조·판매·유지보수 사업을 영위해왔다. 지분 구조는 △삼성전자(48.192%) △삼성(중국)투자(43.054%) △톈진중환정보산업그룹(4.377%) △톈진통신방송그룹(4.377%)로 구성됐다. 삼성전자는 톈진에서 TV와 휴대폰을 생산하는 1·2공장을 운영해왔다. 지난 2018년 말 휴대폰 공장 가동을 중단하며 탈(脫)중국을 본격화했다. 2020년에는 중국 유일 TV 생산공장이었던 톈진 1공장을 폐쇄, 톈진에서 철수했다. 당시 삼성전자는 "글로벌 생산거점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결정"이라고 공장 운영 중단의 배경을 설명했었다. 저가 제품을 앞세운 현지 업체들의 공격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중국 저전력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 칩 전문 팹리스(반도체 설계)와 손잡고 스피커 신제품을 출시했다. 고품질 사운드에 디자인·사용 편의성 등의 강점까지 갖춘 라인업을 지속 확장해 '오디오 명가'로 거듭난다는 전략이다. 10일 액션스 테크놀로지(Actions Technology)에 따르면 회사는 LG전자에 블루투스 오디오 칩 'ATS2835P'를 공급했다. 이 칩은 LG전자 무선 스피커 'LG 엑스붐 360 XO2T'와 휴대용 스피커 'LG 엑스붐 고 XG2T'에 장착됐다. 자사 오디오 칩에 LG전자의 오디오 기술력까지 더해져 신제품이 풍부한 저음과 선명한 음질을 구현한다는 게 액션스 테크놀로지의 설명이다. 배터리 수명을 향상시키고 내구성도 강화됐다. LG 엑스붐 360 XO2T는 지난 4월에 정식 출시됐다. 부드러운 곡선과 패브릭, 조명을 통한 감성적인 디자인이 특징이다.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와 △iF △레드닷(RedDot) 디자인 어워드에서 잇따라 수상을 하며 혁신적인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360°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고 자연스럽게 재생되는 고품질 서라운드 사운드를 선사한다. 지난
[더구루=정예린 기자] 모로코 정부가 현대로템과 협상 테이블을 꾸리고 고속철 공급사 선정을 위한 절차에 본격 착수했다. 현대로템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대규모 수주를 확보해 글로벌 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국내 중견기업 에스지(SG)와 손잡고 인도 도로 정비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현지 생산시설 구축 포함 다양한 협력 방안이 논의되며 아스콘(아스팔트 콘트리트) 사업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전력·전자제어 기술 전문기업 '이엔테크놀로지'가 베트남에 첫 전기차 충전소를 구축했다. 현지 정부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해외 전기차 충전 사업이 본격화되며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이엔테크놀로지는 하노이 동다지구 탄콩 후인툭캉 거리에 전기차 충전기 2대를 설치해 시범 운영에 돌입했다. 지난 6월 국영 전력회사 페트로베트남전력공사(PV Power)와 체결한 에너지저장장치(ESS)·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일환이다. <본보 2024년 7월 2일 참고 이엔테크놀로지, 베트남 전기차 충전시장 진출> 신규 충전소는 약 30~35제곱미터(㎡) 규모 부지에 들어섰다. 충전소에는 충전 포트당 50~60킬로와트(kW) 용량의 충전 포트 2개를 갖춘 2개의 버티컬 충전기가 설치됐다. 투자 비용은 약 18억 동(약 9800만원) 이상이다. 1호 충전소를 시작으로 하노이 까우저이 등에도 충전 인프라를 구축한다. 향후 2년 간 시범 운영을 실시한다. 이후 프로젝트 효율성을 재평가한 뒤 오는 2035년까지 하노이를 포함한 베트남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 1000곳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와 미국 네트워크 장비 업체 '넷기어'가 차세대 와이파이(Wi-Fi) 규격 지원을 위해 손을 잡는다. 제품 최적화 작업을 통해 삼성은 고객 저변을 넓히고, 넷기어는 기업용 솔루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9일 넷기어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와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넷기어의 기업용 와이파이7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와 삼성 와이파이7 클라이언트 칩셋 간 원활한 상호 운용성과 와이파이 로밍 성능을 구축,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양사는 특히 무선 AP의 와이파이 로밍 기능 안정화에 집중한다. 와이파이 로밍은 사용자가 장소 이동시 새로운 와이파이에 연결할 때 매끄럽게 전환해주는 기능이다. 연결 지연을 최소화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와 넷기어는 로밍 성능이 고객들이 개선을 원하는 최우선 과제라고 판단, 공동 솔루션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와이파이7은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작년 선보인 새로운 규격이다. 802.11be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와 안정성이 대폭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이전 버전인 와이파이 6E 대비 5배 더 빠른 최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