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물산이 1200MW 규모의 베트남 푸옥 호아(Phuoc Hoa) 양수 발전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22일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에 따르면 삼성물산과 KIND, 한국중부발전, 베트남 건설개발 투자기업 TTA는 지난 14일 메리엇 호텔 하노이에서 푸옥 호아 양수 발전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푸옥 호아 양수 발전 프로젝트는 베트남 국가전력개발 계획에 포함된 주요 사업 중 하나다. 특히 베트남 내 두 번째 양수 발전소 건설·운영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KIND는 지난해 푸옥 호아 양수 발전 프로젝트를 타당성 조사(F/S) 지원 사업에 선정하고 개발을 추진해왔다. 올해 2월에는 삼성물산과 타당성 조사 용역 계약 협정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이번 MOU 체결 후 각 사 관계자들은 푸옥 호아 양수 발전소의 부지 실사를 진행했다. 더불어 박 아이(Bac Ai) 양수 발전소와 공용으로 사용하는 하부 저수지를 답사했으며, 정부 인허가 관련 현안 사항을 공유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베트남 건설장비 임대 기업 911그룹 지분을 확대했다. 911그룹은 17일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미래에셋증권이 지난 16일 자사주 2만6300주를 추가 매수해 지분율을 기존 5.98%에서 6.09%로 늘렸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12월 911그룹 주식 10만 주를 매수하며 주요 주주가 된 바 있다. 911그룹은 이번 주총에서 올해 8800억 동(약 470억원)의 순수익과 180억 동(약 10억원)의 세후이익을 목표로 제시했다. 다만 지난 2011년 설립된 911그룹은 △굴삭기 △펌프 △콘크리트 믹서 △자주식 크레인 △덤프 트럭 등 건설 장비를 임대해주는 사업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베트남 재벌 그룹인 ‘빈그룹(Vingroup Group)’ 계열사 ‘빈콘즈(Vincons)’와 최대 6800억 동(약 360억원) 규모의 건설 장비 임대 계약을 맺기도 했다. 올 3분기에는 5000억 동(약 260억원)의 자금이 투입된 전기 택시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911그룹은 ‘빈패스트(VinFast)’ 전기차 400대를 구매했으며, 100대는 이미 운행에 들어갔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ETF(상장지수펀드) 운용 자회사 글로벌X가 브라질에서 신규 ETF BDR 2종을 출시했다. BDR은 해외시장에 상장된 주식을 브라질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주식예탁증서를 말한다. 글로벌X는 20일(현지시간) 브라질 B3 증권거래소에 ‘글로벌X 데이터 센터 & 디지털 인프라 ETF(DTCR39)’와 ‘글로벌X 러셀 2000 ETF(RSSL39)’를 상장했다고 밝혔다. DTCR39는 미국 데이터 센터 및 디지털 인프라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RSSL39는 미국 소형주로 구성된 러셀 2000 지수를 추종한다. 두 상품의 운용 수수료는 0.08%다. 글로벌X는 “글로벌 메가 트렌드에 대한 브라질 투자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번 상품을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글로벌X는 지난달 브라질 B3 증권거래소 최초로 아르헨티나 전용 ETF BDR인 ‘글로벌X MSCI 아르헨티나 ETF BDR(ARGT39)’를 출시하기도 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 베트남 법인이 올해 유망 산업으로 은행, 소매, 기초자원 분야를 꼽았다. 쩐 꾸옥 또안 미래에셋증권 베트남 법인 2지점장은 20일(현지시간) 현지 방송 채널 VTV8의 토크쇼 '더 파이낸스 스트리트'에 출연해 올해 유망 산업을 선정했다. 또안 지점장은 “수익과 가치 평가를 기준으로 볼 때 은행 산업은 신용 성장률이 높고 대출 자산이 잘 통제되고 있어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어 “소매 산업의 경우 현대적인 체인 시스템을 갖춘 기업들이 최근 몇 분기 동안 안정적인 재무 성과를 입증해 빠른 속도로 회복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마지막으로 “철강 산업을 중심으로 한 기초자원 분야는 토목 건설 시장 회복과 인프라 투자,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이익 마진 개선이 이뤄져 앞으로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베트남 주식시장 전망과 관련해 또안 지점장은 “베트남 상장기업의 이익 성장률이 작년에 비해 12~1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관세 우려가 일시적으로 완화되고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입세가 이어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단기적으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결정과 관세 정책 같은 외부 요인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DB손해보험 베트남 자회사 베트남국가항공보험(VNI)이 '갑질 논란' 끝에 보험 당국으로부터 벌금형을 부과 받았다. 베트남 재무부 보험관리감독국은 19일(현지시간) VNI에 "보험 판매 위반으로 2억6000만 동의 벌금을 부과한다"고 밝혔다. 앞서 VNI는 보험관리감독국 조사에서 다수의 법 위반 사항이 적발된 바 있다.<본보 2025년 4월 25일 참고 [단독] "보험금 안주고 늦게 주고" 갑질 적발된 DB손해보험 베트남 자회사>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VNI는 사망 사고를 당한 고객에게 1억5000만 동의 사망 보험금을 지급해야 했지만 20%인 3000만 동만 지급했다. 사고 피해 고객에게 보험금을 아예 통보하지 않은 사례도 10건 있었다. 2년 가까이 보험금 지급을 미뤄온 사실도 확인됐다. 베트남 당국이 VNI의 보험금 지급 내역 2천 여건을 살펴본 결과 15일 이상인 경우가 다수였다. 이중에는 보험금 지급이 607일 만에 이뤄진 경우도 있었다. DB손해보험은 글로벌 사업 확장 차원에서 지난해 VNI 지분 75%를 인수했다. VNI는 최근 리브랜딩 차원에서 사명을 'DBV보험'으로 변경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화 건설부문이 짓고 있는 대전 '도마 포레나해모로' 아파트에 교통 호재가 등장했다. 20일 한화 건설부문에 따르면 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공사에 착공했다. 2호선 트램은 대전시를 순환하는 총 연장 38.8km 노선이다. 대전 5개 자치구를 순환하는 순환선과 정거장 45곳, 차량기지 1곳으로 건설되며 총 사업비만 1조5069억원이 투입된다. 대전시는 3년 6개월간의 공사와 6개월 시운전 과정을 거쳐 오는 2028년 말 정식 개통할 계획이다. 2호선 트램 건설공사 착공은 도마 포레나해모로에 호재다. 도마 포레나해모로 인근 도마네 거리에 2호선 트램 역인 도마역(가칭)이 신설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도마 포레나해모로는 지하 3층~지상 34층, 7개 동 전용면적 39~101㎡ 총 818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568세대로 전용면적 타입별 △59㎡A 209세대 △59㎡B 111세대 △74㎡A 65세대 △74㎡B 92세대 △84㎡ 86세대 △101㎡ 5세대로 구성된다. 입주는 오는 2027년 상반기 예정이다. 한화 건설부문 분양 관계자는 “2호선 트램 건설공사 착공 소식 후 투자자 관심이 높아지며 잔여 물량도 빠르
[더구루=정등용 기자] 약 100조원에 이르는 베트남 남북고속철도 사업 수주를 두고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한국과 중국, 프랑스에 이어 베트남 기업까지 참전을 선언했다. 베트남 고속철도 전문 개발업체 빈스피드(VinSpeed)는 14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남북고속철도 건설사업에 대한 투자자(시공사) 등록 절차를 마쳤다”고 밝혔다. 빈스피드는 '베트남의 삼성그룹'으로 불리는 빈그룹의 팜 녓 브엉 회장이 설립한 고속철도 전문 개발업체다. 브엉 회장이 지분 51%를 보유하고 있으며 브엉 회장의 장차남이 나머지 지분 49%를 갖고 있다. 빈스피드가 제출한 투자계획서에 따르면, 토지보상 등을 제외한 총 투자액이 약 1500조 동(약 80조4000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 중 20%는 빈스피드가 직접 투자하고, 나머지 금액은 정부에서 35년간 무이자로 차입한다는 계획이다. 빈스피드가 이번 사업 입찰에 참여하면서 베트남 고속철도 사업은 4파전이 됐다. 우리나라는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수주 지원단이 지난 3월 말 베트남을 찾은 바 있다. 수주 지원단에는 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공기업 외에 차량
[더구루=정등용 기자] DL이앤씨가 경기 부천시 대장지구에 ‘e편한세상 대장 퍼스티움’을 공급한다. 3기 신도시 대장지구 내 첫 분양 사업이다. 경기 부천대장 택지개발사업지구 A-5, 6블록에 들어서는 e편한세상 대장 퍼스티움은 지하 2층~지상 15층, 27개 동, 전용면적 46·55㎡, 총 1640가구(A-5블록 952가구, A-6블록 688가구) 규모다. 이 가운데 1099가구(A-5블록 638가구, A-6블록 461가구)가 신혼희망타운 공공분양 물량이다. 전용면적별 가구 수는 46㎡ 228가구, 55㎡ 871가구다. 단지는 6월 26~27일 당첨자 발표를 진행한다. 정당계약은 9월 25~29일까지 이뤄진다. 입주는 2027년 11월 예정이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A5블록 평균 분양가는 3.3㎡당 2083만원이다. 전용 55A타입 기준 평균 5억원 수준이다. A6블록 평균 분양가는 3.3㎡당 2066만원으로 전용 55A타입이 역시 평균 5억원선이다. 여기에 정부정책자금대출을 통해 연 1.3% 고정금리로 최장 30년간 LTV(주택담보인정비율) 7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오는 7월 예고된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미적용으로 대출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베트남 합작법인인 VTK가 흥옌성에 한국형 커뮤니티 조성을 추진한다. 흥옌성에 있는 한국형 산업단지 ‘클린산업단지’와 연계해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20일 흥옌성에 따르면 VTK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열린 '2025 미트 코리아(Meet Korea)' 행사에서 베트남 부동산 개발업체 ‘빈홈즈(Vinhomes)’와 한국형 커뮤니티 조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한국형 커뮤니티는 흥옌성에서 근무하는 한국인의 삶의 질과 근무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인을 위한 주택·사무실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고품질의 생활·업무 환경을 구축한다. 흥옌성에 자리한 클린산업단지와도 연계해 지속 가능한 주거 공동체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클린산업단지는 베트남에 진출하는 한국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20여개 한국 기업이 입주해 있다. 한종덕 VTK 대표는 “베트남 내 한인 공동체는 점점 많아지고 있지만 오랜 기간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번 한국형 커뮤니티는 이러한 요구에 대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불가리아가 기존에 짓다가 중단된 원전에 대해 건설 재개를 고려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현지에 진출한 현대건설 등 한국 기업에 호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불가리아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불가리아는 현재 벨레네 원전 재개를 논의하고 있다. 앞서 불가리아는 지난 2006년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과 계약을 맺고 벨레네 원전에 VVER-1000 2기를 건설을 시작했다. 그러다 2009년 프로젝트가 중단되면서 미완성 된 원자로 2기를 우크라이나에 팔기로 했지만, 최근 전력 수요 급증이 예상되면서 매각 계획을 철회했다.<본보 2025년 4월 16일 참고 [단독] 불가리아 '우크라이나에 원자로 못 팔아' 주장 ..현대건설 ‘코즐로두이 원전’에 어떤 영향?> 이번 결정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요청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불가리아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미국 기업들이 벨레네 원전을 전력 공급원으로 활용하는 데 관심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불가리아는 벨레네 원전 재개를 위해 전문 인력 확충에도 돌입했다. 지난 4월초 열린 관계장관 회의에서 "해외 거주 중인 불가리아 국적 전문가를 다시 불러야 한다"는 주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 CATL이 홍콩 증시에 입성하면서 총 46억 달러(약 6조4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는 데 성공했다. 홍콩증권거래소는 19일(이하 현지시간) CATL의 상장 소식을 알리며 20일부터 거래가 시작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CATL의 최종 가격은 공모 희망 범위 최상단인 주당 263홍콩달러(약 4만7000원)로 확정됐다. CATL 주식 중 1억2540만 주는 기관 투자자에게, 1016만 주는 홍콩 개인 투자자에게 매각됐다. 추가로 1770만 주를 매각할 수 있는 그린슈 옵션(초과배정옵션)이 행사되면 IPO 규모는 53억 달러(약 7조3670억원)로 늘어난다. 이번 CATL 상장은 지난해 46억 달러를 조달한 중국 대형 가전업체 ‘메이디(Midea)’를 넘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지난 2021년 62억 달러(약 8조6180억원)를 조달한 중국 온라인 플랫폼 기업 ‘콰이쇼우 테크놀로지(Kuaishou Technology)’ 이후 홍콩 증시 내 최대 규모 상장이 될 전망이다. CATL은 해외 투자 유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홍콩 증시 상장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에 확보한 IPO 자금 90%를 헝가리 공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법무법인 광장이 베트남 빈푹성과 한국 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한 법률 자문을 논의했다. 19일 베트남 빈푹성에 따르면 쩐뚜이동 빈푹성 인민위원장은 지난 9일(현지시간) 광장 대표단을 만나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법률 자문을 요청했다. 쩐뚜이동 위원장은 “삼성과 LG 등 한국 주요 기업들의 베트남 투자 자문을 수행한 광장의 풍부한 경험을 높이 평가한다”며 “더 많은 한국 투자자가 베트남에 투자할 수 있도록 빈푹과 MOU를 체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광장에서 기업 및 M&A 실무 그룹을 맡고 있는 문호준 대표변호사는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이 빈푹성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리한 조건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광장은 베트남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에 대한 법률 자문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업무협약을 맺고 스타트업 법률자문단에 합류하기도 했다. 베트남 빈푹성의 경우 한국 투자 비중이 높은 지역 중 하나다. 빈푹성은 480개 이상의 외국인 직접투자(FDI) 프로젝트를 유치하며 85억 달러(약 11조8800억원) 이상의 자본을 끌어들였는데 이 중 한국의 비중이 가장
[더구루=길소연 기자]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로 사실상 멈춰섰던 일본의 원전 정책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인공지능(AI) 보급 확대에 따른 전력수요 급증과 에너지 안보에 대응하기 위해 원전을 늘리기로 하면서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에너지 전환과 신산업 육성, 전력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신규 원전 건설과 기존 원전 재가동을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간사이전력은 오는 11월에 일본 서부에 위치한 미하마 발전소의 신규 원자로 건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재개할 예정이다. 미하마 원전의 신규 원자로 조사 재개는 원자력 산업에 대한 투자 재개를 위한 장기적인 공공 노력의 일환으로, 신규 원전 건설을 향한 첫걸음이다. 신규 원자로의 타당성 조사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발생한 도쿄전력의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중단됐다. 원전 사고로 2030년까지 연장된 타당성 조사는 건설에 적합한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부지 내부와 주변 지역의 광범위한 지질 조사로 시작한다. 이후 지형과 지반 상태 평가가 이어질 예정이다. 간사이 전력은 조사가 일단락되면 기본설계를 책정하고, 이를 원자력규제위원회에 제출하게 된다. 위원회로부터 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과 기술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산업 진흥책에 이어 용어 표준도 공개했다. 중국은 용어 표준을 통해 개발과정에서 혼란을 막고 상용화 기간을 단축해 뉴럴링크, 싱크론과 같은 미국 기업을 따라잡는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16일(현지시간) 의료기기 산업 표준 'YY/T 1987-2025'를 발표했다. 해당 표준의 제목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는 의료기기-용어(采用脑机接口技术的医疗器械 术语)'로 BCI의 개념과 기술 용어 등을 규정하는 내용이 담겼다. 해당 표준은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YY/T 1987-2025 표준은 BCI 관련 용어 130개 가량을 △기본 개념 △분류 △패러다임 △피드백 및 자극 △시스템 구성요소 △신호 처리 △신호 형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기술 △알고리즘 △안전 등 11개 카테고리로 분류해 정의했다. NMPA는 이번 표준 제정을 통해 BCI 업계의 용어 불일치와 개념 비표준화 등 기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 당국이 본격적인 용어 표준 마련에 나선 것은 지난해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