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해 유럽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 시장에서 주춤했다. 현지 전기차 시장 공략을 토대로 입지 확대에 나섰지만, 보조금 폐지 등 사정이 여의치 않아 전년 대비 10% 가까이 판매량이 줄었다. 특히 '톱10' 진입을 노리던 기아는 12위까지 밀렸다. 8일 독일연방도로교통청(KB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독일 자동차 시장에서 총 16만502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18만970대) 대비 8.81% 감소한 수치이다. 양사 합산 시장 점유율은 5.8%에 그쳤다. 독일 전체 자동차 시장 규모는 281만7331대로 집계됐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 대비 9.4% 하락한 9만6365대를, 기아는 전년 대비 8% 축소된 6만8656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각각 3.4%와 2.4%를 기록했다. 당초 현대차·기아는 순수 전기차(BEV) 수요 확보를 토대로 현지 시장 입지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였으나 독일 자동차 수요가 정체한데다 전기차 보조금까지 폐지되는 여건이 여의치 않았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현대차가 9위, 기아가 12위에 랭크됐다. 현대차는 전년과 동일한 순위를 유지하며 '톱10' 브랜드 지위를 이었지만,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유럽 생산기지인 체코공장의 올해 생산 목표를 역대 최저 수준으로 축소했다. 유럽 전기차 수요 감소가 이어지자 전기차 중심으로 올해 생산량을 10% 가량 줄인다.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도 병행한다. 8일 현대자동차 체코 노쇼비체 공장(HMMC)에 따르면 올해 생산 목표량은 29만5000대이다. 이는 전년 대비 10.84% 줄어든 수치이며 시간당 생산대수는 기존 66대에서 60대로 떨어진다. 코로나19 등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HMMC 역사상 가장 낮은 수준이다. HMMC 지난해 생산량은 33만890대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이창기 HMMC 법인장은 성명을 통해 "유럽 내 전기차 수요가 예상 만큼 증가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생산 계획에 반영됐다"며 "다만 유럽 시장 경제 상황과 전기차 수요, 탄소배출 규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HMMC 전기차 생산 비중은 지난 2023년 13%에서 지난해 10%까지 줄었다. HMMC는 오는 10일 전기차 수요 감소에 따른 생산량 조절을 위해 전기차 생산 라인 가동을 중단한다. 이미 지난해 11월과 지난 3일에도 같은 이유로 전기차 생산 라인 가동을 멈추고 속
[더구루=윤진웅 기자] 일본 혼다가 중국 전용 전기차 모델에 화웨이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닛산과의 합병을 토대로 덩치를 우선 키운 이후, 독자적인 시스템 개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혼다는 최근 화웨이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중국 론칭을 앞두고 있는 독자 전기차 브랜드 '예'(Ye)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예 브랜드를 통해 현지 출시하는 전기차 모델에 화웨이가 개발한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하기로 했다. 혼다 측은 "화웨이는 중국 도로에 최적화된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처음부터 시스템을 개발하는 대신 기성 인프라를 확보한 혼다는 향후 독자적인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단지 지금은 닛산과 합병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화웨이와의 파트너십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다. 앞서 혼다는 지난해 12월 23일 닛산자동차와 합병을 공식화했다. 닛산이 최대주주인 미쓰비시자동차가 합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미쓰비시의 합류 여부는 이달 말 결정된다. 혼다는 2027년까지 중국에 10개 모델의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제네시스 포함)가 지난해 캐나다 시장에서 연간 판매 기록을 경신했다. 브랜드별 모두 연간 판매 기록을 새롭게 쓰며 역대 연간 판매 최고치를 달성했다. 특히 현대차·기아는 현지 친환경차 시장에서 활약하며 전동화 브랜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다. 7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캐나다 시장에서 22만541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20만7054대) 대비 8.86% 증가한 수치이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 대비 13.9% 증가한 13만1715대를 판매하며 역대 연간 최고 판매를 기록했다.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코나와 투싼, 엘란트라 순으로 가장 많이 팔렸다. 코나는 3만20대, 투싼과 엘란트라는 각각 2만9387대와 2만427대 판매됐다. 특히 현대차는 현지 친환경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과시했다. 전년(3만3415대) 대비 31.5% 확대된 4만5159대를 판매했다. 친환경차 라인업 중에서는 아이오닉5가 1만3484대로 선두를 달렸고, 아이오닉5에 이어 투싼 하이브리드(1만1815대)와 코나EV(9179대)가 실적을 뒷받침했다. 현대차는 현지 프리미엄 시장에서도 활약했다. 제네시스가 전년 대비 6.4%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해 영국 시장에서 20만대 시대를 처음으로 열었다. 투싼과 스포티지 등 브랜드별 대표 인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을 앞세워 현지 SUV 시장을 공략한 데 따른 결과이다. 특히 기아는 친환경차 부문 판매 2위에 올랐다. 7일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T)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제네시스 포함)는 지난해 영국 시장에서 총 20만527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19만6239대) 대비 4.60% 증가한 수치이다. 양사 합산 시장 점유율은 10.51%로 집계됐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전년 대비 5.4% 성장한 9만1800대를 판매했다. 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한 4.7%이며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9위를 기록했다.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투싼이 전체 판매의 35%를 차지하는 등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현대차는 친환경차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다. 친환경차 판매가 전체 판매량의 과반을 넘었다. 순수 전기차 판매량이 1만8000대 가까이 급증한 데 따른 결과이다. 현지 친환경차 볼륨 모델 코나EV의 경우 EV 판매량의 약 60% 비중을 나타냈다. 애슐리 앤드류(Ashley Andrew) 현대차 영국판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해 아프리카 교두보인 이집트 시장에서 고속질주했다. 특히 기아는 현지 수입차 시장 '톱3' 목록에 이름을 올렸으며, 현대차의 경우 전년 대비 7.1배 상승한 판매고를 기록했다. 7일 이집트자동차시장정보위원회(AMIC)와 이집트차량보험협회 등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2024/2025 이집트 회계연도 상반기(2024년 7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이집트 수입차 시장에서 6개월 동안 총 4417대를 판매했다. 월평균 736여 대를 판매한 셈이다. 양사 시장 점유율은 13.36%이다. 해당 기간 이집트 수입 자동차 시장 규모는 3만3059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3만604대) 8.02% 상승한 수치이다. 단일 브랜드 기준 기아는 해당 기간 총 314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24.6% 감소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9.8%이며 수입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3위를 기록했다. 특히 현대차는 전년 대비 714.1% 수직성장한 1270대를 판매했다. 1위는 MG가 차지했다. 같은 기간 총 6142대를 판매했다. 토요타는 5226대로 2위에 이름을 올렸다. 르노와 지리는 각각 2410대와 1482대로 4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 자동차 판매 가격 인상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현지 정부의 자동차 세금 인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자동차 판매 가격 인상 이후 판매량 축소를 우려해 현지 공장 수출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도 병행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네시아판매법인(HMID)은 자동차 판매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동차 부가가치세 인상을 추진하는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인도네시아 당국은 재무부 규정(No.131/2024)에 따라 내달 1일 부로 자동차 부가세를 12%까지 올리기로 했다. HMID는 소비 심리 둔화에 따른 판매량 축소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부디 누르 묵민 현대차 인도네시아 판매법인(HMID)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아직 많은 것을 고려하고 있어 판매 가격에 대해 지금 공유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말을 아꼈다. 다만 HMID는 지속해서 시장 내 존재감을 키우기 위해 신제품 출시는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당장 오는 9일 신차 출시를 예고한 상태이다. 구체적인 모델명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크레타 N라인이 유력하다. 현대자동차 인도네시아 공장(HMMI, Hyu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미국 순수전기차(BEV) 시장에서 연간 판매 '10만대 시대'를 열었다. 다만 그룹별 순위는 제너럴모터스(GM)에 밀려 지난해 2위에서 3위로 밀렸다. 현대차·기아는 최근 미국 세액공제 대상 차종이 확대되면서 2위 자리 탈환에 나선다. 6일 더구루가 미국 전기차 판매량을 취합한 결과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미국 BEV 시장에서 총 10만39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9만4000대) 대비 6.8% 증가한 수치이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아이오닉5(4만4400대) △아이오닉6(1만2264대) 등 5만6664대(코나EV 포함)를 판매했고, 기아는 △EV6(2만1715대) △EV9(2만2017대) 등 4만3732대를 기록했다. 다만 판매 순위는 3위로 전년 2위 보다 한계단 하락했다. GM이 전년(7만5386대) 대비 51% 급증한 11만4432대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기아와 GM 간 판매 격차는 1만4036대로 집계됐다. 지난 2023년의 경우 현대차·기아가 1만8614대 차이로 GM을 제치고 2위를 기록한 바 있다. 이어 포드가 총 9만7865대를 판매,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해 인도 전기차 시장 '톱10' 브랜드 목록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양사는 올해 전기차 판매 라인업 확대와 현지 생산을 토대로 판매를 본격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현대차는 현지 볼륨모델 크레타 기반 전기차를, 기아는 보급형 소형 전기 SUV 모델 출시를 채비하고 있다. 6일 인도 도로교통부 데이터(Vahan Dashboard)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 총 1318대(소매 기준)을 판매했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910대, 기아는 408대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각각 0.92%와 0.42%이며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8위와 10위에 랭크됐다. 지난해 인도 전기차 시장 규모는 9만8841대로 집계됐다. 1위는 타타가 차지했다. 같은 기간 총 6만1435대를 판매했다. MG는 2만1464대로 2위, 마힌드라는 7104대로 3위를 기록했다. 이어 BYD와 시트로엥이 각각 2819대와 1873대로 4위와 5위에 이름을 올렸다. 6위와 7위, 9위는 각각 △BMW(1210대) △메르세데스-벤츠(940대) △볼보(442대) 순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기아는 전기차 판매 라인업 확대와 현지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광저우자동차가 3세대 휴머노이드 '고메이트'(GoMate)를 공개하고 대량생산 돌입을 예고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광저우자동차는 지난해 12월 26일 고메이트를 공개하고 올해 고메이트 자체 연구 부품의 대량 생산 실현 계획을 밝혔다. 일단 광저우자동차 전치(傳祺)와 아이안(埃安) 등 완성차 공장 생산라인과 산업단지에서 시범 운영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오는 2026년에는 고엠메이트의 소량 생산을 실현하고 점진적으로 대량 생산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고메이트는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탑재한 전신 크기의 바퀴형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4족 바퀴와 2족 바퀴 모드 전환이 가능한 가변형 이동 구조를 갖추고 있다. 고메이트는 향후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검사, 분류, 도포 작업을 수행하며, 전국의 자동차 판매점에서는 차량 충전, 청소, 수하물 운반 등의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광저우자동차는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성장세를 주목하고 있다. 화공산업연구원(高工產業硏究院)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21억5,800만 위안(한화 약 4338억 원)에 달한다. 오는 2030년에는 380억 위안(약 7조6387억 원)에 이를 것으로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연말연시 고객몰이를 위한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판매 목표 초과 달성에 따른 감사 이벤트 성격도 띈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BYD는 오는 26일까지 친(秦) PLUS EV 룽야오 버전 모델과 송(宋) Pro DM-i 모델 2개 차종에 대해 1만 위안을 할인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이어지고 있는 프로모션이다. 이번 할인을 적용한 이들 모델의 가격은 9만9800위안이다. 여기에 5000위안의 보험금 지원과 정부의 전기차 교체 보조금 지원(친 최대 2만5000 위안, 송 최대 2만4000 위안) 혜택을 누릴 수 있다. BYD는 이번 할인을 토대로 고객몰이에 나선다. 전기차 브랜드 경쟁이 지속해서 심화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맞춤형 전략을 선보일 계획이다. BYD는 올해 판매 목표를 425만 대로 잡았다. 이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해 연간 판매 목표는 360만 대였다. 아직 공식 집계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BYD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370만여 대를 판매했다는 점에서 기존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한편 BYD는 중국의 대표 전기차 제조업체로, 미
[더구루=윤진웅 기자] 일본 정부가 혼다와 토요타에 수소연료전지 설비투자 보조금을 지원했다. 자국 기업의 수소연료전지 제조 역량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다. 특히 혼다의 경우 최근 글로벌 영향력 확대를 위해 닛산자동차와 합병까지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서 현대자동차그룹과 토요타의 양강체제를 흔들 수 있는 '복병'으로 주목받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지난해 12월 18일 혼다와 토요타 대상 설비 투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자국 내 수소연료전지 공급망 구축을 위해서다. 탈탄소화를 위한 공급망 관련 설비투자 보조 항목에 따라 혼다와 토요타 보조금을 각각 147억엔과 112억엔으로 책정했다. 경제산업성 측은 "이번 보조금 지급을 통해 자국 기업의 수소연료전지 제조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의 수소 사업 의지는 지난 2023년부터 이어지고 있다. 당시 일본 정부는 개정한 수소기본전략에서 수소연료전지에 대해 “조기 사업화를 추진하고 일본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토요타는 이번 보조금을 토대로 오는 2030년까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연간 판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