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빙그레의 러시아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현지 파트너사인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업체 이스턴 스낵 컴퍼니(Eastern Snack Company)가 내년부터 자동화 생산라인을 본격 도입한다. 이미 공장 가동률 100%로 생산량 증대로 로열티를 받는 빙그레가 함박웃음을 짓고 모양새다. 빙그레는 러시아 수출 물량의 95% 이상은 김해공장에서, 약 5%는 현지 OEM을 통해 생산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스턴 스낵 컴퍼니는 내년 상반기 내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Novosibirsk) 제과 공장의 '현대화 작업'을 마무리한다. 노보시비르스크 공장 내 제과 제품 포장 라인 내 로봇 설치를 통해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있는 포장 공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현대화 작업의 골자다. 이스턴 스낵 컴퍼니는 이를 통해 포장 속도를 기존의 두 배가량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노보시비르스크 공장에 지난해 신규 생산라인을 설치한 지 1년 만에 공장 생산 능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이스턴 스낵 컴퍼니가 생산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에 나서는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지난 2022년 지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린 생산(Lean Manufacturin
[더구루=김형수 기자] 동아에스티 미국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이하 뉴로보)의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DA-1726' 개발이 순항하고 있다. 뉴로보는 내년 임상 1상 파트3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내걸고 DA-1726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뉴로보는 내년 3분기 임상시험 피험자 등록을 시작하며 DA-1726 임상 1상 파트3를 개시한다. 임상 1상 파트3은 24주간 DA-1726 또는 위약을 반복 투여하는 평행비교시험으로 설계됐다. 체중변화, 근육 대비 체지방 감소율, 음식 섭취량 변화, 최대 허용 용량 등을 확인해 오는 2026년 상반기 임상 12주 중간 결과를, 하반기 톱라인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임상 1상에 진입한 지 불과 2년 만에 임상 1상 파트3까지 마무리하며 DA-1726 개발을 가속화하고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뉴로보의 행보로 풀이된다. 뉴로보는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DA-1726 글로벌 임상 1상 승인을 획득했다.<본보 2024년 2월 2일 참고 [단독] 동아에스티 美자회사 뉴로보, 비만 신약 'DA-1
[더구루=김형수 기자] 씨젠이 국내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글로벌 호흡기진환 진단기기 시장을 선도할 핵심 기업으로 선정됐다. 씨젠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내세워 해외 호흡기질환 진단기기 시장 공략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11일 인도 시장조사기관 델베인사이트 비즈니스 리서치(DelveInsight Business Research)에 따르면 오는 2030년 글로벌 호흡기질환 진단기기 시장 규모는 90억달러(약 12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6년간 연평균 4.0% 성장률이 예상된다. 델베인사이트 비즈니스 리서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 인플루엔자 B, 호흡기 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의 유행으로 인해 호흡기질환 환자가 늘어나면서 호흡기질환 진단기기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높은 호흡기 질환 유병률을 기록하고 있는 북미를 중심으로 전세계 시장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전 포인트는 델베인사이트 비즈니스 리서치가 씨젠을 글로벌 호흡기질환 진단기기 시장을 선도할 주요 플레이어로 선정했다는 점이다. 미국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 독일 지멘스 헬시니어스(Siemens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뚜기가 간판 진라면을 내세워 아시아 마케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말레이시아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 진라면을 비롯한 다양한 라면을 선보이며 현지 시장 내 입지 확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11일 동남아시아 이커머스 플랫폼 쇼피(Shopee)에 따르면 오뚜기는 쇼피 말레이시아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진라면 △보들보들 치즈라면 △사리면 등 주요 라면 제품 판매를 시작했다. 쇼피는 지난 2015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전자상거래 기업이다. 말레이시아를 비롯해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대만, 인도네시아 등에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꼽힌다. 지난 2021년 브라질, 멕시코 등에 진출하며 중남미로 해외 시장을 확대했다. 진라면은 지난 1988년 3월 출시된 오뚜기 대표 라면이다. 진라면 순한맛, 진라면 매운맛 등 2종이 있어 소비자들의 각자의 입맛에 맞는 라면을 먹을 수 있도록 개발됐다. 오뚜기는 지난 9월 양지 원료 보강을 통해 진한 육수맛과 감칠맛을 높인 업그레이드 버전 진라면을 선보였다. 보들보들 치즈라면은 오뚜기가 필리핀·대만·홍콩 등 전세계 39개국에서 판매하고 있는 수출 전용 제품이다. 매콤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리아가 창립 45주년을 맞았다. K버거 자존심을 지킨 롯데리아가 국내와 동남아 시장 성공을 발판 삼아 방향키를 미국으로 돌리고 있다. 롯데리아 운영사 롯데GRS는 미국 진출 지역 결정을 위한 시장 조사도 마쳤다. 내년 상반기 내 미국에 1호점을 시작으로 글로벌 K푸드 트렌드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일본 롯데리아와 합작해 지난 1979년 10월25일 롯데리아 1호점을 오픈하고 관련 사업을 시작했다. 서구 외식 메뉴인 햄버거를 한국식으로 재해석한 메뉴를 선보이며 국내 패스트푸드 시장을 열어젖힌 순간이다. 국내 패스트푸드 시장을 개척한 롯데GRS의 역사는 수많은 '최초'의 기록으로 가득하다. 국내 외식산업 최초 연수원센터 개원(1980년 8월), 업계 최초 휴게소 매장 천안삼거리점 오픈(1983년 4월), 업계 최초 POS 시스템 도입(1991년11월), 업계 최초 불고기버거 출시(1992년9월) 등이다. 지금은 국내에 있는 맥도날드, KFC 등의 해외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도 맛볼 수 있는 불고기버거지만, 롯데리아는 '불고기버거 원조집'의 명성을 굳건히 지키며 시장에서 공고한 입지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사위이자 이경후 CJ ENM 브랜드전략실장(경영리더)의 남편인 정종환 CJ ENM 콘텐츠·글로벌사업 총괄이 'K컬처' 영토 확장에 발 벗고 나섰다. 정 총괄이 CJ ENM 인기 드라마 리메이크판 작품을 내세워 해외 시장 확대를 추진함에 따라 글로벌 콘텐츠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 총괄은 그룹의 K콘텐츠 확산 사업에서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커질 걸로 보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튀르키예 제작사 O3 메드야(O3 MEDYA)·다스 야핌(DASS Yapim) 등과 눈물의 여왕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CJ ENM이 해외 기업과 눈물의 여왕 라이선스 계약을 성사시킨 것을 이번이 처음이다. CJ ENM은 해당 라이선스 계약을 토대로 O3 메드야·다스 야핌과 협력해 눈물의 여왕 튀르키예판을 제작해 현지 시장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튀르키예 방영 이후 다른 국가에서도 리메이크판 눈물의 여왕을 방송하며 글로벌 시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CJ ENM이 유럽 시장 확대를 본격화함에 따라 유럽에서 K콘텐츠 확산이 탄력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번 튀르키예 진출은 정 총괄이 사업 초기부터 직접
[더구루=김형수 기자] 밀크터치가 일본에 '젤리핏 틴디드 글로우 틴트'(Gelly FIt Tinted Glow Tint·이하 젤리핏 틴트) 신규 컬러를 론칭하고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신제품을 꾸준히 출시하며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9일 밀크터치 일본 파트너사 마케팅·에이전시업체 쿠지에 따르면 밀크터치는 오는 15일 일본에 젤리핏 틴트 신규 컬러 4종을 출시한다. 밀크터치 일본 공식 온라인 쇼핑몰 등의 채널을 통해 판매한다는 방침이다. 젤리핏 틴트 신규 컬러는 △가을 햇살 같은 분위기를 더해주는 '어텀 피치'(Autumn Peach) △연보라색과 솔방울색을 조합한 '파인 모브'(Pine Mauve) △장미를 연상시키는 소프트 누드 핑크 컬러가 특징인 '로지 브리즈'(Rosy Breeze) △따뜻한 낙엽 컬러에서 영감을 얻은 '폴른 코코'(Fallen Coco) 등이다. 이들 제품 판매가 시작되면 밀크터치가 일본에서 선보이는 젤리핏 컬러는 총 10종으로 늘어나게 된다. 지난 7월 일본에 젤리핏 컬러를 출시한 지 4개월 만에 컬러 라인업을 확대하는 것이다. 밀크터치는 당시 젤리핏 뉴피치베어·피치온톱·쿨타임베리·뮤트피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추수감사절(11월28일) 대목 공략에 들어갔다.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케이크를 대거 출시하고 현지 고객몰이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미국에 추수감사절 기념 케이크 4종을 론칭했다. 다음달 1일까지 미국 내 180여개 매장에서 판매된다.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을 맞아 가족, 주변 사람들과 칠면조 요리를 먹고 디저트로 케이크를 즐기는 문화가 있어 매출 증대를 회사측은 기대한다. 파리바게뜨는 초콜릿, 치즈 등 대중적 재료를 이용한 고품질 수제 케이크를 개발했다. 초콜릿 스펀지 케이크에 더블 초콜릿 소프트 크림과 카라멜 소스·씨솔트 등을 조합한 '뉴 땡스기빙 더블 초콜릿 솔티드 카라멜 레이어 케이크', 뉴욕 스타일 치즈케이크와 버터 그라함 크러스트·초콜릿 가니시·쿠키&크림 등이 어우러진 '뉴 땡스기빙 쿠키&크림 초콜릿 가니시 치즈케이크' 등이다. 바닐라 스펀지 케이크 베이스 위에 14겹 크레페와 크림을 올린 '뉴 땡스기빙 크레페 케이크', 바닐라 스펀지 케이크와 메이플 피칸 크림이 조화를 이루는 '땡스기빙 메이플 피칸 레이어 케이크' 등도 준비했다. 이들 케이크 위에 영문으로 'HAPP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에 리뉴얼 론칭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모바일 앱을 새단장하고 온라인 소비자 경험을 개선한 것이 온라인 매출 증가라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8일 미국 프랜차이즈 분야 유력매체 1851프랜차이즈(1851Franchise)에 따르면 파리바게뜨 오프프레미스(Off-Premise) 매출은 지난 7월 모바일 앱 리뉴얼 출시 이후 25% 이상 늘어났다. 오프프레미스 매출은 소비자가 모바일 앱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픽업·배달 주문을 할 때 발생하는 매출을 의미한다. 디지털 경쟁력 제고를 위한 파리바게뜨의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며 매장 내 대면 판매 중심의 온프레미스(On-Premise) 의존도를 낮추고 판매 경로를 다변화하는 결실을 맺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파리바게뜨 미국 내 온프레미스 대 오프프레미스 판매 비중은 지난 2021년 기준 95% 대 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파리바게뜨는 미국 애플리케이션을 리뉴얼하면서 모바일 앱 및 온라인 주문 기능을 개선했다. 또 PB리워드 프로그램을 개편했다. PB리워드 회원의 경우 1달러(약 1400원)를 결제할 때마다 1포인트가 적립된다. 일정 포인트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이 김치라면이 독일 소비자들의 입맛을 꽉 사로잡았다. 농심 김치사발면을 비롯한 김치 기반 라면 제품이 독일 아마존(Amazon) '김치 식품 베스트셀러' 상위권을 휩쓸면서 현지에서 제품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8일 독일 아시아제품 정보 전문 사이트 스시하우스(Sushihaus)에 따르면 농심 김치사발면은 독일 아마존 김치 기반 식품 베스트셀러 순위 정상을 차지했다. 해당 순위는 △판매량 △소비자 평가 데이터 등을 토대로 매겨졌다. 농심 김치사발면은 한국 전통 김치를 베이스로 청경채, 당근, 마늘 등의 야채가 들어있어 본고장 한국의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제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매콤한 김치의 풍미와 얇은 면발의 조화가 뛰어나다는 점도 장점으로 거론됐다. 독일 아마존에서 565개의 소비자 평가를 받은 김치 사발면은 별점 5점 만점 가운데 4.3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받았다. CJ제일제당 비비고 썰은 김치는 2위에 이름을 올렸다. 뒤이어 신라면 김치 용기면 3위, 신라면 김치 봉지면 4위, 동원 양반김치 캔 5위 등이 상위권에 진입했다. 이번 순위 '톱5' 가운데 세 자리를 농심 라면 제품이 차지했다. 간편하게 매콤한 정통
[더구루=김형수 기자] KT&G가 간판 초슬림 담배 브랜드 에쎄(ESSE)를 내세워 유럽 연초 담배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궐련형 전자담배 릴(lil)에 이어 연초 담배를 내세운 해외 마케팅을 강화하며 글로벌 4위 '톱티어(Top-tier)' 기업 도약이라는 비전 실현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KT&G는 지난 4월 진출한 루마니아를 교두보로 삼아 유럽 연초 담배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포르투갈, 스페인, 안도라 등에 깃발을 꽂고 '글로벌 넘버1' 초슬림 담배 에쎄 마케팅을 펼친다는 방침이다. 지난 7월 유럽 내 KT&G 제품 독점 생산·유통에 대한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한 불가리아 담배기업 KTI(KT International)와 협력해 현지 시장에 에쎄를 공급할 전망이다. KTI는 불가리아 플로보디프(Plovdiv)에 연간 200억개비 담배 생산 역량을 갖춘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본보 2024년 7월 18일 참고 '에쎄' 성공신화 쓴 방경만號 KT&G, 유럽 공략 본격 시동…KTI와 계약> 시장 전망도 밝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는 올해 루마니아 담
[더구루=김형수 기자] KGC인삼공사가 중국 최대 쇼핑시즌 광군절 기간 정관장 대표 제품 에브리타임 등이 불티나게 팔려나가면서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중국을 겨냥한 차별화된 홍삼 기술력을 집중 홍보한 것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8일 업계에 따르면 KGC인삼공사 △홍삼정 에브리타임 △홍삼원 △원지삼 등 정관장 브랜드 홍삼 제품은 티몰·징동닷컴 등 중국 대형 온라인쇼핑몰에서 오는 11일까지 진행하는 광군제 쇼핑 이벤트 베스트셀러 명단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정관장은 중국 광군절을 맞아 지난 1일부터 현지에서 정관장 에브리타임 등을 대상으로 최대 50% 할인·사은품 증정 등의 행사를 펼치고 있다. 홍삼 제품의 건강기능 개선 효과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의 인식이 개선되면서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평가다. 정관장 흥행에 힘입어 올해 KGC인삼공사 실적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KGC인삼공사가 지난해 중국에서 올린 매출은 1655억원으로 전년 대비 47.64% 급증했다. 중국 광군절 프로모션 등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마케팅을 적극 펼친 것이 매출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정관장 브랜드를 통해 선보인 다양한 홍삼 제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비보(Vivo)의 프리미엄 브랜드 아이쿠(iQOO)가 소형 플래그십 태블릿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아이쿠의 참전으로 애플과 샤오미가 주도하고 있는 소형 태블릿 시장 경쟁 구도가 변화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유명 IT 팁스터 '디지털 챗 스테이션(DCS)'은 "아이쿠가 플래그십 사양을 갖춘 8.3인치 소형 태블릿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DCS는 아이쿠가 해당 테블릿을 올해 말 출시할 계획이지만, 내부 사정으로 내년으로 연기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DCS에 따르면 아이쿠의 새로운 태블릿은 퀄컴의 최신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가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출시가 2026년으로 연기될 경우 차세대 칩셋인 '스냅드래곤 8 엘리트 2'로 업그레이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DCS는 디스플레이 크기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외의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업계는 아이쿠가 고성능을 앞세워 기존의 강자인 애플 아이패드 미니와 샤오미 패드 미니 등과 직접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고있다. 샤오미 패드 미니는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레드미 K 패드의 글로벌 판매명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로봇 스타트업 카트켄(Cartken)이 사업의 중심축을 '라스트 마일 배송'에서 '산업 현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카트켄은 기존 라스트 마일 배송 사업은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며, 기술 개발에 발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카트켄은 최근 쿠리어(Courier) 6륜 식품 배달 로봇을 산업 현장 자재 운반용 로봇으로 투입하고 있다. 크리스처 버쉬(Christian Bersch) 카트켄 최고경영자(CEO)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를 통해 "배송로봇을 산업 현장에 투입하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다"며 "산업 현장 수요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트켄은 2019년 구글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로보 스타트업으로 라스트 마일 배송 서비스 로봇을 주로 공급해왔다. 카트겐의 배송 서비스를 이용한 기업으로는 그럽허브와 스타벅스, 우버이츠 등이 있다. 이들 기업들은 쿠리어를 이용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카트켄의 사업 전환은 2023년 독일의 제조 회사인 ZF 라이프텍(ZF Lifetec)과 첫 산업 고객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ZF 라이프텍은 공급받은 쿠리어를 자재 운반용으로 투입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