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싼타페 하이브리드(HEV)가 미국에서 '올해 최고의 구매 차량'으로 선정됐다. 럭셔리한 외관에 넉넉한 실내 공간, 높은 연비가 선정 요인으로 작용했다. 7일 현대차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전문지 '더 카 커넥션(The Car Connection)'은 최근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을 ‘2025 최고의 구매 차량’으로 선정했다. 앞서 6일(현지시간) 미국 자동차 전문 매체 '모터 오소리티(Motor Authority)'가 순수 전기 SUV 아이오닉 5 N(IONIQ 5 N)를 '2025 최고의 구매 차량'으로 선정한 데 연이은 쾌거다. 더 카 커넥션은 산타페 하이브리드가 자사 독자적인 평가 시스템에서 최고 점수를 받아 선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안전 △편안함 △유용성 △연비 △성능 △기술력 △스타일 부문에서 '최고' 점수를 받았다고 강조했다. 싼타페 하이브리드는 합리적인 가격과 넉넉한 실내 등 실용성을 갖춘 것이 인기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후면에 개방감 있는 테일게이트 공간이 가족 단위 운전자가 많은 미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공략했다는 평가다. 와일드한 테일게이트는 적재 시 용이성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한항공이 아시아 지속가능 항공 연료 협회(ASAFA)에 공식 합류한다.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SAF) 시장 활성화에 나서며 친환경 경영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한다는 각오다. 7일 업계에 따르면 ASAFA는 아시아 지역 SAF 사용 확대와 항공 산업의 탈탄소화 촉진을 위해 지난 3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공식 출범했다. ASAFA에는 대한항공을 비롯해 △원포인트파이브(1PointFive) △DHL 그룹 △뷰로 베리타스(Bureau Veritas) △마키스 에너지 글로벌(Marquis Energy Global) △EU-ASEAN 비즈니스 협의회 △스카이엔알지(SkyNRG) △PT 그린 에너지 우타마 △퀀텀 커머디티 인텔리전스 등 항공 업계 선도 기업들이 참여한다. 회원들은 동남아시아 및 한국, 일본, 인도,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 △SAF 사용 촉진을 위한 정책 조정 및 △시장 프레임워크 개선 △대중 인식 제고 등을 추진한다. SAF는 바이오 원료를 가공해 만드는 친환경 항공 연료다.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어 세계 각국은 저탄소 시대를 맞아 SAF 사용 의무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가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 분야에서 획기적인 전력 효율을 자랑하는 차세대 레이저 기술 개발에 나섰다. 기존 레이저 기술 대비 '10배' 뛰어난 전력 효율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제조 기술 핵심으로 주목받는 EUV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영국 국방과학기술연구소(DSTL)가 군사 작전에 양자 기술을 활용한다. 원자시계를 개발해 기존 사용하던 GPS 의존도를 낮추고 정밀한 시간 관리로 작전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 원전 당국이 소형 원전 'BSR(Bharat Small Reactors)' 건설에 참여할 민간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 인도 원자력발전공사(NPCIL)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220㎿ 규모 BSR 구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배포했습니다. 오는 3월까지 제안서를 받고 평가를 시작할 예정입니다. 일찌감치 인도 시장에 문을 두드린 홀텍 인터내셔널(이하 홀텍)을 비롯해 미국 기업들의 참여가 전망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인도 '소형 원전' 사업 본격화... 220㎿ 규모 BSR 구축 RFP 발송
[더구루=김은비 기자] SK하이닉스의 미국 낸드플래시 자회사 '솔리다임(Solidigm)'이 소비자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시장에서 완전히 손을 뗍니다. 솔리다임에 따르면 최근 유일한 소비자용 SSD 제품 라인업인 △P41 플러스 △P44 프로 생산과 판매를 공식 중단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 내 제품 소개 페이지에도 소비자용 SSD 제품 섹션을 없앴습니다. 수익성과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서버용 SSD 분야에 사업 역량을 집중, 글로벌 시장 1위에 도전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SK하이닉스 솔리다임, 소비자용 SSD 시장 철수...기업·서버용 SSD '올인'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 사고기에 엔진을 납품한 CFM인터내셔널이 한국과 미국이 꾸린 합동 조사단에서 제외됐습니다. 미 항공전문지 더에어큐런트(The Air Current)에 따르면 미 연방 교통안전위원회(이하 NTSB)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조사단 구성에 대해 "737 기종에 엔진을 공급한 CFM인터내셔널은 포함되지 않았다"라고 밝혔습니다. 버드스트라이크(조류 충돌)에 따른 엔진 이상에 대한 의문점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작 엔진 제조사는 빠진 것입니다.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이례적이라는 분석이 미국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제주항공 참사 조사단, 정작 엔진제조업체 전문가는 빠져...美서도 "이례적"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에서 철도 물류 비중을 확대하며 친환경 물류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신흥 자동차 시장으로 주목받는 인도에서 지속 가능한 물류 전략을 통해 환경 보호에도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은 지난해 현지 도매 물량의 26%에 해당하는 15만6724대의 차량을 철도 화물로 운송했다. 이를 통해 1만8362톤의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인도 북동부 지역에서는 100% 철도 수단으로 차량을 운송해 눈길을 끌었다. 타룬 가르그 HMIL 최고운영책임자(COO)는 "현대차는 제조, 물류, 판매, 애프터 서비스 등 모든 운영 단계에서 지속 가능성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스리페룸부두르 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을 인도 전역으로 철도를 통해 운송함으로써 친환경 물류의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은 이전부터 계속돼 왔다. 지난 2021년부터 작년까지 총 53만7499대를 철도로 운송했으며, 이를 통해 6만3452톤의 CO2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었다. 현대차는 이외에도 신형 전기차(EV) 출시와 더불어 대규모 고속 공공 EV 충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올해 새로운 연간 로켓 발사 횟수 목표를 잡았다. 지난해 134회를 발사한 데 이어 올해 180회를 발사한다는 목표다. 스페이스X는 우주 산업 공략을 가속화, 독보적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엔비디아는 대만을 거점으로 '주문형 반도체(ASIC)' 개발 역량을 강화한다.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칩 기술 트렌드가 오픈AI의 ‘o1’과 같은 추론(인퍼런스) 중심으로 바뀌면서 ASIC에 주목하고 있다. 대만에 해외 사업을 총괄하는 헤드쿼터 및 R&D 센터 건설을 추진 중 엔비디아는 거점을 삼은 대만을 중심으로 ASIC 경쟁에 대비하기 위한 인재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2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화홍반도체가 인텔 전 글로벌 부사장을 신임 사장으로 임명했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 장비의 중국 수출을 금지하는 등 대중 제재를 강화하는 가운데, 인재 영입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모양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구글 양자컴퓨팅 칩 '윌로우(Willow)'가 공개되며 암호화폐 가격이 줄줄이 하락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양자컴퓨터의 발전이 암호화폐 암호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데요. 구글은 아직까지 양자컴퓨터가 암호화폐 알고리즘을 풀 수 없다고 밝히고 있는 상황이지만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예의주시 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구글 양자컴퓨터칩 '윌로우', 비트코인 '위협' 보다는 '공존'에 무게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이스라엘 남부 브엘세바(beersheba)에 위치한 연구개발(R&D) 센터를 확장한다. 엔비디아는 해당 센터를 이스라엘 남부 지역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이꽃들 기자] 글로벌 담배 기업 JTI(Japan Tobacco International)가 차세대 궐련형 전자담배 '플룸 오라(Ploom AURA)'를 루마니아에 정식 출시하며 유럽 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를 위해 37억 유로(한화 약 5조 4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가열담배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