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알제리 정부로부터 자동차 제조를 위한 ‘사전 영업 인가’를 획득, 현지 생산 체제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현대차는 과거 아프리카 시장 공략의 전진기지로 삼았던 알제리에 다시 진입해 중동·아프리카(MENA) 시장 공략을 위한 생산 거점을 마련한다. 28일 알제리 산업제약부 성명에 따르면 현대차는 알제리 산업제약부 정령 제22-384호에 근거해 'SARL 현대자동차 제조 알제리(SARL Hyundai Motors Manufacturing Algeria)'의 자동차 생산을 위한 사전 영업 인가를 발급받았다. 정령 22-384호는 △국내 조달률 △수출 의무 △전기차 생산 의무 △일부 공정 현지화 △연료 유형 제한 등 다양한 현지 제조 요건을 담고 있다. 이번 사전 영업 인가는 첫 관문이다. 최종 인가까지 획득할 경우, 현대차는 오는 하반기 공장 착공에 들어갈 수 있다. 현대차 알제리 공장은 오만의 사우드 바흐완 그룹(Saud Bahwan Group)과 협력해 만들어 진다. 알제리에 약 4억 달러(5507억 원)를 투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오만은 자국 국부펀드인 오만투자청(OIA)을 통해 알제리와 약 3억 달러(4130억 원) 규모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스페인 스포츠 경기장의 디지털 전환(DX)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스페인 프로축구 1·2부 리그 구단 약 80%가 LG의 기술을 채택했을 정도. LG는 경기장 경험 혁신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는 평가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LG는 스페인 축구 리그인 라리가의 1·2부 총 42개 구단 중 약 34개 구단의 홈구장에 고성능 발광다이오드(LED) 스크린,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HVAC) 등 디지털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홈구장 ‘리야드 메트로폴리타노’가 있다. 이 경기장에는 2000㎡가 넘는 초대형 LED 스크린과 길이 400m에 달하는 ‘스카이 리본 보드’가 설치돼 관중에게 360도 몰입형 시각 경험을 제공한다. 이곳은 LG 기술이 구현한 ‘스마트 스타디움’의 상징적 모델로, 세계 축구장 혁신의 기준점으로 꼽힌다. 레알 소시에다드의 ‘레알레 아레나’ 역시 LG 솔루션으로 현대화됐다. 경기장에는 800개 이상의 스크린을 비롯해 비디오 스코어보드, 리본 보드, 선수 전용 라운지와 게임룸이 마련돼 있다. 클럽은 훈련장에도 LG 디스플
[더구루=김은비 기자] 리비안이 엔트리급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R2’에 라이다(LiDAR) 기술을 탑재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자율주행 핵심 센서로 꼽히는 라이다를 상위 모델이 아닌 보급형 모델에 먼저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R.J. Scaringe)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R2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 이 이미지에서는 전면 유리창 상단 가로 프레임(크로스빔)에 의문의 절개 부위가 발견, R2에 라이다 장착 가능성이 부상했다. 이는 볼보 전기 SUV ‘EX90’ 등 일부 모델에서 라이다 센서가 장착되는 위치와 유사하다. 앞서 공개된 또 다른 R2 티저 이미지에서도 반복적으로 포착되며 관련 추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특히 첨단 장비로 꼽히는 라이다가 보급형 모델 R2에 먼저 적용될 것으로 전망, 업계의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라이다는 고가의 펄스 레이저(pulse laser)를 이용해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고 도로 지형을 정밀하게 맵핑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레벨3(Level 3) 자율주행 기술에 사용되는 만큼 고급 차량에 적용
[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 정부가 현대자동차의 인도 대규모 연구개발(R&D) 센터 설립 계획을 승인했다. 약 1조4000억원이 투입되는 이 센터는 주행 테스트 전용 트랙과 최첨단 테스트카 제조 시설 등을 갖출 예정이다. 인도를 글로벌 최대 수출 기지로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운 현대차는 신규 R&D 센터를 통해 인도에서의 기술 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인도법인(HMIL)은 인도 텔랑가나(Telangana) 주 정부 산업진흥소위원회(Industrial Promotion Sub-Committee)로부터 '현대 글로벌 이노베이션 R&D 센터(Hyundai Global Innov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re)' 건설 승인을 받았다. 총 852억8000만 루피(약 1조4000억원)가 투입되는 이 시설은 자히라바드(Zaheerabad) 국가 투자 제조구역(NIMZ) 내 675에이커(약 273만㎡) 부지에 들어서는 '메가 테스트 센터'다. 주행 테스트 전용 트랙과 최첨단 테스트카 제조 시설 등을 갖
[더구루=김은비 기자] 방글라데시가 해군력 강화를 위해 장보고급 잠수함 6척 도입을 추진합니다. 방글라데시는 한국산 어뢰와 미사일이 탑재된 잠수함으로 전략적 억지력과 해저 감시 능력을 증강해 해상 분쟁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방글라데시, '백상어 중어뢰·해성 탑재' 장보고급 잠수함 6척 도입 추진
[더구루=김은비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최대주주로 있는 위성 전문기업 쎄트렉아이가 우주산업의 '에어비앤비'를 표방한 위성 임대 서비스를 곧 출시합니다. 10월부터 자체 개발한 광학위성 스페이스아이-티(SpaceEye-T)를 활용해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향후 위성영상 수요가 농업과 도시개발, 재해 등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후년까지 추가로 3기를 더 발사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한화 '위성판 에어비앤비' 10월 출시...쎄트렉아이, 2028년까지 3기 추가 발사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로템과 폴란드의 K2 전차 2차 이행계약 체결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폴란드에서 나왔습니다. 폴란드 주간지 더블유프로스트(Wprost)와 군사 전문지 ZBiAM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폴란드형 K2 전차 K2PL 수출 계약을 수주 안에 체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매 물량은 약 180대, 60억 달러대(약 9조원) 규모로 알려졌습니다. 오래 기다린 양국 협상이 결실을 맺는 모양새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폴란드 유력 주간지 "K2 전차 2차 계약, 이르면 내달 체결“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 상위 5개 그룹이 전 세계 신차 판매량 '절반' 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토요타와 폭스바겐, 현대차그룹이 판매 1~3위 자리를 굳히는 가운데 중국 제조사들의 추격도 거세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신차 판매는 약 9000만 대로 추산되며 이 중 44.2%인 약 3978만 대가 상위 5개 완성차 그룹에 의해 판매됐다. 또 전체 판매 약 80%는 상위 15개 그룹이 차지했다. 이 중 현대차그룹(현대·기아·제네시스)은 전 세계에서 약 723만 대를 판매, 글로벌 3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8%에 이른다. 국내 판매는 다소 감소했으나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선전한 덕분이다. 1위는 토요타(렉서스·다이하츠·히노 포함)로, 약 1082만 대를 판매했다. 글로벌 1위를 수성한 것은 5년 연속이다. 점유율은 12%다. 북미, 유럽,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의 하이브리드차(HEV) 판매 강세가 실적을 견인했다. 2위는 폭스바겐그룹이 차지했다. 약 903만 대를 판매, 점유율 10%를 기록했다. ID 시리즈·Q4 e-트론 등 전기차(BEV) 호조에도 불구, 중국 시장 부진으로 전년 대비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가 내년 인도 시장 진출을 고민하고 있다. 관세 부담을 고려해 완성차(CBU) 수입 대신 반조립(CKD) 방식 도입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제네시스를 인도에 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도입 시기는 내년 상반기가 될 전망이다. 도입 초기 모델로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GV80과 프리미엄 세단 G80이 유력하다. 다만 현대차는 완성차 형태로 들여오는 CBU보다는 부품 단위로 수입 후 현지 조립하는 CKD 방식으로 현지 진출하는 것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이유는 바로 인도 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이다. 현재 인도는 CBU에 최대 110%, CKD에 16.5%의 관세를 각각 부과하고 있다. 두 방식의 차이는 93.5%p(포인트)에 달한다. . 현대차로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가 적용되는 CKD 방식 채택이 유리하다. 특히 제네시스는 고급 브랜드라는 특성 상 원재료 평균 단가가 높아 CBU 방식 적용시 소비자 부담이 높아지는 구조다. 테슬라 역시 완성차 수입에 대한 고관세 인하 없이는 인도 진출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현대차는 전반적인 상
[더구루=김은비 기자] "혁신의 시작은 문제 의식입니다. 도전하고 실패하고 또 도전합시다. 직접 해봐야 압니다. 안 될 것 같다고, 아무것도 안 하는 게 가장 위험한 일입니다."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이 그룹 임직원에게 가장 자주 하는 말이다. 그는 그룹 회장 취임 이후 지속적으로 기업 경영 뿐 아니라 조직 문화에까지 '혁신 DNA'를 이식 중이다. 24일 한국앤컴퍼니그룹에 따르면 조 회장이 내세우는 그룹 최우선 가치는 '도전과 혁신'이다. 그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히 도전하는 '프로액티브(Proactive)' 정신을 강조하며, 이를 조직 문화로 정착시키는 데 힘쓰고 있다. 그의 프로액티브 정신은 조직 혁신의 원동력이다. 사내 최고 권위 시상식의 명칭을 '프로액티브 어워드'로 정한 까닭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최고경영진들이 그룹 모든 임직원과 공개적으로 대화하는 프로그램은 '프로액티브 콘서트'로 불린다. 실제 조 회장은 자타공인 '혁신과 도전의 전도사'다. 평소 미팅이나 대화에서도 "변화가 무서운 게 아닙니다. 아무것도 안 하는 게 가장 무서운 겁니다. 실패는 선물입니다. 다시 도전하면 됩니다"라고 강조한다는 전언이다. 지난해 2월 대전 테크노돔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가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핵심 고객을 초청해 자사 냉난방 공조(HVAC) 기술을 직접 선보였다. 중국 쑤저우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는 물론, 미래 공조 기술의 방향성을 공유하는 장으로 평가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8~10일(현지시간) 중국 쑤저우에서 MENA 주요 유통업체을 대상으로 한 ‘에어 솔루션 데이(Air Solutions Day)’를 성료했다. 이번 행사에는 MENA 지역을 대표하는 유통 파트너, 컨설턴트, 계약업체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들은 삼성전자 쑤저우 에어컨 생산시설을 직접 견학하며 차세대 HVAC 시스템의 제조 공정과 품질 기준을 확인했다. 특히 쑤저우 대표 랜드마크인 쑤저우 국제금융광장(International Finance Square, IFS)과 동방지문(Gate of the Orient)을 방문했다. 이들 건물에는 삼성의 고성능 DVM S 워터(DVM S Water) 시스템이 설치돼 있다. 아울러 최신 스마트 공조 기술 시연과 전문가 심층 분석 세션을 통해 삼성의 기술 리더십을 직접 체험했다. 특히 삼성은 자사의 핵심 기술인 윈드프리(WindFree™)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아세안 핵심 거점으로 키워온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이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전년 대비 가동률이 절반 가까이 급감, 현지 전동화 전략 추진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24일 현대차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생산법인(HMMI)의 지난 1분기(1~3월) 공장 가동률은 56%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110.9%) 대비 54.9%포인트 급락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생산량도 2만2520대에서 1만8150대로 19.4% 감소했다. HMMI는 현대차그룹이 아세안 시장 공략의 핵심 거점으로 점찍은 ‘전략 기지’다. 지난 2022년 3월, 인도네시아 브카시 델타마스 공단 내 약 77만7000㎡ 부지에 아세안 최초의 완성차 공장으로 준공됐다. 현대차는 이 부지에 2030년까지 총 15억5000만 달러(약 2조1000억원)를 순차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가동률 급감은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인도네시아 내수시장 수요 위축, 그리고 전동화 전략 추진 과정에서의 초기 진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전기차 전환의 일환으로 HMMI에서 생산한 차량에 현지 배터리를 적용했음에도 뚜렷한 판매 확대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에 현대차는 인도네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