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스텔란티스(Stellantis)가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 이하 아처) 지분을 확대했다. [유료기사코드] 스텔란티스는 19일(현지시간) 르 부르제 상트르 파크 데 엑스포지시옹(Le Bourget Parc des Expositions)에서 열린 '제54회 파리 에어쇼'에서 아처의 주식 1090만 달러(약 140억원) 규모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스텔란티스는 공개시장을 통해 아처 주식을 매입했다. 가격은 주당 2.54달러에서 3.22달러 사이로, 총 1090만 달러를 투자했다. 스텔란티스는 이번 주식 매입으로 아처의 지분을 늘려 지배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스텔란티스가 아처와 협력 중인 eVTOL 제조는 순항 중이다. 앞서 스텔란티스는 올 초 아처와 eVTOL 독점 생산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스텔란티스는 아처에 2년 동안 최대 1억5000만 달러(약 1850억원)를 투자를 약속했다. <본보 2023년 1월 5일자 참고 [단독] 스텔란티스, 美 아처 '수직이착륙기' 독점 생산…UAM 시장 출사표> 양사는 현재 조지아주 코빙턴에 위치한 제조시설에서 e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페이저가 새로운 다중 궤도 이동통신(SATCOM) 솔루션 출시를 통해 위성통신 사업 분야 성장을 꾀한다. 위성 통신을 활용한 데이터를 강화하는 한편 이를 활용한 방위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에 나서는 모습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페이저는 단일 패널에서 다중 궤도 액세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위성통신 솔루션을 출시한다. 오는 2024년 여름에 공식 선보일 예정이다. 이 솔루션은 향후 공중·육상·해상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 낮은 궤도로 이동 중에도 Ku 대역(12~18GHz) 위성 통신을 제공한다. 평면 패널 디자인이라 기존 안테나보다 작고 가벼우며 모듈식 접근 방식을 사용해 고객에게 유연하고 맞춤형 솔루션을 선사한다. 이를 활용하며 각 군대에서는 저궤도(LEO)와 지구궤도(GEO) 위성에 모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부대가 이동 중에도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위성 블랙스팟과 충돌을 피하게 한다. 도미닉 필팟(Dominic Philpott) 한화페이저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이 안테나의 공중형 버전이 2025년 하반기에 상업용 항공우주 고객들에게 제공될 것"이라며 "LEO, GEO에서 모두 작동하도록 안테나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글로벌서비스가 싱가포르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체 골텐스 싱가포르에 선박 전자제어 엔진 수리를 맡긴다. 기존에 체결된 수리 협력 파트너 관계를 모든 수리 분야로 확대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글로벌서비스는 최근 자회사 HD현대글로벌기술서비스를 통해 골텐스 싱가포르와 전자제어 엔진 수리 계약을 체결했다. HD현대글로벌기술서비스는 HD현대글로벌서비스의 자회사로 2022년 4월 출범했다. 계약에 따라 골텐스 싱가포르는 연료 분사 밸브 작동, 유압 실린더 장치, 유압 전원 공급 장치 등 기타 관련 부품의 오버홀(분해수리)을 포함해 HD현대글로벌서비스의 전기·전자 제어식 4행정, 가스·2행정 ME 엔진과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위한 우선 서비스 제공업체로 지정됐다. 서비스는 선박 또는 골텐스 싱가포르 작업장에서 시행된다. 골텐스 싱가포르는 HD현대글로벌서비스와 싱가포르, 주변 지역 고객의 모든 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한 서비스 공급자 역할을 한다. 산딥 세스(Sandeep Seth) 골텐스 월드와이드 최고경영자(CEO)는 "골텐스는 수년 동안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협력 수리 파트너로 활동하는 HD현대글로벌서비스와 성공적인 관계를 유지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필리핀 보홀 직항노선을 개설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현지 정부 관계자는 전세기가 아닌 직항편 개설을 적극 희망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아시아나항공 입장으로선 여객 수요가 충분치 않을 경우, 보홀 직항로를 개설할 이유가 없다. 19일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아리스 아우멘타도(Aris Aumentado) 보홀 주지사는 "보홀주에 항공 노선을 개설하는 데 관심이 있는 항공사 중에 아시아나항공이 있다"며 "더 많은 항공사가 보홀에 들어오는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아시아나항공은 인터파크와 협업해 필리핀 보홀 직항 전세기 여행상품을 단독 출시했다. 아시아나의 보홀 전세기 항공권은 오는 7월 19일부터 8월 19일까지 한 달간 10회 운항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를 위해 체크인 카운터 제공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팡라오 국제공항의 체크인 카운터는 2개의 항공사가 독점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보홀은 육지와 해상의 매력을 고루 갖춘 천혜의 휴양지로 꼽힌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영장류이자 보홀의 상징인 '안경원숭이'를 비롯해 돌고래, 반딧불이, 고래상어, 바다거북이 등 볼거리가 풍부하다. 키세스 초콜릿을 닮아 짙
[더구루=길소연 기자] 리차드 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주법인장이 호주 방위산업부 장관과 회동해 호주 방산협력을 강화한다. 같은 국방 컨퍼런스에 참석하는 것으로 한-호주간 양국의 방산 협력 기조를 공고히 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리차드 조 법인장은 21일(현지시간) 호주 캔버라에서 열리는 제20회 ADM 컨퍼런스에 참석한다. ADM 컨퍼런스는 호주 방산매체 오스트리아 디펜스 매거진이 주최하는 회의다. 500명 이상의 국방 관계자와 고위급 인사가 참석하며 정부, 국방부 지도부, 주요 계약업체 및 중소기업의 연설이 포함된다. 올해는 호주 방위군(ADF)의 미래 역량 요구 사항, 주요 획득 프로젝트, 지역 지정학 및 국가 안보 문제를 평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공급망을 공고히 하고 고도로 숙련된 인력을 개발, 유지하며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주권 방위 산업을 발전시킨다. 팻 콘로이(Pat Conroy) 호주 방위산업부 장관 △매트 드슬드웨이트(Matt Thistlethwaite 국방부 차관 △앵거스 캠벨(Angus Campbell) 국방총장 △앤드류 헤이스티 호주 하원의원 △크리스 디블(Chris Deeble) 국방부 산하 CASG 차관보 △레온 필립스(Leo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 튀르키예 스테인리스 생산법인인 포스코 아산TST(Posco Assan TST) 법인장이 타히르 부유카킨(Tahir Büyükakın) 튀르키예 코자엘리 시장을 만났다. 현지 공장이 있는 튀르키예와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동시에 함께 일자리 창출에 적극 협력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서종덕 포스코아산 법인장은 최근 타히르 부유카킨 코자엘리 시장을 예방했다. 서 법인장이 포스코아산 법인장으로 취임 후 첫 만남이다. 이날 회동에는 서 법인장을 비롯해 우푹 외즈데미르(Ufuk Özdemir) 사업지원부 차장, 황순열 그룹장, 엠라 차무르(Emrah Çamur) 기업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뷔스라 예티센(Büşra Yetişen) 행정업무 전문가도 함께 했다. 서 법인장은 "2011년 키바르 홀딩(Kibar Holding)과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파트너십으로 설립된 포스코아산은 고품질 스테인리스 스틸을 생산해 고객에게 서비스하고 있다"며 "향후 고객 만족도를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부유카킨 시장은 서 법인장의 새로운 업무에 대한 성공을 기원하면서도 고용 지향적인 교육 프로젝트 'USTAM'에 대해 소개하며 일자리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제조하는 해병대 상륙공격헬기(KMAH)에 GE에어로스페이스의 실시간 건전성 진단 시스템인 HUMS(Health & Usage Monitoring System)를 탑재한다. 상륙공격헬기는 상륙기동헬기(마린온)에 탑승한 해병대원들을 엄호하고, 지상 전투부대 항공 화력지원을 담당한다. 이 헬기에 HUMS를 장착, 항공기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를 통해 장비 고장을 사전에 경고하고, 정기 유지보수에 도움을 줘 안전성을 높인다. GE에어로스페이스는 18일(현지시간) KAI의 KMAH 사업 HUMS 공급업체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GE에어로스페이스는 영국 사우샘프턴과 미국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위치한 공장에서 HUMS을 제조해 2024년에 인도한다. 세트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장치(DAPU) △광학 블레이드 추적기(OBT) △다중 플랫폼 지상국(MPGS) 등이 전달된다. 실시간 건전성 진단 시스템인 HUMS은 실시간 분석을 통해 엔진, 변속기, 베어링, 로터와 같은 중요한 항공기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분석 결과는 나중에 지상국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이동식 메모리 카트리지를 통해 항공기 내에 저장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금호타이어가 중국 타이어시장 1위 탈환을 예고했다. 모기업 더블스타를 통해 중국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하는 한편 현지화 전략으로 정상 자리를 차지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전기차 타이어 연구개발에 매진, 차별화된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갖출 계획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양쉰(Yang Xun) 금호타이어 차이나 회장은 지난 16일(현지시간) 텐진기술연구소에서 금호타이어 차이나의 재도약 전략을 처음 공개했다. 금호타이어 차이나는 중국 현지화를 본격화해 1위 탈환에 나선다는 각오다. 이미 연구개발(R&D), 제조, 공급망, 인재 조직 등 여러 분야에서 현지화를 추진, 더욱 나아진 품질과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제품을 제공해 핵심 전략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현재 금호타이어 차이나는 중국 현지 관리자 124명을 포함해 총 142명의 중간 관리자로 구성된 팀이 중국 자동차 산업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현지화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양쉰 회장은 "금호타이어는 '중국의 길을 이해하고 중국 소비자의 요구에 가까이 다가가자'는 브랜드 콘셉트를 고수하며 새로운 전략적 변화를 통해 긍정적인 새로운 발전 트렌드를 선도한다"고 말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이 조경장비 브랜드 제품을 제조하는 미국 위스콘신주 존슨 크릭 지점의 리노베이션을 완료했다. 그동안 불건전한 업무환경에 노후화된 설비장비, 무리한 근무 시간에 불평이 쏟아졌는데 리노베이션을 거쳐 완전히 새롭게 개조됐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530만 달러(약 68억원)를 들여 위스콘신 존슨 크릭을 리노베이션했다. 그동안 존슨 크릭 지점은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임금은 적은데 근로시간이 길어 이직률이 높았고, 설비장비들은 노후화된 가운데 일손도 부족해 무리한 근무에 불만이 많았다. 또 경영진은 필요한 지원 대신 업무를 지나치게 통제하고 라인 관리자간 팀워크는 찾아볼 수 없다는 불평도 쏟아졌다. 이에 사무실 공간을 개편해 일하기 좋은 환경으로 만들었다. 밥캣은 리노베이션을 통해 여러개의 회의실과 최신 가구, 개선된 직원 휴게실을 포함한 개방형 설계로 사무실과 제조 공장을 현대화했다. 이번 리노베이션은 북미 전역의 다른 밥캣 지점의 인테리어 디자인, 마감재, 가구와 일관되게 이뤄졌다. 칸막이가 없는 개방형 좌석이 특징으로, 협업을 장려하고 혁신을 촉진하며 부서 간 팀워크를 지원한다. 오소리, 흰꼬리사슴, 붉은여우, 캐나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북미 지역 선사로부터 확보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의 발주처가 미국 에너지기업 쉐브론으로 확인됐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쉐브론은 최근 삼성중공업에 LNG 운반선 2척의 건조를 주문했다. 계약 규모는 6592억원이다. 이들 선박은 2028년 2월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신조선은 선박 운영의 탄소배출 감축에 도움이 되는 신기술로 건조된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말 독자 개발한 LNG 추진선용 증발가스 회수 시스템(BReS) 실증에 성공하고 미국 ABS선급으로부터 결과 증명서(Statement of Fact)를 획득한 바 있다. 삼성중공업의 수주는 지난달 쉐브론이 발주한 LNG선 6척에 대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확실시 됐다. <본보 2023년 5월 10일 참고 美 쉐브론발 LNG선 6척...삼성중공업으로 '낙점'> 이번 발주는 약 10년 만에 이뤄졌다. 쉐브론은 지난해 체결한 계약에 따라 미국 셰니에르 에너지·벤처 글로벌 LNG로부터 연간 400만톤(t) LNG를 도입하기로 하며 선박 발주를 검토해왔다. <본보 2023년 3월 30일 참고 쉐브론발 LNG선 6척 몰려온다…韓 조선업계 기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전 세계 해운업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그리스가 탱커선 98%를 한국에서 건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스 조선소와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설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18일 그리스 선박·무역·에너지 전문 매체 나프티카 크로니카(Naftika Chronika)에 따르면 아시아 조선소 중점으로 그리스 소유 선박의 48%는 한국에서, 31%는 일본에서, 21%는 중국에서 건조된다. 그리스 선단에서 인기있는 선박은 유조선, 벌크선, 컨테이너선 순이다. 이중 유조선은 항해·발주량에 있어서도 2위를 차지하면서 그리스에서 가장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그 가치는 무려 610억3000만 달러에 달한다. 수익을 내는 탱커는 석유류, 당밀, 화학약품 및 유류 등을 용기에 넣지 않은 상태로 운반하는 화물선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는 유조선(원유선과 석유제품선)과 화학선으로 구분됐으나, 근래에는 황산, 질산, 염산 등을 운반하는 캐미컬 탱커까지 포함한다. 탱커는 대부분 한국 조선소에서 건조돼 수입된다. 조선업에서 한국의 입지는 매우 강력하며, 그리스 선주에게 있어 경제적으로 훌륭한 파트너로 꼽힌다. 실제로 지난해 그리스 내 전 세계 탱커 수입액은 1억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중국 생태환경부와 환경협력을 강화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지난 2일 중국생태환경부 대외합장교류센터(FECO) 대회의장에서 고위급 회담을 열고 환경 현안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환경산업기술원에서는 최흥진 원장을 비롯 박재현 중국사무소장, 장원석 팀장, 전창화 책임이 참석했고 중국 측에서는 중국 생태환경부 대외합작교류센터 장옥군 주임(센터장)과 정정 부주임, 당염동 처장 및 생태환경부 본부 주군 과장 등 6명이 함께 했다. 양 기관은 2019년 6월 MOU 체결 후 코로나로 접촉이 미진했던 협력 재개를 위해 MOU를 갱신하고 환경현안 관련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양 기관은 환경협력 MOU를 맺었다. 환경산업과 기술협력(온라인 기술정보교류 플랫폼 구축, 환경기술실증 추진), 상호인력교류, 환경연구의 공동 추진 등의 협력했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발발로 협력이 미뤄지자 이번 MOU로 협력관계를 증진한다. 또 기술교류를 위한 포럼, 공동연구, 실증 및 상용화 프로젝트 적용, 정보공유에 협력키로 합의했다 환경산업기술원이 중국생태환경부와 협력을 강화한 건 중국 경제활동 재개(reop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