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CJ그룹이 베트남서 청년 단편영화 상영회를 열었다. CJ그룹은 영화 제작에 대한 열망을 가지고 있는 청년들을 발굴,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다. 17일 CJ CGV 베트남 법인과 CJ문화재단에 따르면 CGV 빈콤 시네마 응우옌치탄(하노이)에서 지난 12일부터 이틀 간 'CJ 단편영화 주간'을 열었다. 이 기간 영화 제작자를 희망하는 청년들의 단편영화가 상영됐다. CJ CGV 베트남과 CJ문화재단은 지난 시즌에 제작된 베트남 단편영화 프로젝트의 우수작 10편을 전시했다. △무엇이든 고칠 수 있다 △빈 △구름은 있지만 비는 내리지 않는다 △좋은 땅 △달콤, 짠 △예감 △달의 향기 △길가의 코끼리 △달의 물고기 △야생의 암컷 아가미 등 CJ 단편영화 프로젝트 우수작 10편이 소개됐다. 이어 한국 단편영화 6편도 소개됐다. △딸 △어둠 △사자를 죽인 여자 △임을 위한 행진곡 △빛의 광선 △한나 때문에 등 한국 젊은 영화 제작자들의 영화 6가지도 전시됐다. CJ 단편영화 프로젝트는 CJ문화재단과 CJ CGV 베트남법인이 영화 제작 및 예산 지원을 통해 젊은 영화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공모전이다. 이 대회는 재능있고 젊은 베트남 청년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스타트업 '아르고AI'가 새로운 자율주행 통합 생태계를 공개했다. 자율주행차를 이용한 승차 공유, 상품 배송 서비스에 최적화된 시스템이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아르고AI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자율주행 통합 에코시스템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차량 관리 소프트웨어부터 데이터 분석, 고화질 매핑, 클라우드 기반 통신 솔루션 등이 포함된다. 아르고AI의 시스템은 로보택시(무인택시)와 미들·라스트마일 배송용 자율주행차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여러 완성차 브랜드의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세단,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밴 등 다양한 종류의 차종을 모두 맞춤 지원하는 것이 장점이다. 미국과 독일 전역의 8개 도시에서 진행한 시범 운영을 통해 쌓은 전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운전을 돕는다. 예를 들어 배송 차량과 관련해서는 물류 프로세스를 최적화해 실시간 교통 상황을 제공, 운송 경로를 개선한다. 새로운 통합 생태계는 크게 아르고AI의 4가지 솔루션으로 구성된다. △차량을 관리하는 '아르고 커넥트' △차량 주변을 감지하고 실시간 교통 현황 등을 제공하는 '아르고 오토노머스 플랫폼' △자율주행차 배치 등을 관리
[더구루=오소영 기자] 에스토니아 국영 원전기업인 페르미 에네르기아(Fermi Energia)가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 입찰에 시동을 건다.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영국 롤스로이스, 미국 제너럴일렉트릭·일본 히타치제작소의 합작사 GE히타치뉴클리어에너지(이하 GE히타치)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페르미 에네르기아는 공개 입찰을 위한 초대장을 뉴스케일파워와 롤스로이스, GE히타치에 보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12월에 입찰을 개시해 내년 2월 사업자를 선정한다. 기술 성숙도와 경제성, 에스토니아 기업들의 참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예정이다. 페르미 에네르기아는 SMR 도입을 목적으로 에스토니아 에너지·원전 전문가들이 2019년 설립한 회사다. 그해 7월 타당성 조사에 착수해 △뉴스케일파워 'VOYGR™' △GE히타치 'BWRX-300' △영국 몰텍스에너지 'SSR-W300' △캐나다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IMSR-400'을 살폈다. 페르미 에네르기아는 대형 원전보다 건설 기간이 짧고 비용이 덜 드는 SMR의 특징에 주목하고 있다. 전기료 부담 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페르미 에네르기아는 당초 2030년 건설에 돌입해 2035년부터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초소형 인공위성 종합 솔루션 기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캐나다 우주기술 스타트업 스카이워치 스페이스 애플리케이션스(SkyWatch Space Applications)와 맞손을 잡았다. 내년 첫 위성 발사 준비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스카이워치는 15일(현지시간) 나라스페이스와 자사 테라스트림(TerraStream)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4년 설립한 스카이워치는 위성 데이터 사업자에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스카이워치의 테라스트림 플랫폼은 데이터 관리·배치·처리·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카이워치는 "상업용 위성 운영자를 활성화하는 것은 지구 관측 데이터를 민주화하는 중요한 열쇠"라며 "우리는 고품질의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나라스페이스는 초소형 인공위성 스타트업이다. 위성 시스템과 부품을 직접 제작하고 위성 데이터 활용 플랫폼까지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초소형 인공위성 분야 종합 솔루션 기업이다. 현재 나라스페이스가 개발 중인 '옵저버(Observer)'는 가로·세로 각각 20cm, 높이 40cm의 초소형 인공위성으로, 너비 1.5m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새로운 레이더 센서를 탑재한 차량 출시를 예고했다. 레이더를 버리고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을 채택한지 1년여 만에 신제품을 공개하며 기술 전략에 변화가 감지된다. [유료기사코드] 16일 테슬라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부품 카탈로그에 신형 레이더 장치를 공개했다. 앞서 지난 6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승인 신청서를 제출한 고해상도 레이더와 같은 제품인 것으로 전해진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시스템을 기존 레이더에서 카메라 기반으로 전환했다. 지난해 모델3·Y를 시작으로 올해 북미형 모델S·X에도 레이더를 삭제하고 '테슬라 비전’이라고 명명한 카메라 기반 신규 시스템 사용을 확대해왔다. '테슬라 비전’은 레이더나 라이더 대신 차량에 장착된 8개의 카메라를 통해 들어온 영상 정보를 신경망 기술로 분석하고 분류한 뒤 이를 융합해 테슬라 전기차가 스스로 주변 환경을 판단하고 주행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자율주행 시스템은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등을 조합한 기술이다. 하지만 테슬라는 라이다와 레이더 사용을 배제해왔다. 라이다는 비싸고 무거우며, 레이더는 카메라와 서로간의 간섭으로 종종 오류가 발생한다는 이유에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텐센트 뮤직이 오는 21일(현지시간) 홍콩 증권 거래소에 상장된다. 소개 방식으로 신주 발행이나 자금 조달 없이 진행된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 뮤직은 홍콩 증권 거래소 상장을 앞두고 있다. 주식 코드는 ‘1698.HK’다. 다만 텐센트 뮤직의 주요 상장지는 여전히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이며 미국과 홍콩 주식을 교환할 수 있을 전망이다. 텐센트 뮤직은 작년부터 홍콩 증권 거래소 상장을 계획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와 함께 홍콩 IPO(기업공개) 시장이 작년 7월부터 급격하게 식으면서 상장 계획을 올해로 연기했다. 이번 텐센트 뮤직 상장은 2차 상장으로 소개 방식으로 진행된다. 소개 방식은 홍콩 증시 상장 방식 중 하나로 신주를 발행하거나 자금을 조달하지 않고 상장하는 형식이다. 업계 관계자는 “소개 방식은 자금 조달과 신규 프로젝트 투자와 상관이 없기 때문에 텐센트 뮤직 실적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텐센트 뮤직 매출은 지난 201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순이익은 작년 독점 판권 취소 이후 하락한 모습이다. 매출의 경우 2019년 254억 위안(약 5조741억 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영국 투자자들과 만나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을 알렸다. 탄소 중립과 러시아발 에너지 대란에 대응해 대규모 신규 원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영국에서 SMR 공급을 모색했다. [유료기사코드] 뉴스케일파워에 따르면 크리스 콜버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UBS 글로벌 에너지 전환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이 컨퍼런스는 유럽계 투자은행 UBS가 기후 변화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공유하고자 지난 13~14일 개최한 행사다. 에너지 업계에 종사하는 최고경영자(CEO)·CFO 25명 이상과 투자자 등이 참석했다. 콜버트 CFO는 뉴스케일파워가 독자 개발한 SMR 'VOYGR™'를 홍보하고 사업 현황을 소개했다. VOYGR™는 물을 냉각재로 쓰는 경수로형 원자로(PWR)다. 모듈당 77㎿규모로 4기(308㎿)부터 6기(462㎿), 12기(924㎿)까지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발전사 UAMPS와 아이다호주에 SMR 건설한다. 2025년 12월 착공해 2029년부터 운전을 시작한다는 목표다. 루마니아 국영원자력공사(SNN), 폴란드 구리·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인텔이 개발한 반도체 기술을 무단 도용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텔로부터 특허권을 넘겨받은 미국 특허관리전문회사(NPE)가 삼성을 포함한 글로벌 칩 메이커들을 상대로 무차별 소송을 제기하고 있어 기업들의 사법 리스크 부담이 커지게 됐다. 16일 미 사법 당국에 따르면 다이달로스 프라임(Daedalus Prime)은 최근 텍사스 동부 지방 법원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삼성전자를 상대로 연이어 특허침해 소송을 냈다. 미국 외 독일 뒤셀도르프 법원에도 같은 내용의 소장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진다. 다이달로스 프라임은 텍사스 동부지법 소송에서 삼성전자 한국본사를 비롯해 삼성전자 미국법인, 삼성전자 반도체, 삼성전자 오스틴법인까지 피고로 지목했다.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프로세서인 퀄컴 '스냅드래곤'과 삼성 '엑시노스'에 인텔의 반도체 기술이 쓰였다고 주장했다. △5나노미터(nm) 기반 스냅드래곤 888이 적용된 갤럭시 S21 △7나노 기반 엑시노스 990을 탑재한 갤럭시 S20 △10나노 기반 스냅드래곤 835를 채택한 갤럭시 S8를 구체적인 특허침해 사례로 꼽았다. 쟁점이 되는 특허는 특허번호 △10,541,334
[더구루=이주연 기자] 삼성전자가 메타버스 플랫폼 '헬릭스'를 개발하고 있는 하이퍼소닉랩스에 투자한다는 기산데요. 관련 내용들, 홍성일 더구루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1> 헬릭스가 기존 블록체인 게임과는 다른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데 어떤 건가요. <질문2> 하이퍼소닉랩스가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하는 회사라고 하는데 , 메타버스 어떻게 쓰이는 건가요. <질문3> 블록체인 기술 기반 게임 기사들을 보다 보면, 웹3.0이 많이 거론되는데요. 웹3.0에 대한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이하 KINGS)가 내년 학생 선발 인원을 전년 대비 15명 늘린다. 계획대로 추진되면 개교 이래 가장 많은 입학생을 맞이하게 된다. 고급 인재를 양성해 원전 생태계 강화에 기여한다. KINGS는 지난 1일 이사회에서 '2023학년도 학생 선발 계획안'을 의결했다. 선발 인원을 55명에서 80명으로 늘리는 것이 골자다. 이는 KINGS의 입학 정원과 동일한 규모다. 이사회에서는 선발 인원 증가로 인한 예산 부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학교 측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교육 과정을 추가로 개설할 필요가 없고 기숙사도 입학생을 수용하기에 충분해서다. 노후화를 고려하더라도 최대 150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학교 측의 주장이다. KINGS는 국내 인력 양성 과제 목표치도 상향했다. 올해 7명을 배출했는데 내년에는 20명을 계획하고 있다. 최근 수주한 '3D 프린팅을 활용한 원전 기자재 제작 인력 양성 과제'와 관련 내년에 10명을 모집할 예정이다. KINGS가 공격적인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윤석열 정부의 친원전 정책이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33%(발전량 201.7TWh)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뚜기·팔도·삼양식품 등 국내 식품업체에서 출시한 치즈 라면이 인도네시아인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현지 매체가 집중 조명함에 따라 인지도 확대 및 이미지 개선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인도네시아 현지 언론 팝마마(Popmama)는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매력적인 치즈라면으로 오뚜기·팔도·삼양식품 등에서 만든 제품을 꼽았다. 오뚜기의 보들보들 치즈라면은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한 면발과 짭쪼름한 치즈의 풍미가 조화를 이룬다는 평가를 받았다. 보들보들 치즈라면은 오뚜기가 국내에서 지난 2010년 출시한 제품이다. 치즈 분말수프가 들어있어 각자의 입맛에 따라 치즈를 원하는 만큼 넣어서 먹을 수 있다. 국내에서는 단종됐으나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팔도의 치즈라면은 쫄깃한 면발과 부드러우면서도 매콤한 국물이 어우러진다고 했다. 치즈 파우더가 짭짤한 맛을 더하며 라면을 중독성 있게 해준다고 했다. 간편한 점심식사로 먹기에 좋다는 평가다. 팔도는 해당 치즈라면이 수출 전용 제품으로 해외 시장에서만 팔리고 있다고 전했다. 삼양식품의 치즈불닭볶음면은 치즈 맛이 강하지만 맛의 균형이 잡혀있는 제품이라는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을 앞세워 프랑스 시장에서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현대차·기아 인기 SUV 모델 3종이 월간 베스트셀링카 '톱20'로 선정됐다. 16일 플랫폼오토(PFA)에 따르면 현대차 준중형 SUV 모델 투싼은 지난달 프랑스 시장에서 총 8664대 판매로 단일 모델 기준 월간 판매 순위 6위에 올랐다. 소형 SUV 모델 코나는 4143대로 15위에 이름을 올렸다. 기아 준중형 SUV 모델 스포티지는 같은달 6029대 판매를 기록, 12위에 올랐다. 1위와 2위는 모두 르노가 휩쓸었다. 캡쳐가 총 2만784대가 판매되며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아르카나가 1만9599대로 2위에 올랐다. 이어 토요타가 야리스 크로스와 야리스로 3위와 4위를 석권했다. 각각 1만4853대와 1만4671대 판매됐다. 5위는 1만2361대를 기록한 르노 클리오가 올랐다. 투싼에 이어 7위부터 10위까지는 △토요타 C-HR(8253대) △피아트 500(7555대) △포드 푸마(7476대) △토요타 코롤라(7334대) 순으로 이어졌다. 현대차·기아는 이들 모델을 앞세워 프랑스 SUV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기아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1위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징둥팡, 京東方)가 8.6세대(유리원장 크기)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생산개시 채비에 들어갔다.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 국내산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의 설비가 들어가는 BOE의 OLED 패널 생산기지는 중국 OLED 생산능력을 확대하는데 일조한다. BOE는 중국 최초이자 세계 첫 최신 세대 AMOLED 생산으로 글로벌 OLED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시장조사업체 위츠뷰(witsview)에 따르면 BOE는 쓰촨성 청두(成都) 하이테크 산업개발구에 건설한 AMOLED 공장에 공정 장비를 반입하기 시작했다. AMOLED 생산라인 반입 프로젝트는 당초 예정보다 4개월 앞당겨졌다. 공장이 지난해 3월 착공해 약 6개월만에 완공되자 설비 반입 작업도 빨라졌다. 반입되는 장비 중에는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 업계의 장비도 있다. BOE는 지난해 마스크 결함검사 장비, 박막봉지(TFE) 에이징용 원적외선 오븐 장비, 8세대 원장 커팅장비를 공급하는 업체로 각각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을 선정했다. 자동광학검사(AOI) 장비에 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