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펼쳐진 한·중·일 전기차 홍보전에서 판정승을 거뒀다. 최다 차량 지원을 토대로 각국 정상에게 브랜드 존재감을 각인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인도네시아 'G20 발리 정상회의(2022 G20 Bali Summit)'에 전기차 393대를 공식 차량으로 지원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 131대와 전용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 262대를 각각 G20 공식 VIP 차량과 운영차량으로 제공했다. 앞서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10월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을 G20 발리 정상회의 공식 VIP 차량으로 선정한 바 있다. 이는 공식 차량 전체(836대) 비중의 47%에 달하는 수치이다. 상하이GM우링자동차가 300대, 토요타가 143대를 지원했다. VIP 의전과 주요 행사에는 현대차 전기차가 사용되고 있어 상하이GM우링차와 토요타 전기차는 사실상 들러리로 전락했다는 평가다. 특히 각국 정상들은 G80 전동화 모델을 활용해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국제 행사에서 전기차가 공식 VIP 차량으로 선정된 것은 이례적인 일인 만큼 현대차는 홍보 효과를 톡톡히
[더구루=김형수 기자] 휠라 2세 윤근창 휠라홀딩스 대표가 글로벌 조직 개편에 칼을 빼들었다. 글로벌 5개년 전략 '위닝 투게더'에 맞춰 미국에서 인력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고 있다. 글로벌 혁신에 나선 윤 대표가 실적 개선을 위한 조치로 직원 정리해고 카드를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휠라USA가 미국 메릴랜드주 노동부(Maryland Department of Labor)에 제출한 문서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 연말까지 현지에서 61명을 해고한다. 메릴랜드주 볼티보머 커티스 베이(Curtis Bay)에 자리한 창고에서 54명, 스파크스(Sparks)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7명을 감원한다. 휠라USA는 이번 조치가 사업 규모를 적절하게 조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헤더 젤러(Heather Zeller) 휠라USA 대변인은 “이번 결정은 절대 가볍게 내려지지 않았으며 신중한 고려 끝에 이뤄진 것”이라면서 “이같은 조치를 통해 5개년 계획 추진에 집중하고 있는 휠라 노스아메리카의 운영을 혁신하고 실적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미국 내 해고 조치는 휠라홀딩스가 지난 2월 발표한 글로벌 5개년 전략계획 위닝 투게더(Winning Together
[더구루=홍성일 기자] 네오위즈의 모바일 3매치 퍼즐 수집형 RPG '브라운더스트 앤 퍼즐'의 일본 서비스 사전등록이 시작됐다. 네오위즈의 일본 자회사인 게임온은 14일 브라운더스트 앤 퍼즐(일본명 마석기사단 퍼즐 워, 魔石騎士団 Puzzle War)의 사전등록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게임온은 사전등록과 함께 공식 트위터를 개설하고 이후 추가 공지를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브라운더스트 앤 퍼즐은 네오위즈의 브라운더스트 IP(지식재산권)를 기반으로 개발된 3매치 퍼즐 수집형 RPG다. 3매치 퍼즐의 간단한 조작성과 브라운더스트 IP기반의 다양한 영웅을 결합했다. 유저들은 영웅의 스킬과 고유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퍼즐을 풀어나갈 수 있다. 포탑이나 장애물, 폭탄, 회복 블록 등 다양한 요소가 추가돼 전략적인 플레이도 가능하다. 또한 기존 브라운더스트 용병들의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 캠페인 스테이지와 길드전과 PVE(Player vs Environment) 모드인 '천공의 섬'과 '도전의 탑', PVP(Player vs Player) 모드인 결투장 등 다양한 게임 모드를 지원한다. 네오위즈는 지난 7월 11일 국내에서 브라운더스트 앤 퍼즐의 서비스
[더구루=정등용 기자] LG가 투자한 인공지능(AI) 기반 자동차 데이터 관리 플랫폼 세레브럼X(CerebrumX)가 포드와 UBI(Usage-Based Insurance) 데이터 협력에 나섰다. 세레브럼X는 이번 협력을 통해 UBI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보험사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레브럼X는 15일 포드와 UBI 데이터 공유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UBI는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바탕으로 보험료를 결정하는 자동차 보험 상품이다. 자동차에 정보통신기술(IT)을 적용해 고객의 운전 습관을 파악한 후 빅데이터를 활용, 보험료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지난 2020년 이후 생산된 포드와 링컨 차량에 적용될 예정이다. 세레브럼X는 앞서 토요타와 닛산, 스텔란티스와 같은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과도 UBI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세레브럼X는 이번 포드와 협력을 통해 보험사에 보다 정확한 운전자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차량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과 인포테인먼트 및 텔레매틱 시스템에서 최대 250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피드를 얻는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연기금 가운데 하나인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가 인도 최대 재생에너지 기업 리뉴파워(ReNew Power)에 5300억원을 추가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서 늘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CPPIB는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로부터 리뉴파워 지분을 4억 달러(약 5300억원)에 인수했다. 이에 의결권이 있는 지분 32% 확보하며 이 회사의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앞서 CPPIB는 지난 2018년 리뉴파워에 3억9200만 달러(약 5200억원)를 처음 투자한 바 있다. CPPIB는 세계 10대 연기금 중 한 곳으로 투자 순자산이 5290억 달러(약 700조원)에 이른다. 캐나다 토론토에 본사가 있으며, 홍콩, 런던, 룩셈부르크, 뭄바이,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CPPIB는 다른 주요 연기금보다 부동산·PE 등 대체투자 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리뉴파워는 지난 2011년 설립된 재생에너지 기반 독립발전회사(IPP)다. 업체는 인도 9개주에 걸쳐 100개가 넘는 풍력·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파나소닉이 미국 켄자스주에서 5조원 이상 쏟아 배터리 공장 건설에 나섰다. 2170을 비롯해 원통형 배터리 생산량을 늘려 북미 수요를 잡는다. [유료기사코드] 파나소닉은 미국 켄자스주 데소토에서 배터리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고 지난 2일(현지시간) 밝혔다. 착공식에는 카즈오 타다노부 파나소닉에너지 최고경영자(CEO)와 앨런 스완 파나소닉에너지 북미 사업 사장, 로라 켈리 캔자스 주지사, 데이비드 톨란드 부주지사 등 정·관계 주요 인사가 참여했다. 파나소닉은 최대 40억 달러(약 5조2960억원)를 투자해 연간 30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을 짓는다. 2025년 3월부터 대량 생산을 시작해 2170(지름 21㎜, 높이 70㎜)을 비롯해 원통형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켄자스 주정부는 신공장을 통해 건설 일자리 1만6500개를 포함해 총 2만개 이상을 창출하고 연간 25억 달러(약 3조308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자리 확보의 대가로 5억 달러(약 6610억원) 상당의 세액공제와 2억3400만 달러(약 3090억원) 규모의 급여 환급 등 총 8억2000만 달러(약 1조850억원) 이상의 인센티
[더구루=한아름 기자] 다국적제약사 로슈가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간테네루맙(Gantenerumab)'이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에서 고배를 마셨다. 반면 바이오젠·에자이의 레카네맙은 임상 3상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거둬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로슈에 따르면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대상으로 한 간테네루맙의 임상 3상 'GRADUATE' 연구에서 1차 유효성 지표 도달에 실패했다. 로슈는 성명을 통해 "간테네루맙은 알츠하이머 초기 단계로 고통받는 환자의 기억력, 문제 해결, 방향 및 개인 관리 등 능력을 보존할 수 있다는 주요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간테네루맙은 아밀로이드-베타(Aβ) 표적 항체치료제로 로슈와 제넨텍이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다. 로슈는 'GRADUATE 1'(982명), 'GRADUATE 2'(1016명)이라는 이름으로 2년간 간테네루맙의 임상 3상을 진행해왔다. 임상의 1차 목표는 116주 후 '임상치매척도(CDR-SOB)'의 기준선 대비 변화 정도였다. 그 결과 임상에서 위약군 대비 6~8%의 추가적 증상 개선이 나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는 데는 실패했다. Aβ 제거
[더구루=최영희 기자] 대동그룹의 모회사인 미래농업 리딩기업 대동은 연결기준 3분기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비 각각 27.3%, 40.6% 증가한 1조1367억원, 807억원을 올렸다고 15일 밝혔다. 창사 이래 최초로 3분기 매출 1조 돌파라는 호실적을 달성한 것. 지난해 연결 기준으로 대동은 매출 1조1792억원, 영업이익 382억원을 달성해 창립 이래 최초로 ‘1조 클럽’의 문을 열었는데, 올 3분기에만 지난해 연간 매출에 육박하는 실적을 거둬 2년 연속 매출 1조원을 달성하며 새로운 퀀텀 점프의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 대동의 올해 연결기준 시장 전망치(컨센서스)는 매출 1조3007억, 영업이익 626억원인데 3분기만 놓고 봤을 때 영업이익은 이미 181억원을 초과 달성한 것이다. 개별 기준으로도 3분기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전년비 각 12.1%, 31.4% 증가한 7342억원, 506억원을 올리며 그룹 모회사로서 꾸준한 외형 성장, 질적 성장을 일궈나가고 있다. 농기계 산업은 계절 특수성으로 하반기에는 통상적으로 시장이 축소 되 매출이 감소한다. 올해는 글로벌 경기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하반기에 국내외 고르게 농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최고 가치 NFT(대체불가토큰) 컬렉션 '지루한 유인원 요트클럽(Bored Ape Yacht Club, BAYC)'의 개발사 유가랩스가 NFT 전문기업 '위뉴(WENEW)'를 인수하며 생태계 확대에 나섰다. 유가랩스는 14일(현지시간) 위뉴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또한 위뉴가 운영하고 있는 주력 NFT 플랫폼인 '10KTF'도 함께 인수했다고 덧붙였다. 유가랩스에 인수된 위뉴는 루이비통, 플레이보이, 윔블던, 구찌, 퓨마 등 글로벌 유명 브랜드와의 웹3 파트너십을 구축한 NFT 강자로 10KTF를 운영하고 있다. 10KTF는 BAYC, 쿨캣츠, 문버즈와 같은 유명 NFT 컬렉션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다양한 메타버스에서 디지털 아바타 등의 NFT 제작,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마켓플레이스 플랫폼이다. 유가랩스는 위뉴가 가지고있는 스토리텔링 경험과 10KTF의 상호 운용성 등을 결합해 NFT 생태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유가랩스 관계자는 "피기, 비플, 위뉴 팀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디지털 아바타와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욕구를 활용하면서 웹3를 위한 매혹적인 스토리텔링을 만드는 방법을 찾았다"며 "스토리텔링과 세계관 구축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정부가 2조6000억원 규모의 노르웨이 전차사업 수주 총력전에 나섰다. 방위사업청은 14일(현지시간) 노르웨이 방위산업체 콩스버그 디펜스&에어로 스페이스(Kongsberg Defence & Aerospace, KDA) 경영진과 만나서 전차사업 등을 논의했다. KDA는 현대로템과 최근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방사청 외 국방부 관계자들도 지난 8일 노르웨이를 방문해 현지 군 당국을 만나 전차사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로템 측 최종안을 노르웨이 정부 측에 전달하고 최종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민관이 총출동해 수주전에 나서고 있는 것은 노르웨이 전차사업 사업자 선정이 임박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노르웨이 방산물자국(FMA)은 이달 말 육군이 보유한 레오파드 2A4를 대체할 전차의 세부사항에 대한 권고안을 발표할 방침이다. 사업자 선정은 다음달 중순쯤 이뤄질 전망이다. 노르웨이 군 당국은 지난해 최종 후보군으로 현대로템과 경쟁사 독일 크라우스 마페이 베그만(Krauss-Maffei Wegmann·KMW)의 레오파드 2A7이 제출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검토했다. 이르면 2025년까지 육군 배치를 목표로 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벌칸에너지리소스(Vulcan Energy Resources, 이하 벌칸에너지)'가 친환경 리튬 추출 공법을 개발했다. 진행중인 독일 리튬 프로젝트에 적용해 고품질 리튬을 확보, 유럽 내 고객사에 공급하고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벌칸에너지는 14일(현지시간) 리튬흡착제 '불소르브(VULSORB)'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지열 재생 에너지 플랜트에서 테스트를 실시, 다른 상용 흡착제 대비 더 높은 성능과 낮은 물 소비량도 입증했다. 불소르브는 유럽 현지에서 상업 규모로 제조 가능한 첫 리튬흡착제다. 그동안 유럽 리튬 회사들은 해외에서 흡착제를 조달해 적용해왔다.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기술 성숙도) 9 수준도 인정받았다. 기술이 실제로 응용돼 쓰일 수 있는지 여부를 따지는 지표로, 전 세계 대부분 염수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벌칸에너지는 독일 남서부 라인강 어퍼 라인 그라벤(Upper Rhine Graben) 지역에서 추진중인 리튬 추출 프로젝트에 불소르브를 첫 적용할 예정이다. 오는 2025년 4분기 1단계 상용 개발 단계에 도입해 리튬을 뽑아낸다. 벌
[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동제약과 시오노기제약이 개발중인 경구용(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개발명 S-217622)의 일본 긴급사용승인 여부가 오는 22일 결정된다. 승인될 경우 한국에서의 승인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15일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오는 22일 오후 5시부터 2시간 동안 온라인 약사·식품 위생 심의협의회를 개최하고 조코바의 긴급사용승인 여부를 심의한다. 이날 중점적으로 논의될 내용은 조코바 임상 3상 탑라인에 대한 협의회 평가다. 앞서 후생노동성은 지난 9월 시오노기로부터 추가 자료를 받고 이달 22일 긴급사용승인 여부를 논의하겠다 밝힌 바 있다. 후생노동성은 조코바가 긴급사용승인을 받을 경우, 먼저 100만명분의 물량을 공급받기로 했다. 관련 업계는 조코바 승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조코바가 임상 3상 탑라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됐기 때문이다. 시오노기는 9월 조코바의 임상 3상에서 1차 유효성 평가 지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1차 유효성 지표는 기침·인후통·콧물과 코막힘·발열·피로감이 개선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위약 투여군은 증상 해소까지 192시간이 소요됐지만 조코바 투여군은 24시간 적은 168
[더구루=홍성일 기자] 춤추는 '옵티머스'를 선보였던 테슬라가 새로운 영상을 공개했다. 테슬라는 이번 영상을 통해 옵티머스가 일상 생활 영역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옵티머스팀은 2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난 하루종일 춤만 추는 게 아니다"라며 새로운 옵티머스 영상을 게재했다. 댄스로 주목받은지 일주일여만에 새로운 영상을 업로드한 것이다. 해당 영상에는 옵티머스 휴머노이드가 쓰레기를 버리고, 책상을 정리하는 모습 등이 포함됐다. 또한 페이퍼 타올을 뜯거나 국자를 들고 냄비를 뒤적이는 모습도 등장한다. 테슬라는 댄스 영상으로 옵티머스의 하반신 운동 성능을 선보인 데 이어 옵티머스의 상체, 특히 손과 팔이 정밀하게 제어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이전부터 손가락 제어 능력 면에서는 타 안드로이드보다 앞서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테슬라는 옵티머스가 단일 신경망을 사용해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옵티머스는 1인칭 화면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학습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옵티머스의 댄스 외에도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특히 1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차세대(10세대) 엑스박스(Xbox) 콘솔에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을 통합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MS가 차세대 엑스박스를 'TV에 연결된 게임용 PC'로 정의하고 기존 콘솔에는 없던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2일 MS 전문매체인 윈도우센트럴에 따르면 MS는 밸브·에픽게임즈 등과 엑스박스-PC 게임플랫폼 통합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제즈 코든(Jez Corden) 윈도우센트럴 편집장은 "엑스박스가 밸브를 포함한 PC 게임 스토어 운영사와 구현방안을 두고 논의 중"이라며 "테스트 단계에 있다는 소문도 있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스팀의 차세대 엑스박스 통합설은 필 스펜서(Phil Spencer) MS 게이밍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에서 시작됐다. 필 스펜서 CEO는 지난해 4월 진행된 엑스박스 팟캐스트에서 "엑스박스에서 에픽게임즈 스토어와 itch.io와 같은 서드파티 PC 게임 스토어에 접속할 수 있기 바란다"고 전했다. 필 스펜서의 발언이 공개된 이후 사라 본드(Sarah Bond) 엑스박스 사장의 "한 세대만의 가장 큰 기술적 도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