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하이니켈 배터리가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주력 제품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 공급망이 주목받고 있다. 세계 최대 생산국인 중국과의 중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5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2020년 기준 글로벌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의 85%를 차지한 최대 공급 국가다. 호주(6%), 미국(5%), 칠레(4%) 등이 뒤를 이었다. 생산량은 지속 증가해 지난 2016년 2만5000t에서 2021년 17만5000t을 기록했다. 작년엔 10월까지 집계한 결과 이미 전년도 연간 생산량을 넘어선 18만2000t이었다. 중국은 수산화리튬 생산량의 절반 가량을 수출한다. 중국 배터리 기업들은 대부분 탄산리튬을 주 원료로 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우고 있어 내수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한국은 1위 수출국이다. 한국으로 수출하는 수산화리튬은 전체 물량의 63%에 달한다. 특히 한국과 2위 수출국인 일본과의 물량을 합하면 95%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연간 1만t 이상의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을 확보한 중국 기업은 총 13곳이다. 간펑리튬이 8만1
◇심버스랩스 블록체인 전문기업 심버스가 '심버스랩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자본금을 40억 원으로 증자했다. 심버스랩스는 멀티블록체인 플랫폼 심버스의 개발회사로서, 심버스 재단과 명칭을 분리함에 따라 사명을 변경하고 자본금을 증자해 블록체인 개발 및 마케팅 분야로 본격적인 사업 확대에 나선다. 심버스 재단에서 분리한 심버스랩스는 국가 스마트그리드 통신망과 인터넷전화교환기를 개발하고 현장에 실증구현한 핵심 기술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2018년 이후 독자적인 ID체계를 통해 다양한 블록체인 메인넷을 연동하여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특히 BFT 기반 가장 빠른 합의알고리즘과 멀티블록체인, 분산ID 등 블록체인과 관련하여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TTA 성능시험 통과, 블록체인 지갑 서비스 부문에서 업계 최초로 GS인증 1등급을 획득하는 등의 실적을 통해 서울혁신챌린지, 대한민국 지속가능 혁신리더 대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최수혁 심버스랩스 대표는 "사명 변경을 계기로 올 한 해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글로벌 성장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며 "모든 OS를 지원하는 탈중앙화 지갑 솔트(Sallt.io)와
[더구루=정등용 기자] 러시아가 오는 2025년 수소 연료 전지로 구동되는 여객 열차 운행을 시작한다. 15일 러시아 정부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Rusatom Overseas)과 러시아 철도청(Russian Railways), 철도 장비 제조 업체 트랜스마시홀딩(Transmashholding)은 오는 2025년 말 수소 여객 열차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다. 세 기관은 지난 2019년 9월 수소 연료 전지 열차 운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 프로젝트 사업을 진행해왔다.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세 기관은 7개의 수소 연료 전지 열차를 개발·제작해 오는 2025년 12월 러시아 남부 항구도시 홀름스크에서 운행을 시작한다. 이어 오는 2027년 2월 사할린 남쪽 공업도시 유즈노사할린스크에 5개의 열차가 운행 배치된다. 세 기관은 수소 연료 전지 열차 설계에 최대한 러시아산 부품을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프로젝트 1단계에선 외국산 수소 연료 전지와 수소 저장 시스템을 활용할 예정이다. 현재 트랜스마시홀딩 엔지니어링이 설계 작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프로토타입 조립 후 테스트 작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러시아 정부 관계자는 “테스트 운행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마트 미국 자회사 뉴시즌스마켓(New Seasons Market)이 노조 설립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해 이어 올해도 곳곳에 노조 설립 움직임이 심상치 않아서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형성된 근로자 우위 문화와 최근 물가 상승에 따른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거세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 내 전체 20개 매장 가운데 1/3이 넘는 7개 점포에 노동조합이 결성된다. 뉴시즌스마켓을 운영하는 굿푸드홀딩스는 다른 식품 소매 브랜드로 확산할지 촉각을 곧두세우고 있다. 뉴시즌스마켓의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북부에 위치한 콩코디아(Concordia)점은 노조 설립 안건을 가결했다. 콩코디아점에서 지난달 15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노조 결성 투표 개표 결과 찬성 94표, 반대 16표가 나왔다. 노동자들이 노조 결성을 압도적으로 지지한 것이다. 앞서 뉴시즌스마켓 △세븐 코너스(Seven Corners)점 △슬랩타운(Slabtown)점 △우드스톡(Woodstock)점 △그랜트파크(Grant Park)점 등에 노조 출범을 마쳤다. 이달 아버 롯지(Arbor Lodge)점에 이어 시더 힐스(Ceder Hil
[더구루=한아름 기자] 유럽연합(EU)이 의료기기 규제 완화에 나선다. 의료기기 신규 규정(MDR) 전환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고위험 및 중·저위험 기기 등에 따라 최대 5년 전환 기간 연장안을 제안한다. 향후 EU 이사회와 EU 의회의 승인을 거치면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코트라에 따르면 EU 집행위는 신 의료기기 규정(MDR·Medical Device Regulation) 도입 관련 전환 기간을 연장할 것을 EU 이사회와 EU 의회에 제안했다. 고위험 의료기기(심박 조율기·고관절 임플란트 등)는 2027년 말까지, 중간 및 저위험 기기(주사기·재사용 가능한 수술 도구)는 2028년 말까지 연장한다. 전환 기간이 연장되면 공급 병목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의료 기술 발달로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가 많이 개발됐음에도, 규제에 발이 묶여 의료 현장에서 적시에 쓸 수 없다는 게 EU 집행위의 지적이다. 키리아키데스(Stella Kyriakides) EU 보건담당 집행위원은 "유럽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의료기기가 부족 사태에 직면해있다"며 "우리는 제조 업체에 필수 의료
[더구루=한아름 기자]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올해 본사와 연구개발(R&D) 센터를 경기도 과천으로 이전하며 새 둥지 틀기에 한창이다. 내부 조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그룹 계열사 간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다. 단순히 소재지를 옮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분위기 전환과 함께 사업 역량 강화로 기업 가치를 더 끌어올리려는 전략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JW중외제약·광동제약·휴온스·안국약품 등이 과천지식정보타운에 이전할 예정이다. JW중외제약은 현재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그룹 전체 조직을 과천지식정보타운으로 옮긴다. 앞서 JW중외제약은 과천지식정보타운에 부지를 물색, 신사옥을 설립 중이다. 신사옥 규모는 약 3만5527㎡다. 지하 4층에서 지상11층까지 규모로 지어진다. 해당 프로젝트에 1200억원을 들였으며, 올 초 신사옥 공사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 내 이전하겠단 계획이다. 특히 지주사와 JW중외제약을 비롯한 각 계열 본사가 새로운 사옥으로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 조직을 한곳에 모으는 통합 R&D센터를 조성하는 것이 내부조직의 협업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JW중외제약의 연구 조직은 서울 서초동 본사
◇한빛소프트 한빛소프트가 지난 9일 서브컬처게임 '소울타이드'의 한국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한빛소프트는 BI도 함께 공개했다. 소울타이드는 중국 개발사 iQi game LIMITED이 개발한 수집형 미궁탐색 턴제 RPG다. 이 게임은 LIVE 2D로 구현된 캐릭터 애니메이션 연출과 매력적인 스토리, 수동조작 기반의 미궁탐색을 통한 전략적 플레이, 모바일에 최적화된 편의성 등이 특징이다. 또한 중국과 일본, 대만, 글로벌 출시 국가에서는 론칭 이후 캐릭터별 PV와 OST 공개 등 감성적인 접근으로 유저들에게 다가갔으며 이로 인해 한국에서도 정식 출시를 기다려온 코어 유저층이 형성돼 있다. 한빛소프트는 현재 '소울타이드'의 현지화 작업 마무리 중이며, 론칭 목표시기는 올해 상반기 중이다. 한빛소프트 관계자는 "서브컬처 장르를 즐기는 유저와 소울타이드의 한국 정식 출시를 기다려온 유저에게 소식을 전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빠른 시일 내에 정식 출시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며 앞으로 공개될 다양한 소식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펄어비스 펄어비스가 검은사막 모바일 신규 클래스 ‘우사’ 출시를 앞두고 10일부터 사전 이벤트를 시작했다. 우사는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주식 시장에 대한 현지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베트남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14일 베트남 증권예탁결제원(VSD) 데이터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총 증권 계좌 수는 약 700만 개에 이른다. 이 중 현지 개인 투자자가 개설한 증권 계좌가 684만 개로 99.2%를 차지했다. 나머지 0.8%(5만7438개)는 단체 투자자와 해외 개인 및 단체 투자자들이 개설했다. 작년 총 증권 계좌 수는 지난 2021년 260만 개보다 60% 증가한 수치다. 작년 11월과 비교했을 땐 약 9만9200개 늘어난 수준이다. 신규 증권 계좌 수는 작년 5월 47만7000개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찍기도 했지만 베트남 증시가 마이너스 움직임을 보이면서 소폭 감소하기도 했다. 실제로 베트남 증시 대표 지수인 호치민 증시(HoSE) VN지수(VN-Index)의 경우 작년 4월 8.4% 하락한 이후 5월과 6월에 각각 5.4%, 7.4%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VN지수가 7월 0.7%, 8월 6.2% 증가하며 반등에 성공했고, 신규 증권 계좌 개설도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작년 3분기 말부터는 투자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나라에서 '스크린 골프'로 불리는 골프 스뮬레이터가 미국에서 빠르게 대중화하고 있다. 야외 골프장에 나가지 않고 실내에서 오프 코스에서만 골프를 즐기는 사람도 급증하는 추세다. 14일 미국 디트로이트무역관의 '미, 골프 시뮬레이터의 이유 있는 성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골프재단(NGF) 조사 결과, 2021년 만 6세 이상 미국인 가운데 골프 인구는 3750만명으로 전년 대비 60만명 증가했다. 특히 △골프 연습장 △실내 골프 시뮬레이터 △오프 코스 등에서 골프를 즐기는 사람이 급격히 증가했다. 온코스만 즐기는 골프 인구는 1260만명, 오프 코스만 이용하는 골프 인구는 1240만명으로 이전에 비해 격차가 크게 줄었다. 오프 코스만 즐기는 인구의 평균 연령은 30세로, 온코스 골프 인구(45세)보다 15세 낮았다. 젊은 MZ 세대와 여성 골프 인구가 기성 세대보다 더 많이 오프 코스를 통해 골프에 입문하고 즐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골프 시뮬레이터는 가상으로 설정된 골프 환경에서 골프를 연습할 수 있는 첨단 시스템이다. 실제 경기를 모방해 설계된 설정으로 골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골프를 즐길 수 있다. 또 스윙을 분석하고 약점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월트 디즈니 컴퍼니(이하 디즈니)가 새로운 이사회 회장으로 임명했다. 신임 회장은 전환기를 맞은 디즈니의 리더십 변화를 주도한다. 디즈니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마크 파커(Mark Parker)를 수잔 아놀드(Susan Arnold)의 후임 회장으로 임명한다고 밝혔다. 디즈니 회장에 오른 마크 파커는 2016년부터 디즈니 이사회 멤버로 참여해왔다. 마크 파커는 나이키의 CEO로 더 잘 알려진 인물로 2019년 퇴임 전까지 나이키를 13년간 이끌었다. 마크 파커가 이사회 회장으로 선임된 것은 그가 나이키 CEO 시절 리더십의 성공적인 전환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디즈니는 현재 리더십 전환기에 따른 혼란기를 맞고 있다. 디즈니는 지난 2020년 15년간 CEO를 맡아 거대 미디어 제국을 완성한 밥 아이거가 물러나고 밥 차펙이 CEO에 올랐다. 하지만 미디어 환경 전환기 수많은 잡음을 만들어낸 밥 차펙에 대한 불만이 급증하고 상왕 자리에 앉은 밥 아이거와의 관계가 소원해지면 지난해 11월 계약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CEO에서 내려왔다. 그리고 그 자리를 다시 밥 아이거가 차지했다. 밥 아이거는 자신이 임명한 후임자를 내쫓고 다시 CEO 자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산업용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 월즈 엔터프라이즈(Worlds Enterprises, 이하 월즈)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월즈는 최근 시리즈 A1 투자라운드를 통해 2100만 달러(약 260억원)를 조달했다. 이번 펀딩은 모네타 벤처스가 주도했으며 얼라인 캐피탈, 그린 파크&골프 벤처스, 쉐브론 테크놀로지 벤처스, 피바 캐피탈, 페롯자인, 캐피탈 팩토리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월즈가 개발한 '월즈 인더스트리얼 메타버스' 플랫폼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들에게 디지털 트윈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월즈는 2018년 8월 출시된 이후 쉐브론, 페트로나스, 힐우드 딜벨롭먼트 컴퍼니 등의 AI 플랫폼으로 사용됐다. 특히 포인트 솔루션, 컴퓨터 비전, 디지털 트윈, 미세한 영역만 다루는 센서회사가 넘쳐나지만 대규모 산업을 한 번에 관찰, 분석,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진단, 이 부분에 집중하고 하고 있다. 이에 월즈는 2022년 전년대비 연산경상매출(ARR)이 400% 증가했으며 올해도 사업을 빠르게 확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월즈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AI 플랫폼 추가개발과 파트너십 확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컨설팅 기업 액센츄어(Accenture)가 독일 컨설팅 기업 SKS 그룹을 인수한다. 액센츄어는 SKS 그룹 인수를 통해 은행 관련 컨설팅 및 규제 서비스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액센츄어는 14일 SKS 그룹 인수 소식을 전하면서 SKS 그룹 소속 500명의 전문가 팀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 위치한 액센츄어 테크놀로지에 합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KS 그룹은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은행을 대상으로 SAP 솔루션을 활용해 기술 인프라를 현대화 하고 규제 요건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액센츄어는 이번 인수를 통해 SAP 솔루션 개발과 구현, 운영 뿐만 아니라 금융기관을 지원하는 SKS 그룹의 모든 사업을 공유하게 된다. 여기엔 SKS 그룹이 은행에 제공하는 규제 요구 사항 관찰 도구를 포함해 광범위한 위험·규제 서비스 및 규정 준수 기능이 포함된다. 액센츄어는 SKS 그룹 인수를 계기로 기술, 컨설팅 및 규제 서비스 역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지역 기업과 지역 사회의 재정 개발을 지원하는 전문은행에 고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 이하 버티컬 에어로)가 항속거리 1600km에 달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개발에 나선다. 버티컬 에어로는 하이브리드 eVTOL을 앞세워 유럽 방산 시장에 진출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버티컬 에어로는 13일(현지시간) eVTOL 'VX4'의 하이브리드 버전 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버티컬 에어로에 따르면 VX4 하이브리드 eVTOL은 1회 충전으로 최대 1600km를 비행할 수 있다. 이는 기존 eVTOL보다 10배 향상된 수치다. 버티컬 에어로가 하이브리드 eVTOL 기체 개발에 나선 것은 방산과 물류 분야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특히 유럽 국가의 군비 증강이 본격화 되면서 방산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eVTOL의 경우 소음과 열 발생이 적어 군용 항공기로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특히 버티컬 에어로의 VX4의 경우 헬리콥터와 프롭기(프로펠러 비행기)의 장점을 합친 틸트로터 형태로, 빠른 속도와 수직이착륙의 장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VT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중국 인공지능(AI) 연구팀을 영입했다. 텐센트는 MS출신 연구팀을 앞세워 훈위안(Hunyuan) AI 모델 등의 성능을 끌어올린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중국 베이징에 위치했던 MS AI 연구팀 '위저드LM(WizardLM)'을 영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위저드LM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선임 AI 연구원인 캔 수(Can Xu)가 게재한 엑스(X, 옛 트위터) 글을 통해 알려졌다. 해당 글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위저드LM의 텐센트 합류는 MS의 중국 사업 축소 움직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MS는 지난해 중국 법인 직원들에게 해외 근무지로의 이동 의사를 묻는 제안서를 발송해 논란이됐다. MS는 올해 4월 상하이 AI 연구소를 폐쇄하기도 했다. 반면 중국 기업은 서방에서 공부했거나 근무하던 중국 출신 AI 전문가를 대거 흡수하고 있다. 미국 대학교에 소속됐던 다수의 중국 교수가 본국으로 리턴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는 위저드LM의 합류로 텐센트의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있다. 실제로 텐센트에 합류한 위저드LM은 최근 훈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