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암호화폐 거래소 쿠코인이 프랑스의 암호화폐 정보 플랫폼 '크립트뷰(Kryptview)'에 투자했다. 크립트뷰는 암호화폐 관련 세부화된 데이터를 제공해 생태계 확장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크립트뷰는 지난 4일(현지시간) 프라이빗 토큰 판매·사전 시드 라운드 등을 통해 150만 달러(약 2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쿠코인, 비트판다, GSR, 세라펀드 등이 참여했다. 크립트뷰는 2022년 파리에서 설립됐으며 다양한 암호화폐 데이터를 제공한다. 크립트뷰가 제공하는 토큰의 수는 거의 1만개에 달하며 이는 코인마켓캡보다 많은 수다. 크립트뷰는 자체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암호화폐 데이터에 대한 명확성, 투명성 등을 제공한다는 목표다. 크립트뷰는 신규 투자 유치 소식을 전하며 신규 검색 기능인 '파워 서치'도 출시했다. 파워 서치는 고급 필터링 검색 툴로 50개 이상의 데이터 포인트로 정보를 정렬, 손쉽게 원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크립트뷰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으로 추가 고용 등을 진행해 회사 규모를 확장하고 사업 규모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크립트뷰 관계자는 "우리의 로드맵에는 생태계 내에서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동시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생명이 빠르면 2주 안에 프랑스 자산운용사 메리디암(Meridiam) 지분 매입 작업을 마무리할 전망이다. 장기 수익원 확보 차원에서 추진 중인 자산운용 투자 확대에도 보다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티에리 데우 메리디암 회장은 7일 “유상증자 방식을 통해 지분 20%를 삼성생명에 매각할 예정”이라며 “거래가 약간 지연됐지만 이 작업은 2주 안에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주에 거래를 마무리할 예정이었지만 한국 금융 당국의 승인 절차가 남아 있었다”면서 “프랑스 금융감독원(AMF)은 지배구조 측면에서 보증을 원하기도 했다”고 지연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지분 매입과 함께 삼성생명은 향후 메리디암 펀드에 수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거래에는 삼성생명 외에 영국과 캐나다 기관투자자 두 곳도 참여했지만 삼성생명이 최종 인수자로 선정됐다. 인수 작업이 마무리되면 15명의 파트너를 포함한 메리디암 직원 40여명이 나머지 80% 지분을 보유하며, 티에리 회장은 대주주로 남는다. 삼성생명은 지난해부터 메리디암에 대한 지분 매입 작업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9월 삼성생명은 메리디암 지분 투자 입찰제안서 제출 안건
[더구루=홍성환 기자] 내년 말 발사 예정인 무궁화위성 6A호(KOREASAT 6A)에 위성 기반 초정밀 GPS 보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SBAS) 페이로드가 탑재된다. 프랑스 위성제작사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Thales Alenia Space)는 케이티샛(KT SAT)과 항국형 항공 위성 서비스(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KASS)의 연속성·가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무궁화위성 6A호에 SBAS 페이로드를 적용한다고 7일 밝혔다. KASS는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지난 2016년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와 공동 개발 중인 시스템이다. 항공 산업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이 제공하는 위치 확인·내비게이션 능력을 향상시킨다. KASS는 현재 15~33m 수준인 GPS 위치 오차를 1.0~1.6m로 개선해 위치 신뢰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에르베 데히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CEO는 "KASS 시스템을 위해 무궁화위성 6A호에 탑재되는 자사 SBAS 페이로드는 우리의 우주 항법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유럽 위성 항법 솔루션의 성공을 보여준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메리츠증권은 91일물 CD금리에 투자할 수 있는 ‘메리츠 KIS CD금리투자 ETN’을 상장한다고 6일 밝혔다. ‘메리츠 KIS CD금리투자 ETN’은 KIS자산평가에서 산출하는 KIS CD금리투자 총수익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금융투자협회에서 고시하는 CD(양도성 예금증서) 91일물금리 성과를 추종한다. 해당 지수는 국내 시중은행과 특수은행이 발행한 잔존만기 60~120일 이내의 CD 1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격 변동성이 적은 단기 금리를 추종하는 만큼 총 보수가 연 0.03%로 낮은 것도 특징이다.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연말 국내 ETP(상장지수상품) 시장 최초로 3배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한 국채 ETN 시리즈를 상장했다. 국내 시장에서 3배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한 유일한 상장 종목이다. 국채 3년부터 30년까지 만기별 원하는 방향으로 투자할 수 있는 국채 ETN 라인업을 업계 최초로 완성했다. 이 종목들이 상대적으로 긴 만기의 국채 투자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번에 상장하는 CD금리투자 ETN은 약 3개월의 단기 금리를 추종해 안정적으로 이자 수익을 추구하는 단기 자금 운용에 적합하다. 한편, 메리츠증권은 2021년 상장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 조선 부문 계열사 현대미포조선이 일본 니센 카이운(Nissen Kaiun)으로부터 5만DWT급 중형 석유화학제품 운반선(PC선) 4척을 수주했다. 올해 초 4척에 이어 추가 수주를 올리며 실적 개선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이 최근 수주한 PC선 4척의 배후에 니센 카이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미포조선은 지난달 31일 2410억원 상당의 PC선 4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 당시 계약 상대를 아프리카 선사로 언급했는데 실제 발주처는 니센 카이운으로 확인됐다. 현대미포조선은 울산 조선소에서 건조해 2025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인도할 계획이다. 현대미포조선은 올해 초에도 니센 카이운으로부터 4척을 따냈었다. 작년 하반기에 체결한 계약까지 포함하면 총 20척의 건조를 도맡게 됐다. 16척은 울산 현대미포조선 조선소, 4척은 현대미포조선의 베트남 법인인 현대베트남조선(HVS)에서 건조된다. 계약가도 8개월 만에 약 9% 올랐다. 작년 첫 8척을 계약할 당시 선박당 4250만 달러(약 560억원)였으나 최근 거래에서는 4625만 달러(약 610억원)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으
[더구루=최영희 기자]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룽투코리아는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워 오브 글로리(WAR OF GLORY)를 정식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워 오브 글로리는 통합 월드 단일 서버에서 전세계 유저들과 같이 플레이 할 수 있도록 글로벌 동시 론칭을 진행했다. 룽투코리아는 워 오브 글로리의 정식 서비스 론칭을 기념해 이벤트를 실시한다. 지난달 9일부터 진행된 사전 예약의 등록자 수가 50만명이 넘어 아이템 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접속 후 ‘MILLION‘ 쿠폰 사용 시 ‘가속 스톤’, ‘오라클 스크롤 장비’ 아이템과 5만 골드 등 다양한 상품을 받을 수 있다. 워 오브 글로리는 다크 판타지 배경에서 벌어지는 대규모 전쟁을 다룬 게임이다. PVE(이용자대 환경), PVP(이용자 간 전투), 강화, 육성, 제작, 합성 및 혈맹 등 클래식한 콘텐츠와 자동 전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또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세로형 화면과 방치 시스템을 탑재해 사용자 편의를 끌어올렸다. 워 오브 글로리의 주요한 특징은 캐릭터 육성 시스템이다. 유저들은 치열한 전투를 통해 장비를 얻거나 직접 제작할 수 있고, 아이템을 강화하며 성장할 수 있다. 변신을 통
[더구루=정등용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인도네시아 건자재 기업 멀티 막무르 르민도(PT Multi Makmur Lemindo Tbk·PIPA)의 기업공개(IPO)를 주관한다. PIPA는 6일 신한투자증권 인도네시아 법인인 신한 세쿠리타스 인도네시아를 IPO 주관사로 선정하고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 상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PIPA는 주당 공모가를 105루피아로 책정하고 9억2500만 주를 발행해 971억2000만 루피아(약 86억 원)의 신규 자금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이 중 192억9000만 루피아(약 17억 원)는 시칸데의 부디텍 산업단지에 위치한 새로운 PVC & HDPE 파이프 및 PVC 피팅 공장 건설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 공장은 2분기 중 착공에 들어간다. 나머지 금액 중 417억8000만 루피아(약 37억 원)는 2분기에 구매 예정인 기계 및 생산 시설에 사용된다. 또한 운영 차량 4대를 구입하는 데 18억5000만 루피아(약 2억 원)가 쓰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PIPA는 발행 및 완납 주식 총수의 33.30%에 해당하는 8억3250만 개의 시리즈 I 워런트를 발행했다. 시리즈 I 워런트는 배정일에 등록된 신규 주주들에게 인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면세점이 뉴질랜드 웰링턴공항에서 현지 주류업체와 손잡고 마케팅에 나섰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면세사업 인프라 투자를 지속 확대하며 오세아니아 최대 면세사업자를 석권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뉴질랜드 웰링턴공항점에서 진(Gin) 전문기업 스트레인지 네이처(Strange Nature)와 맞손을 잡았다. 웰링턴공항점 벽면과 기둥에 스트레인지 네이처를 알리는 다양한 홍보물을 게시하고 스트레인지 네이처 진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 2020년 설립된 스트레인지 네이처는 호밀 등 곡물을 원료로 진을 만드는 다른 업체와 달리 와인 재료로 널리 쓰이는 포도품종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을 활용해 독특한 진을 생산한다. 지난해 뉴질랜드 스피릿 어워드(New Zealand Spirit Awards)에서 혁신상, 영국 진 마스터스 컴페티션(Gin Masters Competition)에서 금메달을 받는 등 제품력을 인정받고 있다. 스트레인지 네이처는 "세계적인 주류·뷰티·화장품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기 시작하는, 스트레인지 네이처로서는 꿈인지 생시인지 확인해봐야하는 순간"이라면서 "글로벌 면세 산
[더구루=최영희 기자] FSN의 자회사 핑거랩스는 '위메이드플레이'와 게임 및 메타버스 분야에 전문성이 높은 벤처캐피털(VC)로부터 4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고 6일 밝혔다. 이로써 핑거랩스는 지난 12월 싱가포르 투자 기업인 ‘이노커스 글로벌 그룹’으로부터 받은 투자와 모기업 FSN이 참여한 유상증자 등을 포함하여 총 118억 원 규모로 시리즈A를 마무리했다. 핑거랩스는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과 NFT 생태계 확장을 더욱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위메이드플레이와 이노커스 글로벌 그룹의 경우,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에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는 만큼 핑거랩스의 NFT 프로젝트 및 NFT 플랫폼과 큰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게임 및 메타버스 부문에서 주요 게임사들과 다양한 펀드를 결성한 VC도 이번 투자에 참여하면서, 핑거랩스 블록체인 사업의 경쟁력 역시 다시 한번 입증되는 계기가 되었다. 지난해 선미야클럽을 시작으로 해피어타운, 스마일 미야 클럽 등 국내 대표 NFT 프로젝트를 잇따라 론칭한 핑거랩스는 NFT 마켓플레이스 '엑스클루시브'와 NFT 전용 월렛 '페이버렛'까지 론칭하며 국내 NFT 생태계 확장에 앞장서고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인도네시아에서 최우수 뮤추얼펀드상을 수상했다. 한투운용 인도네시아 자회사 KISI 자산운용은 지난 5일 열린 ‘2023 베스트 뮤추얼 펀드 어워드’에서 자산 규모 5000억~1조 루피아(약 442~883억 원) 머니마켓 뮤추얼펀드 부문에 ‘KISI 머니 마켓 펀드’로 이름을 올렸다고 6일 밝혔다. KISI 머니 마켓 펀드는 출시 이후 연평균 54.99%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운용 자산 규모는 9500억 루피아(약 839억 원)에 이른다. 특히 지난해에만 2717억5000만 루피아(약 240억 원)의 운용 자산 성장을 기록하기도 했다. KISI 자산운용은 지난 2019년 설립 후 3년간 연평균 31.5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현재 20조2000억 루피아(약 1조7836억 원)의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 한편,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지난해 12월 한국투자증권으로부터 KISI 자산운용을 인수했다. KISI 자산운용은 앞서 한국투자증권 인도네시아 법인 KIS 인도네시아의 운용 자회사로 설립된 바 있다. KISI 자산운용은 현재 다양한 뮤추얼 펀드 상품을 관리하고 있으며 증권·핀테크 회사로 구성된 13개의 대리점에서 판매 활동을 전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소다라은행과 KB부코핀은행이 인도네시아 할부금융사 라다나 바스카라 파이낸스(Radana Bhaskara Finance)에 자금을 지원했다. 6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따르면 라다나 바스카라는 우리소다라은행·KB부코핀은행 등 현지 10개 금융기관과 7500억 루피아(약 660억원) 규모 신디케이트론(집단대출) 약정을 맺었다. 신디케이트론은 최소 2개 이상의 은행이 차관단을 구성해 공통의 조건으로 차주에게 돈을 빌려주는 집단대출을 의미한다. 기업의 소요 자금을 한 개의 금융기관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울 경우 특정 기업에 대한 과대 융자를 회피하면서 리스크 헤지를 할 수 있다. 우리소다라은행과 KB부코핀은행은 수익성 확대를 위해 기업금융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인도네시아 빠른 경제 성장으로 기업들의 자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와 폭스바겐이 동맹을 강화한다. 배터리 회수유를 높여 재활용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6일 폭스바겐그룹 미국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레드우드와 소비자 대상 배터리 재활용 프로그램을 시작하기로 했다. 기존 전기차 배터리에 국한됐던 회수 제품 범위를 소형 배터리까지 넓히고 고객 참여를 유도한다. 프로그램은 오는 22일 지구의 날에 본격 론칭된다. 네바다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뉴저지주, 샌디에고주 등 미국 각지에 위치한 14개 폭스바겐 대리점부터 시작, 연내 참여 지점을 확대할 계획이다. 참여 대리점에는 레드우드의 배터리 수거함이 배치된다.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무선 전동 공구, 전동 칫솔, 무선 헤드폰 등까지 배터리 수명이 다한 다양한 전자제품을 버릴 수 있다. 해당 배터리들은 네바다주 북부 카슨시티에 위치한 레드우드의 공장으로 옮겨져 전기차 배터리용 소재로 재탄생한다. 니켈, 코발트, 리튬, 구리 등 배터리에서 발견되는 금속의 95% 이상을 회수할 수 있다는 게 레드우드의 설명이다. 레드우드는 지난해 폭스바겐 그
[더구루=홍성일 기자] 위성 인터넷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가 인도에서 '박리다매' 전략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용자풀을 빠르게 늘리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일단 스타링크는 인도 서비스 출시를 위한 승인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인도 경제전문매체 이코노믹타임즈(ET)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인도 서비스 출시 초기 월 사용료를 10달러(약 1만4000원) 미만으로 책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스타링크의 미국 월 사용료가 약 100달러인 것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이코노믹타임즈는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출시 초기에 이용자를 1000만명까지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박리다매 정책을 꺼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페이스X는 월 사용료가 낮더라도 이용자풀을 빠르게 확장한다면 비용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에 이어 원웹과 릴라이언스 지오, 글로벌 스타 등의 위성 통신 서비스가 잇따라 출시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파격적 가격 정책으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스타링크의 월 사용료가 저렴하게 책정되더라도 수신 접시 등 키트의 가격이 접근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소재 스타트업 '나트리온(Natrion)'이 리튬 이온 배터리용 분리막 판매를 개시한다. 첫 미국산 활성 분리막으로, 미국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자립과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나트리온은 27일(현지시간) 자사의 첫 번째 플래그십 활성 분리막 '젠-1(Gen-1)'을 공식 출시하고 조건부 선주문을 받는다고 발표했다. 현재 뉴욕주 업스테이트 지역에 위치한 생산시설에서 대량 생산 준비를 마치고 기가스케일 규모 양산을 진행 중이다. 젠-1 활성 분리막은 회사가 자체 개발한 특허기술인 리튬 고체 이온 복합체(Lithium Solid Ionic Composite, LISIC) 기술을 적용한 최초이자 유일한 미국산 배터리 분리막이다. 기존 분리막이 단순히 전극 간 물리적 격리와 액체 전해질 보유 역할만 했던 것과 달리, 나트리온의 활성 분리막은 액체 없이도 이온 전달이 가능해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한다. 나트리온이 공개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젠-1 활성 분리막이 적용된 리튬이온 파우치셀은 동일 조건에서 기존 분리막 대비 이론 용량을 10~15% 더 활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에너지 밀도가 크게 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