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기지인 베트남 타이응우옌 생산법인(SEVT)이 설립 10주년을 맞이했다. 주요 공급망으로서 베트남 거점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베트남 국민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최주호 삼성전자 베트남 복합단지장(부사장)은 지난 20일(현지시간) 타이응우옌 법인에서 열린 10주년 기념 행사에서 "지난 10년 동안 세계 최고의 휴대폰 제조기지가 되기 위해 많은 어려움과 실패를 겪었지만 모든 것을 극복하고 오늘날 모습을 갖췄다"고 소회를 밝혔다. 최 부사장은 "중앙정부와 타이응우옌 지방 당국의 전폭적인 지원과 임직원, 협력사의 협조 덕분"이라며 "삼성전자는 혁신 제품을 적기에 출시하고, 베트남과 함께하고 베트남 국민의 사랑을 받는 국민기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3년 타이응우옌 법인을 착공하고 이듬해 가동에 돌입했다. 자본금 20억 달러로 시작해 현재까지 누적 투자액 75억 달러를 돌파했다. 박닌 생산법인(SEV)과 함께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고 있다. 지난 10년간 베트남에서 생산한 스마트폰은 10억 대에 이른다. 타이응우옌 법인은 베트남과 타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 중국법인이 농촌 진흥과 미래 인재 양성, 환경 보호를 골자로 한 사회적책임활동(CSR)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동행 철학'이 중국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와 인민정협망(人民政协网)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삼성(中国三星)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쓰촨성 광안시 간넨촌에서 CSR 3개년 전략을 발표했다. 새 로드맵은 △농촌 진흥 △과학기술 분야 인재 육성 △환경 보호 세 가지로 요약된다. 먼저 중국삼성은 농촌 지원을 확대한다. 삼성전자는 중국 부빈기금회(빈곤퇴치기금)와 2015년부터 나눔 빌리지 사업을 추진해왔다. 나눔 빌리지는 농촌 관광 사업을 육성해 마을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삼성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삼성전자는 농촌 관광 붐과 맞물려 2015년 허베이성 난위촌을 첫 사업 마을로 지정했다. 난위촌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3개 마을에서 나눔 빌리지 사업을 진행했다. 삼성이 CSR 전략을 발표한 간넨촌도 나눔 빌리지의 수혜를 입은 지역이다. 삼성전자는 13개 마을에 1억2000만 위안(약 230억원) 이상 지원했다. 간넨촌을 포함해 5개 마을의 농가 소득이 2배 향상되는 성과를 올
[더구루=김형수 기자] 페르노리카코리아가 음주 문화 개선에 앞장섰다. 국내에 책임 감 있는 음주 문화 확립을 목표로 올바린 음주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올해도 건전한 음주 문화 확산을 목적으로 하는 캠페인을 전개하며 특히 젊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페르노리카코리아는 올해 여름 휴가 시즌을 겨냥해 ‘드링크 모어 워터(Drink More Water)’ 책임음주 디지털 캠페인을 진행한다. 지난 3월 31일부터 이틀 동안 페르노리카코리아와 아이리시 위스키 제임슨(JAMESON)이 힘을 합쳐 북 구미에서 개최한 '고아웃 캠프(Go Out Camp)'에서 드링크 모어 워터 캠페인 부스를 운영하며 사전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페르노리카코리아는 부스를 통해 음주 중간중간 충분한 물 섭취를 통해 체내 수분 유지와 숙취를 예방할 수 있다는 간단한 책임음주 수칙을 전파했다. 또 SNS 이벤트에 참여한 이들에게 책임음주 수칙을 알리고 행사 기간동안 무제한으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제공했다. 페르노리카가 지난 2020년 시작한 책임 음주 캠페인을 올해도 전개하는 것이다. △2020년 드링크 와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롯데의 유럽 자회사 롯데 베델(Lotte Wedel)이 아이스크림 시장 톱5 진입에 나선다. 신동빈 롯데 회장이 구상하고 있는 ‘원롯데’ 추진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신 회장은 해외 시장에서는 제과 사업에 우위인 점하는 일본 롯데에 힘을 실어주고, 한국 롯데는 롯데제과가 롯데웰푸드로 사명을 변경한 것을 계기로 간편식·육가공 등 신규 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 베델은 ‘베델 오!(Wedel Oh!)’ 브랜드를 통해 폴란드 대형 편의점 업체 자브카(Zabka)와 손잡고 다양한 이색 아이스크림을 선보이고 있다. 자브카는 지난 1998년 슈퍼마켓과 하이퍼마켓의 대체재 성격을 지닌 테스트 매장 7개를 내며 사업을 시작했다. 5800개(2019년 기준)가 넘는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1200만명이 넘는 폴란드 사람들이 자브카 매장 300m 이내에서 산다는 통계도 있다. 롯데 베델은 자브카와 협업해 △스프리츠 소르베 밀크 초콜릿 △피나콜라다 화이트 초콜릿 등을 론칭했다. 초콜릿과 유명 칵테일을 접목해서 개발한 아이스크림을 개발했다. 알코올은 들어있지 않다. 시즌마다 독특한 아이스크림을 개발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와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의 인연이 18년째 이어지고 있다. 21일 체코축구협회(FAČR)에 따르면 현대차는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파트너십을 연장하고 내년 6월 독일에서 열리는 2024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유로 2024)까지 후원을 이어가기로 했다. △체코 국가대표팀 홈경기 광고보드 설치 △경기장 내 차량 전시 △ 라디오 광고권 및 대표팀 이미지 사용 등 권리를 지속 유지한다. 특히 이번 파트너십 연장에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21세 이하 청소년 대표팀 후원도 포함됐다. 이들 선수에게는 현대차 체코 노쇼비체 공장(HMMC)에서 생산한 i30와 투싼, 코나EV 등 차량이 지원된다. 또한 현지 스포츠 마케팅 플랫폼 베즈프라지(Bezfrazi)와 특별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와 전설로 여겨지는 선수들의 활약을 담은 책을 출판할 예정이다. 마틴 사이츠 현대차 체코법인장은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협력은 체코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의 일환"이라며 "축구는 체코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현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페트르 푸섹 체코축구협회 회장은 "현
[더구루=최영희 기자] 범한퓨얼셀이 21일 범한산업 및 범한메카텍과 함께 미국 차트인더스트리(Chart Industries)와 액화수소 사업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차트인더스트리 본사가 위치한 미국 휴스턴에서 현지 시각 20일 오후에 진행된 협약식에는 차트인더스트리의 밥 오스트라이크 부사장과 범한메카텍의 손원석 연구소장이 참석했다. 범한퓨얼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시장을 선점하여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사인 차트인더스트리는 저온 용기 및 극저온 장비 제조를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액화수소충전소 시스템 분야에서 선도적인 솔루션을 보유한 회사다. 기존 10년 이상 보급되고 있는 기체수소충전소와 달리 액화수소충전소는 저장탱크의 고진공 단열 등 새로운 기술이 필요해, 해외 파트너사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수소충전소의 턴키(Turn-key) 솔루션을 제공하는 범한퓨얼셀이 차트인더스트리와 손잡기로 결정한 이유다. 액화수소충전소는 기체수소에 비해 액화수소의 부피가 1/800 수준으로 작다는 특성을 가지는 만큼 낮은 압력으로 공급 및 저장이 가능해 안정성이 높고, 빠른 충전이 가능할 뿐만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 호라이즌 ETF가 20일(현지시간) 캐나다 토론토 증권거래소(TSX) 오프닝벨 행사를 진행했다. 이와 함께 호라이즌 ETF는 ‘비기스트 위너 12 대회(Biggest Winner 12 Competition)’의 시작도 알렸다. 비기스트 위너 12 대회는 내셔널 뱅크와 TMX 그룹이 후원하는 행사로 캐나다 투자자들에게 가상 트레이딩 시뮬레이터에서 ETF를 거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날 행사에는 마이클 브렐리스포드 호라이즌 ETF 마케팅 담당 부사장과 그레이엄 매켄지 토론토 증권거래소 상장지수상품 담당 상무가 참석했다. 한편, 호라이즌 ETF는 캐나다에서 가장 큰 규모의 ETF 상품을 운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50억 달러(약 33조 원) 이상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으며 캐나다 주요 증권거래소에 108개의 ETF를 상장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011년 호라이즌 ETF를 인수했다. 국내 금융사가 북미 소재 운용사를 인수한 것은 미래에셋이 처음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민간 우주기업 로켓랩(Rocket Lab)이 로켓 재사용 시험을 본격화한다. 내년 공식 출시를 앞두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로켓랩은 올해 연말께 재사용 로켓을 탑재해 시험 비행을 실시할 계획이다. 로켓랩은 오는 3분기 사용된 엔진을 1단계 엔진으로 재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로켓랩은 지난해부터 사용한 엔진을 상공에 대기하고 있던 헬리콥터가 회수하는 실험을 실시하고 있다. 이륙 15분 후 고도 2㎞ 상공에서 대기하고 있던 헬리콥터가 1단 추진체와 낙하산을 잇는 줄에 갈고리를 걸어 이를 낚아채는 방식이다. 로켓랩은 현재 최대 20회 재사용이 가능한 엔진을 개발 중이다. 내년 출시 예정으로 경쟁사인 스페이스X에 비해 최대 반값 수준인 5000만 달러(약 660억원)에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006년 창업한 로켓랩은 일렉트론을 개발하고 2017년부터 상업 발사를 해온 소형 우주 발사체 업계 강자로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비교되고 있다. 본사는 미국에, 발사대는 뉴질랜드에 있다. 2018년 이후 150여개 위성을 궤도에 배치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텔레콤(SKT)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미국의 '특허사냥꾼' MPEG LA와 수 개월째 소송전을 펼치고 있다. SK텔레콤과 ETRI는 MPEG LA가 무단으로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소송전이 계속 이어질 경우, 소송 전체 법률 비용도 커지는만큼 빠른 해결이 필요하지만 양측의 주장이 첨예해 장기전이 예상되고 있다. 21일 뉴욕 대법원 등에 따르면 SKT와 ETRI는 지난해 9월9일(현지시간) MPEG LA가 권한없이 자신들의 HEVC 관련 특허를 무단으로 제공했다며 고소했다. 해당 소송은 뉴욕 대법원에 등록됐으며 멜리사 A. 크레인(Melissa A. Crane) 판사에게 배정됐다. SKT와 ETRI는 법률 대리인으로 미국 로펌인 설리반&크롬웰을 선임했다. 멜리사 A. 크레인 판사는 21일(현지시간) 오전 9시30분, 원격으로 재판 관련 사안을 공지하고 양측의 이야기를 들어 볼 예정이다. 이어 27일과 5월23일에도 재판 일정을 소화한다. 앞서 SKT와 ETRI는 2014년 초 MPEG LA와 HEVC 관련 특허 풀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은 ETRI의 경우 2020년 1월 2일, SK텔레콤은
[더구루=한아름 기자] 씨젠이 유럽 신드로믹 멀티플렉스(다중 검사) 진단 시장에서 핵심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발병률 증가로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씨젠에 업계 관심이 쏠린다. 21일 시장 조사기관 데이터 브릿지 마켓 리서치(Data Bridge Market Research)는 유럽 신드로믹 멀티플렉스 진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씨젠을 대표 기업으로 꼽았다. 씨젠이 아시아 기업 중 유일하게 주요 기업 명단에 오르면서 기술력을 글로벌에 입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드로믹 멀티플렉스란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체를 한꺼번에 검사해 문제 질환을 찾는 것이다. 예컨대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코로나19, A형·B형 독감,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PIV), 아데노바이러스(Adv), 라이노바이러스(HRV) 등을 모두 타깃해 한 번에 문제 질환을 찾아내는 것을 말한다.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신드로믹 멀티플렉스 보험 수가가 신설·확대되면서 관련 시장이 성장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데이터 브릿지는 신드로믹 멀티플렉스 시장의 주요 업체로는 씨젠과 함께 △루미넥스(Luminex Corporatio
[더구루=김형수 기자] 빙그레의 러시아 사업의 청신호가 켜졌다. 현지 꽃게랑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 기업의 공정 개선에 따른 생산 효과를 톡톡이 보고 있어서다. 러시아에서의 스낵 판매가 늘어나면 로열티를 받는 빙그레가 수익 증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Novosibirsk) 지역에 위치한 꽃게랑 OEM 기업 이스턴 스낵 컴퍼니(Eastern Snack Company)의 직원 한명이 단위 근무 시간당 생산하는 물량은 이전에 비해 11% 늘어난 458kg을 기록했다. 이스턴 스낵 컴퍼니가 지역 정부의 도움을 받아 린 생산(Lean Manufacturing) 공정을 도입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린 생산은 조직 전반에 걸쳐 보다 적은 양의 자원을 투입해 더 많은 가치를 지닌 제품 또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조하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이스턴 스낵 컴퍼니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로스팅과 패키징 관련 장비를 도입했다. <본보 2022년 10월 24일 참고 빙그레, 러시아 로열티 수익 기대감↑…현지 '꽃게랑 OEM' 생산라인 증설> 이밖에도 이스턴 스낵 컴퍼니는 생산 과정을 대상으로 펼친 점검을 바탕으로
[더구루=최영희 기자] 갤럭시아머니트리는 수협은행, 한국해양대학교와 해운 탄소배출량 규제 솔루션을 제공하는 마리나체인과 함께 ‘탄소배출권의 STO(토큰증권 발행) 상품 개발'에 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전일 열린 협약식에는 신동훈 갤럭시아머니트리 대표이사, 강신숙 수협은행 은행장, 도덕희 한국해양대학교 총장, 하성엽 마리나체인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날 체결한 협약에 따라 갤럭시아머니트리는 STO 금융상품화 및 프로젝트를 총괄하며, 수협은행은 본 사업과 관련한 금융상품 연계를 지원한다. 또 한국해양대학교와 마리나체인은 각각 국내 친환경 프로젝트의 탄소배출권 가치 평가에 관한 검인증 및 방법론 개발, STO를 활용한 탄소배출권 상품 개발을 담당한다. 이번 업무협약은 탄소중립을 위한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VCM) 확대에 대응하고, 토큰증권을 활용해 개인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탄소배출권 투자 프로젝트에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STO 발행과 함께 연계 가능한 금융상품을 발굴해 양식업 등의 수산업 경영활동을 하는 어업인들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신동훈 갤럭시아머니트리 대표이사는 "토큰증권을 활용해 고성장이 전망되는 탄소배출권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