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휴젤이 유럽 보툴리눔톡신 제제 시장 정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보툴리눔톡신 제제 '레티보'가 유럽 국가 12곳에 판매 허가받았다. 12일 크로마파마(Croma Pharma)에 따르면 휴젤 레티보가 지난 10일(현지시간) 유럽 국가 12곳에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이에 몇 주 내로 현지 판매할 예정이다. 크로마파마는 휴젤의 유럽·미국 파트너사다. 이번에 승인받은 나라는 2티어(웨이브)에 속하는 △벨기에 △키프로스 △체코 △핀란드 △그리스 △헝가리 △룩셈부르크 △몰타 △노르웨이 △슬로바키아 △스웨덴이다. 앞서 휴젤은 보툴리눔톡신 시장 규모를 기준으로 나눠 시장 공략해왔다. 당초 2티어 국가는 13곳이었으나 대내외 여건 외 변수로 12곳이 됐다. 이에 레티보는 유럽 내 23개국까지 판매처를 확보했다. 앞서 휴젤은 1티어 국가로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루마니아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폴란드 △스페인 등을 선정하며 마케팅을 펼쳐왔다. 휴젤은 유럽 36개국 이상 진출을 목표로 시장 확대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크로아티아와 아이슬란드, 스위스 등 3티어 국가 규제당국과 논의 중이다. 목표 시장점유율은 10% 이상으로 잡았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미국 자율주행 합작법인(JV) 모셔널이 미국 라이다 기업 아우스터(Ouster)와 손잡고 자율주행차량 안전성 강화에 나선다. 현재 운영 중인 아이오닉5 기반 자율주행 로보택시 전체에 아우스터 장거리 라이다 센서를 탑재할 계획이다. 아우스터는 11일(현지시간) 모셔널 장거리 라이다 센서 독점 공급 업체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자사 초고성능 라이다 센서 '알파 프라임'(Alpha Prime)의 성능을 인정받았다는 설명이다. 앞서 모셔널은 알파 프라임을 자율주행 로보택시에 탑재, 테스트 운영을 진행한 바 있다. 알파 프라임은 아우스터가 10년간에 개발 끝에 선보인 장거리 라이다 센서다.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을 위해 특별 설계됐다. 최대 300미터 범위와 360도 서라운드 뷰로 최대 0.1도 수직 및 수평 해상도의 실시간 3D 데이터를 제공한다. 아우스터는 대량 생산을 토대로 오는 2026년까지 알파 프라임을 모셔널에 공급할 방침이다. 모셔널은 라스베이거스와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자율주행 로보택시 모두에 알파 프라임을 탑재한다. 로라 메이저(Laura Major) 모셔널 최고기술경영자(CTO)는 "알파 프라임은 자율주행차량
[더구루=김형수 기자] KT&G가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과의 협업에 힘입어 남유럽 전자담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세르비아에 이어 보스니아에 진출하며 실적 고공행진이 전망된다. KT&G는 지난 1월 필립모리스와 릴(lil) 해외판매를 위한 공급 계약을 맺었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38년 1월 29일까지 15년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KT&G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이하 보스니아)에 릴 솔리드 Ez(lil SOLID Ez) 판매를 시작했다. 릴 솔리드 Ez에는 기기 내부에 장착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 바늘을 활용해 전용스틱을 태우지 않고 고르게 가열하는 기술이 탑재됐다. KT&G는 필립모리스에 전자담배 제품을 공급하고 필립모리스는 한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 전자담배 제품을 판매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계약 대상 제품은 궐련형 전자담배 기기 △릴 솔리드 △릴 하이브리드 등과 전용스틱 △핏 △믹스 등이다. 향후 출시될 신제품도 포함된다. 지난 2020년 필립모리스와 협업 이후 글로벌 영토 확장은 한층 속도가 붙고 있다. 현재 보스니아, 레바논, 포르투갈 등 글로벌 31개국으로 진출했다. 해외 시장 진출은 고스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캐피탈아메리카(HCA)가 약 1조3000억원 규모로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한다. 자금 조달을 통해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 확대를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캐피탈아메리카는 총 9억5120만 달러(약 1조2690억원) 규모로 ABS를 발행한다. 이번에 내놓는 ABS는 총 6개 트랜치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1년 만기 클래스 A1(1억1100만 달러) △2년 만기 클래스 A2A(1억7850만 달러) △2년 만기 클래스 A2B(1억7850만 달러) △3년 만기 클래스 A3(3억5700만 달러) △4년 만기 클래스 A4(7500만 달러) △4년 만기 클래스B(5120만 달러) 등이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이번 ABS의 가중평균 피코(FICO) 점수는 770점으로 올해 첫 발행과 일치하며 이전 거래와 비교하면 개선된 수준"이라면서 "이번 포트폴리오는 현대차 50%, 기아 43%, 제네시스 7%로 구성됐다"고 설명했다. 현대캐피탈아메리카는 앞서 올해 초에도 8억9860만 달러(약 1조1990억원) 규모로 ABS를 발행한 바 있다. ABS는 부동산·매출채권·유가증권·주택저당채권 등 금융사가 보유한 유동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CGV가 베트남에서 과반이 넘는 시장 점유율로 1위 자리를 지켰다. 이어 롯데시네마가 2위로 바짝 뒤쫓고 있다. CJ CGV와 롯데시네마는 국내를 넘어 베트남에서도 치열하게 경쟁하는 구도다. 당분간 국내 기업 간 베트남 시장을 둘러싼 자존심 대결은 불가피해 보인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CJ CGV는 베트남 영화관 시장에서 51%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업계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CJ CGV는 베트남에서 83개 극장(지난 1월 기준)을 운영하고 있다. CJ CGV 베트남 사업 초기였던 12년 전과 비교하면 12배 가까이 늘어났다. 당시 CJ CGV 베트남 사업 규모는 7개 극장에 불과했다. CJ CGV는 지난 2011년 베트남 1위 멀티플렉스 메가스타(Megastar Media Company)를 인수하며 현지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줄곧 업계 선두를 달리고 있다. CJ CGV는 베트남에서 IMAX, 스크린X, 4DX 등 다양한 포맷을 도입하며 경쟁력을 강화했다. 베트남에서 IMAX, 스크린X, 4DX 극장을 각 4개관씩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9년에는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CGV빈콤스타시티 디 캐피탈 극장에 도심 속 자연을 콘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채굴기업 사이퍼마이닝(Cipher Mining)이 채굴기 1만여대를 추가로 도입한다. [유료기사코드] 사이퍼마이닝은 컴퓨팅 솔루션 기업 카난(Canaan)과 암호화폐 채굴기 1만1000대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채굴기는 텍사스주(州) 오데사에 있는 사이퍼마이닝 시설에 배치된다. 오는 3분기 인도를 시작할 예정이다. 배치가 완료되면 사이퍼마이닝은 총 7만여대의 채굴기, 7.2EH/s 규모의 해시레이트(채굴능력)를 갖추게 된다. 타일러 페이지 사이퍼마이닝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구매는 비트코인 채굴장에서 더 높은 투자 수익을 찰출하기 위해 가격 순환성을 관리하는 회사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시장 가격이 낮을 때 채굴기를 구매하거나 시설 확장에 이익을 재투자하는 등 시장 지위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이퍼마이닝은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 제조업체인 네덜란드 비트퓨리그룹의 미국 자회사다. 비트퓨리는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사이퍼 마이닝은 지난 2021년 8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에 우회 상장했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엔케이맥스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이 제2회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 컨퍼런스(ALZHEIMER'S DISEASE & DEMENTIA CONFERENCE)의 구두발표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해당 학회는 내달 16일부터 17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전 세계 뇌신경질환 분야 전문가들이 치매 및 알츠하이머 치료와 관련 다양한 최신 연구, 임상, 치료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주최사 매그너스 그룹(Magnus Group)은 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국제학회를 주최하고 참여자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고 있다. 엔케이젠바이오텍은 이번 컨퍼런스에서 자사 NK세포치료제 ‘SNK01’로 치료를 진행한 3명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사례에 대해 구두 발표한다. 폴 송 엔케이젠바이오텍 대표이사가 발표자로 나선다. SNK01은 기존 NK세포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고활성, 고순도의 면역세포치료제다. 특히 알츠하이머병 등 뇌신경질환 치료를 돕는 NKG2D, DNAM-1, CX3CR1 등의 수용체가 높게 발현된다. 해당 수용체들이 자가 반응성 T 세포와 손상된 뉴런을 식별하고 제거해 신경염증을 감소시키고 전반적인 뇌 면
[더구루=최영희 기자] YG엔터테인먼트 걸그룹 블랙핑크의 첫 공식 게임이 곧 정체를 드러낸다. 국내 대표 아이돌 게임 제작사 테이크원컴퍼니는 자사가 개발 및 서비스하는 ‘블랙핑크 더 게임’을 오는 18일(한국 시간 기준) 모바일 양대마켓에 글로벌 출시한다고 12일 밝혔다. ‘블랙핑크 더 게임’은 육성 퍼즐 SNG 장르로, 게임 유저가 멀티버스 세계 속 블랙핑크의 프로듀서가 되어 멤버를 성장시킨다. 이 게임은 ▲독점 실사 포토 카드를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퍼즐 ▲멤버를 매니지먼트하고 회사를 성장시키는 육성 시뮬레이션 ▲나만의 스타일로 꾸민 블랙핑크 아바타로 전 세계 유저와 소통하는 ‘블랙핑크월드’로 구성되어 있다. 블랙핑크의 독점 실사 콘텐츠와 3D 아바타를 활용한 고퀄리티 캐주얼 게임으로, 팬덤뿐 아니라 모바일 게임 유저도 함께 즐길 수 있다. 테이크원컴퍼니는 블랙핑크 멤버의 축하멘트 2편과 비하인드 메이킹 영상 8편을 연이어 SNS에 공개하며, 게임 내 포함된 다수의 실사 독점 콘텐츠를 예고했다. 또한 뉴욕, 파리, 방콕, 도쿄 등 전 세계 주요 도시 전광판을 통해 블랙핑크 더 게임의 출시 소식을 알리며 글로벌 대세감을 고조시켰다. 테이크원컴퍼니 정민채 대
[더구루=최영희 기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12일 공무원연금공단과 ‘소상공인·전통시장 판로지원 및 소비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제주 서귀포시에 위치한 공무원연금공단 본사에서 개최된 이번 협약식에는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 임만규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 직무대행을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했다. 공무원연금공단 임·직원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상품권을 구매(8700만원 상당)하고,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진행된 ‘청보리축제와 함께하는 시계탑상가거리 문화예술축제’에도 동참하여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를 지원하는 등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소진공과 긴밀히 협업해 오고 있었다. 이를 더욱 확대하여 소상공인 · 전통시장에 새로운 판로를 제공하고 소비촉진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고자 이번 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두 기관은 앞으로 ▲소상공인·전통시장 판로지원 및 소비촉진 ▲ 지역상권 활성화 ▲ 탄소중립실천 등 ESG 경영을 위한 정책 및 노하우 공유 등 지역경제 및 내수활성화를 위해 상호 협력한다. 특히 이번 협약을 통해 공무원연금공단이 운영하는 ‘공무원 제휴복지몰’에 소상공인 입점을 지원하게 되어 판로개척과 신규고객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더구루=최영희 기자] 음식물처리기 전문기업 ㈜포레가 한뼘 음식물처리기 '에콥미니'로 관심을 모으면서 파격적인 가격 29만9000원으로 와디즈에 론칭한다고 12일 밝혔다. 에콥미니는 음식물쓰레기를 4시간만에 냄새없이 완전 건조된 가루형태로 처리해주는 고급 분쇄건조방식 제품이다. 기존 미생물 음식물처리기에서 처리하지 못했던 과일, 채소껍질은 물론 찌개국물까지 처리가 가능하다. 처리용량은 2리터에 폭이 한뼘도 안되는 20cm 이내로 컴팩트하다. 일명 “한뼘음처기”로 불린다. 와디즈에서는 5월 11일부터 알림신청서비스를 시작으로 예약판매가 시작된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오프서베이의 “가전제품 트렌드2022”에 따르면 향후 가장 구매를 희망하는 주방가전으로 “음식물처리기”가 가장 많이 응답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음식물처리기는 시장 보급율이 5~10%내외로 가장 낮으면서 구매의향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시장의 급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홈쇼핑사의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음식물처리기 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음식물처리기 구매시 가장 고민되는 것은 ‘가격’이라는 응답이 36%로 가장 높았다. 음식물처리기의 구매가격 수용대는 20만~30만원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트럭 모델 '봉고'를 앞세워 브라질 경상용차 시장 공략에 나선다. 봉고 활약을 토대로 2년 연속 현지 수입차 시장 1위 타이틀을 거머쥘 수 있을지 관심이다. 12일 기아 브라질판매법인에 따르면 기아는 올해 브라질 시장에서 봉고 8500대 판매를 목표하고 있다. 이는 전년 판매량 대비 45% 성장을 꾀하는 수치다. 지난해 수입 베스트셀링카로 선정되는 등 현지 인기를 끌고 있는 모델인 만큼 기대치를 높였다. 1분기(1~3월) 판매량은 902대로 집계됐다. 반도체 등 부품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 변수를 제외하면 무리가 아니라는 자신감이다. 현재 봉고는 우루과이법인 노르덱스(Nordex)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2.5리터 디젤 터보 엔진과 6단 수동 변속기를 결합해 130.5마력의 성능을 낸다. 화물 적재 용량은 1500kg이다. 특히 신형 모델 가세로 목표 달성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기아는 지난 3월 봉고 K2500(엔진배기량 2500cc급) 4X4 버전을 출시한 데 이어 최근 남미 최대 농기계 전시회 아그리쇼(Agrishow)에서 높은 호응을 이끌어내는 성과를 냈다. 구스타보 간디니(Gustavo Gandini) 기아 브라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거린메이(격림미·이하 GEM)가 인도네시아에 새로운 니켈 생산공장을 건설한다. 아시아의 전기차 허브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 니켈 공급망을 강화한다. GEM은 12일(현지시간) 5억 달러(약 6655억원)를 공동 투자해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모로왈리 산업단지에 니켈광석 제련·생산 합작 공장을 건설한다고 상하이증권거래소에 공시했다. 연간 2만톤(t) 규모 니켈 중간재 생산능력을 확보한다. 신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GEM을 비롯해 3사가 힘을 모았다. GEM의 100% 출자 기업인 GEM(우시)에너지머티리얼즈가 전체 프로젝트 지분 51%를 보유한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투자회사 '카하야자야 인베스트먼트(CAHAYA JAYA INVESTMENT)'와 '웨이밍(홍콩) 인터내셔널 홀딩스(Weiming(Hong Kong) International Holdings)'가 각각 지분 26%와 18%를 가진다. 파트너사의 기술·관리팀이 나머지 5%의 지분을 확보한다. GEM은 니켈 자원이 풍부한 인도네시아에 잇따라 투자를 실시하고 있다. 우선 자체적으로 니켈 광산을 채굴하는 QMB 프로젝트는 작년 9월 말 생산을 개시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