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성일하이텍이 미국 조지아주에서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을 위한 절차를 속속 밟고있다. 조지아주와 체결한 양해각서(MOU)와 관련 스테펜스 카운티 개발청(Stephens County Development Authority, 이하 SCDA)의 허가를 받았다. 스테펜스 카운티와 곧 정식 파트너십도 맺는다. 투자 일정과 인센티브 등 핵심 이슈를 확정하고 공장 건설에 나선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SCDA는 지난 17일(현지시간) 회의에서 조지아주와 성일하이텍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 관련 MOU 체결안을 의결했다. 성일하이텍은 작년 8월 스테펜스 카운티에 3700만 달러(약 490억원) 이상 투자해 리사이클링 파크(전처리 공장)를 짓는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2년 8월 19일 참고 [단독] 성일하이텍, 美조지아주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현대차 EV공장 시너지> 경제개발 특화 산업단지인 '헤이스톤 브래디 비즈니스 파크'에 건설해 2024년 초부터 가동한다. 성일하이텍은 공장 신설을 위해 지난달 17일 조지아주와 MOU를 맺었다. 향후 투자 일정과 인센티브, 일자리 등 세부 쟁점을 협의하고 스테펜스 카운티와도 MOU를 체결할
[더구루=정등용 기자] 소프트뱅크 비전펀드가 세포·유전자 치료제 전문 기업 엘레베이트바이오(ElevateBio)에 투자했다. 엘레베이트바이오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새로운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엘레베이트바이오는 25일 아유르마야 캐피털 매니지먼트 펀드가 주도한 4억1000만 달러(약 5400억 원) 규모의 시리즈D 펀딩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발표했다. 소프트뱅크 비전펀드는 이번 펀딩 라운드에 주요 투자자 중 하나로 참여했다. 이 밖에 △매트릭스 캐피털 매니지먼트 △인버스 그룹 △에머슨 콜렉티브 △피델리티 매니지먼트 앤 리서치 컴퍼니 △MPM 캐피털 △F2 벤처스 △레드마일 그룹 △에코알원 캐피털 △삼사라 바이오캐피탈 △서베이러 캐피털 △EDBI △버텍스 벤처스 등이 이름을 올렸다. 엘레베이트바이오는 이번 투자 자금을 활용해 유전자 치료제 개발 사업인 ‘베이스캠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신규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설계·제조·개발을 가속화 한다는 방침이다. 엘레베이트바이오는 다양한 바이오 제약 회사가 새로운 세포·유전자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차세대 풀스펙트럼 유전자 편집 플랫폼인 ‘라이프 에
[더구루=김형수 기자]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이 우크라이나에서 생산을 재개한다. 지난해 2월 자체 생산을 중단한 지 15개월 만이다. 러시아 침공 이후 전쟁이 이어지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현지 생산 라인을 가동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투자에 나서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마시모 안돌리나(Massimo Andolina) 필립모리스 유럽 지역 사장은 25일 우크라이나 내 자체 생산 시설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쟁 발발 이후 해외 공장 8곳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우크라이나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현지 사업을 이어왔다. 지난해 8월에는 영국 담배업체 임페리얼 브랜즈(Imperial Brands)와 협력해 우크라이나 키이우(Kyiv)에 위치한 임페리얼 브랜즈 공장에서의 담배 생산에 들어갔다. 본드 스트리트(Bond Street), 엘 앤 앰(L&M), 말보로(Marlboro), 팔리아멘트(Parliament) 등의 필립모리스 브랜드 담배를 만들어지고 있다. <본보 2022년 8월 2일 참고 '말보로' 우크라이나 키예프서 생산 개시…PMI, 경쟁사와 맞손> 필립모리스는 우크라이나에서 제품 자체 생산을 재개할 목적으로 기존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투자은행(IB) JP모건이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움직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JP모건은 25일 탄소 제거 기술 조합으로부터 2억 달러(약 2600억 원) 규모의 탄소 배출권을 구매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2억 달러 계약에는 지난 4월 체결한 7500만 달러(약 990억 원) 규모의 약정이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JP모건은 아직 초기 단계인 탄소 제거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탄소 배출권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부연했다. JP모건은 이번 계약을 통해 대기 중 8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다니엘 핀토 JP모건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저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필요한 유망 기술에 자금을 조달하려면 자본과 전문성이 필수”라며 “우리는 탄소 제거와 저장을 상업적 솔루션으로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탄소 제거 시장은 아직 작은 규모다. 하지만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에 따라 각국 정부는 오는 2050년까지 연간 10기가톤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를 감축해야 한다. 이에 JP모건은 앞서 스위스 클라임웍스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 2만50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 베트남법인이 자동차·주택 대출 패키지를 선보였다. 신한베트남은행은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자동차대출·주택담보대출 우대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신한베트남은행 연 10.59% 금리로 차값의 최대 80%까지 지원한다. 주택대출의 경우 기간별로 연 7~10%대 고정금리로 주택 구입 자금을 제공한다. 신한은행은 베트남 내 외국계 은행 중 가장 많은 46개 네트워크를 운영 중이며 2021년 기준 총자산·순이익 등 재무실적 부문 외국계 은행 1위를 달성했다. 지난해에는 글로벌 경제·금융 전문지인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매거진 선정 ‘베트남 최우수 외국계 은행’으로 2년 연속 선정됐다. 또 최근 베트남 중앙은행(SBV)이 주최한 '은행 산업 디지털 혁신의 날' 행사에서 디지털 전환 노력을 인정받아 공로상을 수상했다. <본보 2023년 5월 19일자 참고 : 베트남 중앙은행, 신한은행 '디지털 혁신' 성과 엄지척>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이 미국 텍사스주(州) 소재 스테이트팜보험 중부지역 본사 건물을 매물로 내놨다. 내년 펀드 만기를 앞두고 투자 회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리처드슨 신도시에 있는 오피스 빌딩 매각을 추진 중이다. 2015년 완공된 이 건물은 전체 임대면적 21만㎡ 규모 총 4개 동으로 구성됐다. 세계적인 손해보험사 스테이트팜이 오는 2037년까지 장기 임차해 사용 중이다. 임대율은 98%다. 미래에셋은 앞서 지난 2016년 공모펀드를 조성해 이 빌딩에 투자했다. 인수 가격은 8억5000만 달러(당시 환율 기준 약 9500억원)에 달했다. 이 펀드는 내년 3월 말 만기를 앞두고 있다. 설정 이후 투자 수익률은 75%다. 작년 4분기 텍사스 댈러스·포트워스 지역 전체 오피스 순흡수면적은 약 6만5000㎡, 공실률은 24.5%를 기록했다. 이 지역 클래스A 오피스 평균 명목임대료는 34.10달러 수준이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의 글로벌 마케팅을 담당하는 이노션이 기아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이색 광고를 선보였다. 브랜드 로고와 자동차 사진 없이 앰버서더인 '테니스 월드스타' 라파엘 나달과 대표 문구만 삽입한 대형 옥외광고물을 만들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이노션 스페인은 지난 13일부터 21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 몬주익 베뉴에서 열린 바르셀로나 모터쇼 행사장에 KИ 로고 삽입을 제외한 기아 옥외광고물을 설치했다. 브랜드 앰버서더인 나달의 역동적인 사진과 '자동차 브랜드를 떠올려 보세요', ''1관에서 기다리고 있겠습니다'라는 문구만 넣었다 이같은 캠페인은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일환이다. TV광고가 아닌 캔버스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설치도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노션 스페인은 "해당 캔버스를 만드는 데 수년이 걸렸다"며 "우리가 추구하는 '브랜드 구축'은 중장기적으로 클라이언트와 협력해야만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광고는 도리토스 옥외광고물에서 영감을 받았다. 도리토스는 미국 펩시코 산하 프리토레이에서 출시한 토르티야 칩이다. 앞서 프리토레이는 올해 초 스페인 마드리드 콜론 광장에 14m 높이의 도리토스
[더구루=김형수 기자] 올해 여름 원숭이두창(엠폭스) 재확산 경고등이 켜졌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원숭이두창 백신 접종을 적극 권장하며 원숭이두창 대규모 전파 방지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CDC는 25일 올해 봄과 여름 개최되는 각종 축제와 행사에 많은 사람들이 운집함에 따라 원숭이두창이 크게 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CDC는 지난해 5월 본격적으로 시작된 원숭이두창 확산이 작년 8월 이후 감소세로 접어들었으나 아직 끝난 것은 아니라며 위험성을 강조했다. 현재까지 미국에서 보고된 원숭이두창 확진 사례는 3만395건에 이른다. 지난달 17일부터 지난 5일 사이에도 12건의 원숭이두창 확진 및 1건의 의심 사례가 보고됐다. 확진자는 백인 9명, 흑인 2명, 아시아인 2명 등으로 모두 남성이었으며 입원한 사례는 없었다. 확진자 가운데 9명은 원숭이두창 백신 진네오스(JYNNEOS)를 2회 접종한 것으로 확인됐다. CDC는 진네오스 백신 2회 접종을 완료하면 원숭이두창 확진 판정을 받더라도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에 비해 증상이 가벼울 수 있다며 백신 접종을 촉구했다. 특히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백신 접종을 적극 독려하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과 에코프로비엠, 미국 포드가 캐나다 퀘벡에 로비스트를 등록하고 보조금 협상에 매진한다. 현지 정부의 지원을 확정짓고 공장 건설을 본격화하기 위함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포드 캐나다법인은 대관 업무 담당인 마를렌 샤망디와 캐롤라인 휴즈를 퀘벡 로비스트에 등록했다. 퀘벡주 경제개발혁신수출무역부, 퀘벡투자공사를 접촉하고 양극재 공장 건설에 따른 보조금 협상을 주도한다. 활동 기간은 작년 9월 6일부터 올해 9월 1일까지다. 에코프로비엠도 동일한 이유로 오상영 해외프로젝트 담당(상무)을 비롯해 6명을 퀘벡 로비스트로 임명했다. 이들은 작년 10월 3일부터 딱 1년 동안 활동한다. 에코프로비엠의 배터리 소재 판매 자회사 에코프로글로벌은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 소속의 스테판 트렘블레이와 마티유 울렛 등 5명을 로비스트로 고용했었다. 포드와 에코프로비엠은 로비스트를 통해 캐나다 정부와 보조금 논의를 활발히 전개하고 양극재 공장 건설에 나선다. 양사와 SK온은 작년 7월 북미 양극재 생산시설 설립을 위한 1조원 규모의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퀘벡에 투자를 확정하고 올해 들어 부지 정지 작업을 시작했다. <본보 20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배터리 전문 업체 '팩토리얼 에너지'(이하 팩토리얼)가 배터리 제조업체 최초로 100Ah 이상 리튬메탈 배터리에 대한 UN 38.3 인증을 획득했다. 현대자동차 등 파트너사들의 배터리 수요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팩토리얼은 24일(현지시간) 100Ah 이상 대형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UN 38.3 인증 획득했다고 밝혔다. UN 38.3 인증은 리튬 이온 및 리튬 금속 배터리 운송을 위한 필수 요구 사항 중 하나다. 제3자 기관에서 수행하는 엄격한 테스트를 통해 항공, 해상, 육상 등 다양한 운송 환경을 견딜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주어진다. 테스트는 고도 시뮬레이션과 열·진동·충격·과충전 테스트 등 총 8단계에 걸쳐 이뤄진다. 팩토리얼은 이번 인증으로 현대차와 기아, 메르세데스-벤츠, 스텔란티스 등 세계 주요 완성차 제조사한테 전고체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게 됐다. 팩토리얼은 "FEST(Factorial Electrolyte System Technology) 전고체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비교해 안전할뿐 아니라 최대 50%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자랑한다"며 "이번 UN 38.3 인증을 통해 전 세계 고객과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에어택시 제조업체 최초로 국제비즈니스항공위원회(International Business Aviation Council·IBAC) 인증을 획득했다.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시장 선점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IBAC는 조비가 비즈니스 항공기 운영을 위한 국제 표준(IS-BAO) 인증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에어택시 제조업체 가운데 IBAC의 IS-BAO 인증을 획득한 것은 조비가 처음이다. 이는 국제 항공 운송사업용 항공기의 비행 운항 시 제반 안전 위험 요소를 도출해 위험분석 방향을 제시한 안전 관리 시스템이다. 조비는 "이번 인증은 에어택시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전했다. 조비는 미국 연방항공청(FAA)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가장 먼저 승인받은 에어택시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교통 체증이 심한 도시를 지나 공항과 기타 목적지까지 25마일의 짧은 도약으로 승객을 태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무공해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를 개발하고 있다. 오는 2025년 상용화가 목표다. 조비는 최근 영국계 자산운용사 베일리 기포드(Baill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이 이집트와의 경제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 이집트에 대한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지원을 추진하는 등 경제 협력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25일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홍순영 부행장은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열린 ‘제58차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연차총회’에 참석해 라니아 알 마샤트 국제협력부 장관과 회동했다. 홍 부행장과 마샤트 장관은 한국과 이집트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공동 관계의 우선 순위와 발전 노력의 중요성을 확인했으며, 향후 5년 간 협력의 틀과 공동 전략을 수립하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날 회동에선 대(對)이집트 EDCF 지원에 관한 전반적인 협의가 진행됐다. 구체적으로는 수출입은행의 카이로 주재원 파견에 대한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마샤트 장관은 “이집트 투자에 관심이 있는 한국 기업들에게 적절한 투자 환경과 시설을 제공할 것”이라며 “양국 간 공식 방문을 통해 경제·무역 협력 분야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홍 부행장과 마샤트 장관은 오는 6월 예정된 연례 협의 대화를 통해 프로젝트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할 계획이다. 양국 간 잠재적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과 폴란드의 K2 전차 2차 이행계약 체결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폴란드에서 나왔다. 오래 기다린 양국 협상이 결실을 맺는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23일 폴란드 주간지 더블유프로스트(Wprost)와 군사 전문지 ZBiAM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폴란드형 K2 전차 K2PL 수출 계약을 수주 안에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매 물량은 약 180대, 60억 달러대(약 9조원) 규모로 알려졌다. 일부는 폴란드 글리비체시에 위치한 현지 국영 방산 기업 '부마르-와벤디(Bumar-Łabędy)'의 공장에서 생산될 전망이다. 부라므 와벤디는 폴란드 국영 방산 기업 PGZ(Polska Grupa Zbrojeniowa)가 지분 85.69%를 소유한 회사다. 독일 전차인 레오파드2의 폴란드향 '레오파드2PL' 생산을 맡고 있다. 앞서 K2 전차 2차 구매가 지연돼 일감이 사라지고 있다며 빠른 계약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22년 8월 60억 달러 규모의 K2 전차(180대) 공급 계약을 체결한 후 폴란드와 추가 수출 협상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PGZ와 K2PL 생산·납품을 위한 컨소시엄 계약을 연장했다. 당초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엔비디아, 퀄컴 등을 상대로 한 특허침해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 AMD로부터 고성능 반도체 연산기술 관련 특허를 넘겨받은 특허관리전문회사(NPE)가 권리 행사를 본격화하면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ITC에 따르면 ITC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오네스타 IP(Onesta IP, 이하 오네스타)'가 관세법 337조 위반 혐의로 엔비디아와 퀄컴, 원플러스, 낫싱을 제소한 특허침해 사건에 대한 조사를 개시하기로 의결했다. 향후 수개월간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며, 침해 여부와 구제 조치에 대한 예비결정은 올해 하반기 중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오네스타는 작년 11월 AMD로부터 약 100건의 특허를 양수한 뒤, 이 중 일부를 근거로 지난달 텍사스 서부지방법원과 ITC에 소송을 제기했다. 엔비디아와 퀄컴은 문제된 특허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를 생산·판매하고, 원플러스와 낫싱은 퀄컴의 칩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유통했다는 이유로 피고에 포함됐다. 쟁점이 된 특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간 동작 방식, 회로 구성, 그래픽 처리·스트리밍, 신경망 가속 등 고성능 연산 핵심 기술을 담고 있다. △US 8,854,381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