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태양광 설비 핵심 소재인 실리콘 가격 하락으로 중국 내 태양광 설비 설치 규모가 큰 폭으로 늘었다. 28일 코트라 및 중국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올해 1~4월 중국 내 태양광 신규 설치용량은 48.31GW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1.43GW, 186.21% 증가했다. 특히 4월 한 달 동안 14.65GW 규모의 태양광이 새로 설치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9.18% 증가한 수치다.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태양광 설치가 확산하는 상황이다. 에너지 전문 조사기관 솔라줌에 5월 넷째 주 중국내 폴리실리콘 현물가는 1㎏당 2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8.6% 감소했다. 작년 8월 고점 대비 55.5% 하락한 수준이다. 업계는 탄소중립 전환을 위해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핵심 소재 가격 하락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면서 태양광 설비 설치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류이양 중국태양광협회 부비서장은 향후 3년간 중국내 태양광 발전설비 신규 설치량은 50~65GW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독일 BMW가 고급 요트 전문 제조기업 타이드(TYDE)와 손잡고 호화 전기 요트를 제작했다. 이미 개인용과 상업용으로 나눠 생산할 준비를 마쳤다. 육상교통에 이어 해상교통에서도 탄소배출 제로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약속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BMW는 지난 16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76회 칸영화제를 통해 전기 요트 '아이콘'을 공개했다. 그룹 자회사 디자인웍스가 디자인을 담당하고 BMW 전기구동 시스템을 탑재하는 등 BMW가 개발을 주도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브랜드 전기차 i시리즈에 탑재하는 배터리를 장착한 점이 특징으로 꼽혔다. 아이콘 크기는 길이 약 13m, 너비 약 4.5m이다. 100kW급 전기 모터 2개와 6개의 배터리로 구성됐으며 최고 속도는 56km/h를 자랑한다.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최장 560km에 달한다. 선박 내부에는 태블릿PC를 활용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설치됐다. 음성 명령으로 날씨·정보 검색 기능을 쓸 수 있고, 돌비 애트모스를 활용한 음향 시스템을 지원한다. 무엇보다 유명 음악가 한스 짐머가 작곡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한스 짐머는 영화 '라이언 킹'과 '캐리비안의 해적' 등 주제곡을 작곡한
[더구루=한아름 기자] 농심·오뚜기가 미국 입맛을 꽉 잡았다. 현지 최고 권위의 소비자 매체가 선정한 가장 맛있는 라면 브랜드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최근 높아진 K푸드에 대한 관심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의 농심·오뚜기 입지를 방증케 하는 대목이다. 27일 컨슈머리포트의 '최고의 인스턴트 라면 톱 12' 조사에 따르면 농심 신라면과 오뚜기 진라면이 선정됐다. 이번 조사는 컨슈머리포트의 아웃사이드 더 랩(Oustside the Labs) 리뷰 프로그램 중 하나로, 소속 기자와 지인들이 함께 제품을 평가하는 일종의 체험기다. 평가 대상 제품인 마루찬, 컵누들, 마이크스 마이티 굿(Mike's Mighty Good) 등 중에서 농심 신라면이 '가장 매운 맛'(Supreme Spice)에 선정됐다. 컨슈머리포트는 "소고기 풍미의 깊은 국물에서 느껴지는 매운 맛이 인상적"이라며 "표고버섯과 당근, 파 등 후레이크와 조화가 잘 어우러졌다"고 설명했다. 오뚜기 진라면에 대해서는 면발의 쫄깃한 식감이 인상적이었다며 사골 베이스의 깊고 진한 국물이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농심 신라면과 오뚜기 진라면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면서 미국 사업 약진에 무게감이 실린다. 현지 반응도
[더구루=김형수 기자] 프랑스 주류기업 페르노리카(Pernod Ricard)가 싱가포르 순환경제 기술 스타트업 에코스피리츠(ecoSPIRITS)에 투자를 단행했다. 순환유통 시스템 확장을 통한 친환경 경영에 힘을 쏟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페르노리카는 벤처 계열사인 콘비비아리테 벤처스(Convivialité Ventures)를 통해 에코스피리츠를 대상으로 이뤄진 1000만달러(약 13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펀딩에 참가했다. 이번 시리즈A 펀딩에는 페르노리카를 비롯해 미국 뉴욕을 기반으로 하는 순환경제 투자펀드 클로즈드루프 파트너스(Closed Loop Partners),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활동을 펼치는 투자사 파빌리온 캐피탈(Pavilion Capital) 등이 참여했다. 패르노리카는 이번 투자를 통해 에코스피리츠와의 협력관계를 공고히하고 ESG경영에 힘을 쏟을 것으로 전망된다. 페르노리카는 지난해 3월 에코스피리츠와 홍콩 및 싱가포르에서의 프리미엄 브랜드 유통을 위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페르노리카의 앱솔루트 보드카, 비피터 진, 아바나클럽 럼 등의 주류는 4.5L 용량의 재사용가능한 유리용기에 담겨
[더구루=한아름 기자] 캄보디아 의료기기 시장에서 한국 입지가 쪼그라들고 있다. 캄보디아의 전체 수입액 중 한국 점유율 순위가 2017년 4위에서 2021년 5위로 떨어졌다. 지난해엔 5위를 유지했다. 27일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캄보디아 의료기기 수출이 817만7000달러(약 107억7730만원)로, 5위에 머물렀다. 2017년부터 3년간 4위를 기록했으나 일본 수출량이 크게 늘면서 2021년부터 한 계단 밀려났다. 지난해 대캄보디아 수출액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2533만1000달러), 중국(1676만달러), 싱가포르(1293만8000달러), 일본(993만6000달러), 한국(817만7000달러) 독일(582만7000달러) 태국(405만7000달러)순이다. 중국은 코로나 기간인 2020년엔 약 289%, 작년엔 48% 성장세를 보였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일본이 한국을 제치고 캄보디아에서 의료기기 주요 수출국으로 부상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지난 2017년 대캄보디아 의료기기 수출 규모는 271만6000달러에 불과했으나 작년 993만6000달러(약 130억9600만원)를 기록, 한국과 격차를 벌렸다. 한국 의료기기가 캄보디아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레켐비·도나네맙 등 신약 10종이 약물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벽을 넘는다. 5년 내 매출 10억달러(약 1조3200억원) 이상의 돌파할 블록버스터 약물 반열에 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FDA는 다양한 신약에 대한 허가를 보다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올해 허가될 신약에도 관심이 모아졌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시장 조사기관 이밸류에이트파마는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앞둔 블록버스터 약물 톱 10'을 발표했다. 레켐비가 1위를 차지했다. 레켐비는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가 최근 출시한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5년 내 매출 30억달러를 달성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레켐비는 현재 신속 승인 상태에서 판매 중이다. 오는 7월 FDA의 정식 승인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업계에선 레켐비의 임상 3상 데이터가 고무적인 만큼 미국 내 공공보험 '메디케어' 보장 약물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일라이릴리가 지난 3일 발표한 임상3상(TRAILBLAZER-ALZ 2)에서 레켐비는 위약(가짜약) 대비 환자들의 알츠하이머 진행을 35% 가량 늦췄다. 2위는 사렙타와 로슈의 유전성 희귀 신경근육질환인 듀센근이영양증(D
[더구루=김형수 기자] 스타벅스와 던킨이 RTD(Ready to Drink·즉석음용) 음료를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각각 미국 식음료회사 펩시코, 미국 음료업체 코카콜라와 맞손을 잡았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식음료회사 펩시코와 손잡고 과일과 커피 등을 활용한 다채로운 RTD 음료를 출시했다. 스타벅스는 △딸기, 아사이와 코코넛 밀크가 어우러진 스타벅스 핑크 드링크 △파인애플, 백향과(Passionfruit)와 코코넛밀크가 조화를 이루는 스타벅스 파라다이스 드링크 등을 선보인다. 스타벅스 매장에서 제조해서 판매하는 음료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됐다. 또한 △용량을 줄인 프라푸치노 미니 △비타민B와 인삼 등이 들어간 뉴 스타벅스 더블샷 에너지 캐러맬 △뉴 스타벅스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블랙 무가당(Unsweet)과 뉴 스타벅스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밀크&슈가 △스타벅스 화이트 초콜릿 모카 프라푸치노 등 커피를 활용한 RTD 음료도 함께 내놨다. 스타벅스와 펩시코는 지난 1994년 합작투자회사(Joint Venture) NACP(North American Coffee Partners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게임 개발사 자이언트네트워크가 웹3 개방형 펀드에 투자를 예고했다. 자이언트네트워크는 AI, 메타버스 등을 결합해 웹3 게임 생태계를 구축해나간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자이언트네트워크의 전액 출자 자회사인 자이언트 인베스트먼트는 지난 10일(현지시간) 디파이언스 리퀴드 벤처 펀드(이하 디파이언스)와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자이언트 인베스트먼트는 100만 달러를 투입, 디파이언스의 지분을 인수한다. 자이언트인베스트먼트가 투자한 디파이언스는 2022년 11월 설립된 개방형 펀드로, 초기 모금 규모는 2000만 달러다. 디파이언스는 1억 달러가 규모가 될 때까지 개방형 펀드 형태를 유지할 계획으로 웹3, 디지털 자산, 탈중앙화 기술과 인프라에 중점적으로 투자한다. 자이언트인베스트먼트가 디파이언스에 대한 투자는 첨단 기술 글로벌 배포와 여유 자본 사용의 효율성 제고라는 목적 하에 진행됐다. 또한 이번 투자를 통해 업계 내 네트워크를 강화해 기술 산업 발전 동향 등을 빠르게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자이언트네트워크는 이외에도 게임 내 AI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지난 3월에는 샌프란시스코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 글로벌이 말레이시아 정부로부터 사업 폐쇄 명령을 받았다. 주인이 바뀌며 새롭게 시작한 후오비에 사업 확장이 시작부터 좌초될 위기에 빠졌다. 말레이시아 증권위원회(SCM)는 지난 22일(현지시간) 후오비 글로벌의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 라이선스 획득 시도가 실패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SCM은 후오비 글로벌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비활성화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또한 이메일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제품 광고도 중단된다. 후오비 글로벌은 2020년 11월 후오비 라부안이라는 이름으로 말레이시아에서 거래소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지난해 8월 후오비가 말레이시아 거래소 운영을 위한 허가를 받지 않고 영업을 하고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따라 후오비는 이때부터 말레이시아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허가 절차를 밟아왔다. SCM이 후오비에 사업허가를 내주지 않은 것은 '현지 규제 요건 준수'를 지키지 못할 것으로 우려했기 때문이다. 즉 후오비 거래소가 말레이시아 내 가상자산 관련 규정 준수를 위한 준비가 부족했다는 의미가 된다. 이번 결정에 따라 지난해 11월 어바웃 캐피탈 바이아웃 펀드로 주인이 바
[더구루=정등용 기자] 올해 대마초 판매량이 작년보다 크게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시장 판매량 증가가 전체 대마초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장기적으로는 유럽이 새로운 주요 소비 시장으로 부상할 것이란 분석이다. 미래에셋 글로벌X는 27일 보고서를 통해 올해 글로벌 대마초 시장 매출이 작년보다 15% 증가한 370억 달러(약 5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X는 미국과 캐나다가 전체 대마초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 대마초 시장 매출은 작년 대비 14%, 캐나다는 12% 증가할 것으로 각각 예측됐다. 미국 대마초 시장은 주 정부 차원에서 의료용·기호용 대마초에 대한 합법화 움직임이 확대 되면서 수요 증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X 자체 조사에서도 응답자 중 3분의2가 국가 차원의 대마초 합법화를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X는 또한 의료용 대마초 사용이 늘어나는 것도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대마초를 이용한 질병 치료 임상 시험이 증가하는 가운데 통증 관리 분야에서도 대마초의 잠재력이 점차 부각될 것이란 분석이다. 캐나다 대마초 시장의 경우 여전히 성장통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가 SK이노베이션의 소재 사업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분리막 인재 확보를 지원한다. 27일 풀스HR(PulsHR) 등 폴란드 매체에 따르면 야보주노 당국은 현지에 '산업역량센터(Industry Skills Center)'를 구축한다. 신설 센터는 로봇과 모빌리티 등 첨단 산업 분야의 교육을 수행하는 곳이다. 2026년까지 성인 210명과 청소년 60명 등 약 300명을 양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야보주노는 새 센터를 통해 SKIET의 인재 확보를 돕는다. SKIET는 지난 2021년 폴란드에 유럽 내 최초의 분리막 공장을 완공했다. 연산 약 3억4000만㎡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가동 초기에는 한국 인재들을 활용했으나 현지인을 교육해 점차 폴란드인으로 대체하는 분위기다. 박병철 SKIET 폴란드법인장은 지난 9일(현지시간) 실롱스크주 야보주노에서 열리는 전기차 행사 '제6회 IABM(International Automotive Business Meeting) IZERA 에디션'에서 "분리막을 다루는 엔지니어가 유럽에 많지 않다"며 "공장 가동 초기 한국인 엔지니어를 필요로 했으나 생산이 안정화되며 경험을 쌓은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투자한 미국 확장현실(XR) 전문 기술업체 '디지렌즈(DigiLens)'가 증강현실(AR) 소프트웨어 플랫폼 회사 '택타일(Taqtile)'이 손을 잡는다. 산업용 차세대 솔루션을 개발해 생산성 개선을 돕는다는 목표다. 27일 디지렌즈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택타일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디지렌즈의 XR 기반 스마트글래스 '아르고(ARGO)'와 택타일의 AR 기반 작업 지침 소프트웨어 플랫폼 '매니페스트(Manifest)'를 결합한다. 매니페스트는 작업자가 직접 문서 작업을 거치지 않아도 운영 절차나 단계별 작업 지침을 문서화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작업 성과나 기록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이미지, 텍스트, PDF 파일 등으로 손쉽게 변환할 수 있다. 디지렌즈와 택타일은 양사 기술 결합을 통해 이용자들이 저렴한 가격이 뛰어난 확장성을 경험하고 효율적이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제조, 에너지, 의료, 물류, 제약, 통신, 방위 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는 게 양사의 설명이다. 디지렌즈는 VR과 AR 분야에서 2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과 폴란드의 K2 전차 2차 이행계약 체결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폴란드에서 나왔다. 오래 기다린 양국 협상이 결실을 맺는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23일 폴란드 주간지 더블유프로스트(Wprost)와 군사 전문지 ZBiAM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폴란드형 K2 전차 K2PL 수출 계약을 수주 안에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매 물량은 약 180대, 60억 달러대(약 9조원) 규모로 알려졌다. 일부는 폴란드 글리비체시에 위치한 현지 국영 방산 기업 '부마르-와벤디(Bumar-Łabędy)'의 공장에서 생산될 전망이다. 부라므 와벤디는 폴란드 국영 방산 기업 PGZ(Polska Grupa Zbrojeniowa)가 지분 85.69%를 소유한 회사다. 독일 전차인 레오파드2의 폴란드향 '레오파드2PL' 생산을 맡고 있다. 앞서 K2 전차 2차 구매가 지연돼 일감이 사라지고 있다며 빠른 계약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22년 8월 60억 달러 규모의 K2 전차(180대) 공급 계약을 체결한 후 폴란드와 추가 수출 협상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PGZ와 K2PL 생산·납품을 위한 컨소시엄 계약을 연장했다. 당초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엔비디아, 퀄컴 등을 상대로 한 특허침해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 AMD로부터 고성능 반도체 연산기술 관련 특허를 넘겨받은 특허관리전문회사(NPE)가 권리 행사를 본격화하면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ITC에 따르면 ITC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오네스타 IP(Onesta IP, 이하 오네스타)'가 관세법 337조 위반 혐의로 엔비디아와 퀄컴, 원플러스, 낫싱을 제소한 특허침해 사건에 대한 조사를 개시하기로 의결했다. 향후 수개월간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며, 침해 여부와 구제 조치에 대한 예비결정은 올해 하반기 중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오네스타는 작년 11월 AMD로부터 약 100건의 특허를 양수한 뒤, 이 중 일부를 근거로 지난달 텍사스 서부지방법원과 ITC에 소송을 제기했다. 엔비디아와 퀄컴은 문제된 특허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를 생산·판매하고, 원플러스와 낫싱은 퀄컴의 칩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유통했다는 이유로 피고에 포함됐다. 쟁점이 된 특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간 동작 방식, 회로 구성, 그래픽 처리·스트리밍, 신경망 가속 등 고성능 연산 핵심 기술을 담고 있다. △US 8,854,381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