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SK온과 폭스바겐의 전기차 배터리 동맹이 공고해지고 있다. 폭스바겐이 테네시주 채터누가 공장을 중심으로 북미 전기차 생산기지를 재편하고 생산량을 대폭 확대하면서다. 29일 미국 일간지 '채터누가 타임스 프리 프레스'에 따르면 파블로 디 시 폭스바겐 북미법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인터뷰에서 "7개월 사이에 조지아주에 위치한 SK온 공장을 3번 방문했다"고 밝혔다. SK온은 채터누가 공장에서 생산되는 폭스바겐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ID.4’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핵심 파트너사다. 폭스바겐은 기존 LG에너지솔루션으로부터 배터리를 납품받아 독일 츠비카우 공장에서 조립한 차량을 수입해 미국에 판매해왔으나 전략을 바꿔 현지에서 배터리를 조달키로 했다. SK온과 폭스바겐의 파트너십은 채터누가 공장을 전기차 전용 생산시설로 전환한 것을 계기로 더욱 돈독해졌다. 채터누가 공장은 폭스바겐의 유일한 미국 전기차 조립 시설이다. 작년 초 전기차 전용 시설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한 뒤 8월부터 ID.4 조립을 개시했다. 폭스바겐이 ID.4를 시작으로 향후 북미 현지 전기차 생산 모델을 확대할 계획인 만큼 SK온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폭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플래그십 전용 전기차 모델 'EV9'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EV9 디자인을 진두지휘한 카림 하비브 기아 디자인센터 센터장이 직접 디자인 특징을 소개해 눈길을 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림 하비브 센터장은 최근 엘페리오디코USA(elperiodicousa)와의 인터뷰를 통해 EV9의 디자인 탄생 배경과 특징을 소개했다. 외부 디자인 주요 요소로는 '클린 타이거 페이스 그릴'과 '디지털 조명 타이거 페이스 그릴'을 꼽았다. 타이거 페이스 그릴은 기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디자인으로 이번 EV9에 적용된 그릴 디자인은 브랜드 미래 디자인 방향을 나타낸다. 풍부하고 깔끔한 디테일과 함께 하이테크적이고 세련된 스타일을 자랑한다. 인테리어 요소 중에서는 중앙 대시보드를 눈여겨볼 것을 추천했다. 전략적 접근 방식에 따라 미학과 기능 강화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했다는 이유에서다. 무엇보다 이번 EV9 대시보드 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해 브랜드 내 모든 관련 부서와 가장 많은 회의를 가졌다는 후문이다. 이번 회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EV 시리즈 인테리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하비브 센터장은 "브랜드 전동화 전략
[더구루=윤진웅 기자] 북경자동차그룹(BAIC)은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와 베이징벤츠를 놓고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베이징벤츠가 현지 프리미엄 시장을 장악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반면 베이징현대는 2016년 사드보복 이후 7년째 판매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아픈 손가락으로 전락한 베이징현대의 현지 시장 반등을 위해 적극 지원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29일 BAIC에 따르면 베이징벤츠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총 59만1700여대를 판매했다. 이는 5년 전인 2018년 판매량(48만5000여대)과 비교해 18.04% 두 자릿수 성장한 수치이다. 특히 프리미엄 브랜드라는 점에서 판매 마진이 크게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실제 같은 기간 베이징벤츠 매출은 405억2300만 위안(한화 약 7조5960억 원)에서 473억9600만 위안(약 8조8843억 원)으로 늘었다. 반면 베이징현대는 BAIC의 아픈 손가락으로 전락한 상태이다. 지난해 중국 시장 판매량은 25만400대에 그쳤다. 2014년 최고 판매량인 116만대를 기록하며 기대를 한 몸에 받았지만 2016년 말 한중 사드 갈등을 겪은 이후로 판매량이 급감했고 현재까지도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베이징현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담배기업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친환경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 오는 2030년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넷제로(Net Zero·탄소중립)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다양한 친환경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지 유력매체가 발표한 환경보호 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영국 유력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즈(FT)는 BAT를 '유럽 기후 리더(Europe’s Climate Leaders)' 기업 가운데 하나로 선정했다. 2021년 이후 3년 연속으로 최상단에 이름을 올렸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업체의 CDP 기후등급(작년 12월 기준), 글로벌 탄소중립 이니셔티브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참여 여부 등도 평가에 반영했다. 올해 평가 대상에 포함된 4000개 이상의 기업 가운데 상위 3%에 해당하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전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와 협력해 엄격한 평가를 시행했다. BAT는 지난 2021년과 작년에 걸쳐 202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22% 줄였다. △태양광과 바이오매스 등 재생가능 에너지 이용 확대 △전기 및 수소차량
[더구루=한아름 기자] 비건 뷰티 브랜드 '런드리유'(Laundryou)가 열도 공략에 나선다. 도쿄 최대 규모 뷰티 박람회에 참여하며 얼굴을 알렸다. 런드리유는 비브이엠티가 2020년 론칭한 클린 뷰티 브랜드로, 지난해 최대 규모의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업체 코스맥스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받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런드리유가 지난 15일부터 이틀 간 도쿄 빅 사이트에서 열린 '뷰티 월드 재팬 도쿄'(Beauty World Japan Tokyo)에 참여했다. 이 기간 런드리유는 젤 클렌저 2종(클린 페이스 가글 젤 투 폼 클렌저 스트롱·마일드)과 포어 클리닝 모공 브러시 등 제품을 선보였다. 브랜드 홍보를 위해 다양한 이벤트도 열었다. 런드리유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한 부스 방문객에게 제품 샘플을 무료 증정했다. 뷰티 월드 재팬 도쿄는 화장품과 미용기기, 속눈썹·헤어 피스 등 액세사리 등 다양한 뷰티 제품을 총망라하는 대형 박람회인 만큼 런드리유의 인지도가 제고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런드리유는 현지 K뷰티 전문 유통 업체 케이-라보(K-Labo)와 손을 잡은 만큼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케이-라보는 앞서 투쿠포스쿨과 셀퓨전씨 등
[더구루=김형수 기자] 코스맥스가 대만 유산균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계열사인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바이오를 통해 유산균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현지 건강식품기업과 손잡고 유산균 연구·개발에 나서며 의료 시장 공략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계획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맥스바이오는 대만 건강기능식품업체 선웨이 바이오테크(SunWay Biotech·이하 선웨이)와 유산균 사업 경쟁력 강화 및 관련 시장 공략을 목적으로 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선웨이는 NTU 101 유산균 균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맡을 예정이다. 코스맥스 바이오는 ODM 또는 OEM(주문자상표부착방식) 방식 생산 및 판매를 수행하게 된다. 양사는 이처럼 서로가 보유한 상호보완적 역량을 활용해 의료 시장으로의 사업 확대를 노린다는 방침이다. 현재 양사는 대만군 종합병원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NTU 101 유산균을 활용한 몸무게 및 체지방 관리 임상시험을 펼치고 있다. 향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관련 건강기능식품 원료 인증을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대만에서는 아동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 대한 NTU 101 유산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임상
[더구루=한아름 기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추진하는 '원롯데(One LOTTE)'의 윤곽이 구체화되고 있다. 기업공개(IPO)에 나섰던 일본 롯데의 상장 작업을 잠정 보류했다. 당분간 시장의 우려를 불식 시키고 시장을 면밀히 관찰해 수요가 회복되는 적정 시점에 상장을 재추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호텔롯데 상장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일각에선 8년째 제자리 걸음인 호텔롯데 상장에 집중해 일본 기업 이미지를 떨치고 신 회장의 그룹 지배력을 더욱 높이겠다는 복안으로 해석한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일본 롯데홀딩스가 IPO 계획을 중단했다. 신 회장의 일본 조력자인 다마쓰카 겐이치(玉塚元一)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는 "일본의 주요 제과 제조업체인 롯데(Lotte Co.)의 주식 시장 상장 계획은 우선 순위에서 밀려났다"며 "당분간 관련 논의는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한일 롯데가 원롯데 초석을 다지며 협력을 가속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상장은 순위가 낮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과의 경영권 분쟁에 마침표를 찍은 만큼 호텔롯데 상장에 사활을 걸고 있다는 게 재계의 대체적 분석이다. 앞서 신동
[더구루=윤진웅 기자] 제네시스가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 순위 '톱20'에 올랐다. 세련된 디자인과 성능을 토대로 인지도를 쌓으며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오는 2030년 100% 전동화 전환을 통해 글로벌 럭셔리 전기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자동차 엔지니어 출신 인플루언서가 창간한 자동차 전문 매체 'engineerine'이 선정한 올해 력서리 자동차 브랜드 17위에 꼽혔다. 추천 차종으로는 대형 세단 모델 G90과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GV70, 준대형 SUV 모델 GV80 등 총 3개 모델이 이름을 올렸다. engineerine는 "제네시스는 2015년 춤범 이후 지속해서 판매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다"며 "비용에 상관없이 신선한 브랜드 경험을 시도하는 운전자들은 제네시스가 제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제네시스는 다양한 하이테크 기술과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를 갖추고 있다"며 "빠른 가속력과 일관된 품질이 뛰어나다"고 덧붙였다. 1위는 메르세데스-벤츠가 차지했다. 추천 모델로는 EQE AMG와 EQS, G바겐이 선정됐다. BMW는 2위, 롤스로이는 3위에 올랐고 부가티와 벤틀리가 각각
[더구루=정등용 기자] 연 매출 20억 원에 불과한 스타트업이 약 46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유치한 가운데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AI(인공지능) 핀테크 스타트업 플로우X.ai(FlowX.ai)는 최근 3500만 달러(약 46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돈 캐피털이 주도한 가운데 포트포라이언, 시드블링크, 데이원 캐피털 등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다. 지난 2021년 설립된 플로우X.ai는 BNP 파리바, OTP, 방카 트랜실바니아, 알파 은행 등 금융사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금융사들은 플로우X.ai 플랫폼을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구축·실행할 수 있다. 플로우X.ai에 따르면 전체 사용자 수는 3000만 명에 육박한다. 투자자들은 플로우X.ai의 가파른 성장세에 주목해 이번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플로우X.ai의 기업 가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연 매출은 155만 달러(약 20억 원)로 전년 대비 735%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투자자들은 플로우X.ai가 금융 분야에서 더 많은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플로우X.ai는 지난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의 전기차 판매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제네시스의 판매량은 전년동기 대비 8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올들어 4월 말 현재 8000여대의 전동화 모델을 판매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80% 증가한 수치다. 지난달 판매량은 2178대에 달한다. 제네시스 전기차 모델은 GV60을 비롯해 GV70 전동화, G80 전동화 등 총 3종이다. 현대차와 제네시스의 4월 플러그인 전기차(배터리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판매량은 2만8256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나 증가한 수치다. 전체 전기차 비중은 8.4% 수준이다. 특히 배터리 전기차(BEV)의 경우 2만3726대이며 전년 대비 37%가 증가했으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4530대로 7% 증가하는데 그쳤다. 올해 4월 누적 플러그인 전기차 출하량은 11만3463대로 전년 대비 70%가 증가했다. 배터리 전기차는 9만5684대로 86%나 증가했다. 현대차와 제네시스는 올해 30만 대 이상 판매고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제네시스는 첫 전기차 전용모델인 GV60의 신형 모델 개발에
[더구루=김형수 기자] 올해로 창립 78주년을 맞은 아모레퍼시픽이 글로벌 브랜드 라네즈는 통해 해외 시장 공략에 고삐는 죈다. 라네즈 대표 제품이 입소문을 타며 해외 현지 유통사로부터 러브콜이 끊이지 않고 있다. K-뷰티 선도 브랜드로서 앞으로도 글로벌 고객에게 최고의 제품을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라네즈는 영국 시장조사기관 테크나비오(Technavio)가 선정한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 키 플레이어로 꼽혔다. 존슨앤드존슨, 시세이도, 에스티로더 등 글로벌 뷰티 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아모레퍼시픽을 대표하는 브랜드 라네즈의 글로벌 진출에 적극적이다. 뷰티전문점 세포라와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아랍에미리트(UAE)를 비롯한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등 GCC 4개 회원국 내 세포라 매장에서 라네즈 주력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미국, 캐나다, 호주, 유럽 18개국 1370여개 세포라 매장에 입점했다. 영국과 중동 시장에 상륙하며 해외 시장 공략의 가속 페달도 밟았다. 영국 럭셔리 뷰티 멀티숍 스페이스NK(SPACE NK)에 공식 입점했다. 라네즈는 글로벌 대표 제품 립 슬리핑 마스크, 워터뱅크 크림 등을 선
[더구루=한아름 기자] 코카콜라가 '넷 제로'(Net-Zero·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선다. 그리스 에기오(Aigio) 생수 공장에 친환경 설비 보수를 검토한다. 지난 2017년 1700만유로(약 242억원)를 들여 2025년까지 탄소중립에 나서겠단 계획에 따른 것이다. 에기오 공장 역시 그리스 최초 탄소중립 공장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코카콜라의 투자를 독려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코카콜라가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그리스 에기오 생수 공장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구축 을 검토하고 있다. 에기오 공장은 'AVRA 내추럴 미네랄 워터'(AVRA Natural Mineral Water)를 생산 중이다.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패키지 개발(R&D)에 힘을 싣고 있다. 플라스틱 재활용을 통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약 23% 줄였다. 이달 말 뚜껑(캡)이 떨어지지 않는 패키지를 선봬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높이겠단 계획이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패키지로 2억5000만개 이상의 캡을 재활용할 수 있다. 이밖에 에기오 공장은 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비량을 지속 절감해왔다.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저공해차를 공장 내 운반차로 도입한 바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과 폴란드의 K2 전차 2차 이행계약 체결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폴란드에서 나왔다. 오래 기다린 양국 협상이 결실을 맺는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23일 폴란드 주간지 더블유프로스트(Wprost)와 군사 전문지 ZBiAM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폴란드형 K2 전차 K2PL 수출 계약을 수주 안에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매 물량은 약 180대, 60억 달러대(약 9조원) 규모로 알려졌다. 일부는 폴란드 글리비체시에 위치한 현지 국영 방산 기업 '부마르-와벤디(Bumar-Łabędy)'의 공장에서 생산될 전망이다. 부라므 와벤디는 폴란드 국영 방산 기업 PGZ(Polska Grupa Zbrojeniowa)가 지분 85.69%를 소유한 회사다. 독일 전차인 레오파드2의 폴란드향 '레오파드2PL' 생산을 맡고 있다. 앞서 K2 전차 2차 구매가 지연돼 일감이 사라지고 있다며 빠른 계약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22년 8월 60억 달러 규모의 K2 전차(180대) 공급 계약을 체결한 후 폴란드와 추가 수출 협상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PGZ와 K2PL 생산·납품을 위한 컨소시엄 계약을 연장했다. 당초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엔비디아, 퀄컴 등을 상대로 한 특허침해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 AMD로부터 고성능 반도체 연산기술 관련 특허를 넘겨받은 특허관리전문회사(NPE)가 권리 행사를 본격화하면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ITC에 따르면 ITC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오네스타 IP(Onesta IP, 이하 오네스타)'가 관세법 337조 위반 혐의로 엔비디아와 퀄컴, 원플러스, 낫싱을 제소한 특허침해 사건에 대한 조사를 개시하기로 의결했다. 향후 수개월간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며, 침해 여부와 구제 조치에 대한 예비결정은 올해 하반기 중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오네스타는 작년 11월 AMD로부터 약 100건의 특허를 양수한 뒤, 이 중 일부를 근거로 지난달 텍사스 서부지방법원과 ITC에 소송을 제기했다. 엔비디아와 퀄컴은 문제된 특허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를 생산·판매하고, 원플러스와 낫싱은 퀄컴의 칩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유통했다는 이유로 피고에 포함됐다. 쟁점이 된 특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간 동작 방식, 회로 구성, 그래픽 처리·스트리밍, 신경망 가속 등 고성능 연산 핵심 기술을 담고 있다. △US 8,854,381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