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반도체 산업 전반에 투자하는 KODEX 반도체 ETF가 순자산 4000억 원을 돌파해 4268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KODEX 반도체는 2006년 상장한 첫 반도체 ETF이자 국내 반도체 산업을 이끄는 핵심 관련주에 투자하는 최대 규모의 상품이다. 기초지수는 국내 반도체 산업 대표 기업을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한 KRX 반도체 지수를 추종한다. KRX 반도체 지수는 코스피, 코스닥 종목 중 반도체 섹터에 해당하는 41종목을 편입하며 회사 매출 중 반도체 비중이 큰 고순도 종목을 담고 있다. KODEX 반도체는 연초 이후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 시장 전망과 신규 호재성 소식 등에 힘입어 다른 국내 반도체 ETF보다 좋은 성과를 거두며 1개월 수익률 19.3%, 연초 이후 수익률 47.0%를 기록했다. 실제로 챗GPT 등 인공지능(AI) 산업의 열풍, 엔비디아의 역사적인 호실적 등으로 국내외 반도체 수요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고, 특히 메모리 반도체의 감산효과 또한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 등에 힘입어 KODEX반도체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초 이후 개인투자자들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CJ대한통운 인도 계열사 CJ다슬(CJ Darcl)이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이어 2년 연속 인정받았다. 지난 2017년 CJ대한통운에 인수된 CJ다슬은 기업과 직원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조성하는 등 상생경영에 앞장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기업문화 전문리서치 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는 15일 CJ다슬에 ‘2023-2024 인도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수여했다. GPTW는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과 협력해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을 선정하는 등 기업문화와 관련해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리서치 기관이다. 지난 30여년간 전 세계 1억명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왔다. 매년 60여개국에서 일하기 좋은 환경과 문화를 만드는 기업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이번 평가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혁신 △신뢰 △가치 △리더십 효율성 △인적 자본 극대화 △재무적 성장 등의 영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CJ다슬은 기업과 직원 사이의 신뢰와 성장이 꽃피울 수 있는 노동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는 평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상호 운용성 프로토콜 콘넥스트(Connext)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콘넥스트는 생태계 강화에 자금을 투입한다. 콘넥스트는 14일(현지시간) 전략적 투자 라운드를 통해 750만 달러(약 95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폴리체인 캐피탈, NGC 벤처스, 폴리곤 벤처스, IOSG 벤처스, 펜부시 캐피탈, KXVC, a_캐피탈, 노리미트 홀딩스, 팩터, 도키아 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콘넥스트는 이번 펀딩을 통해 2억5000만 달러 가치를 인정받았다. 콘넥스트는 2017년 설립됐으며 2018년에는 메타마스크, 더그래프 등에서 사용하는 최초의 결제 중점 레이어-2 확장성 시스템을 이더리움에 구축했다. 2019년에는 최초의 DAO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몰록다오(MolochDAO) 구축에 참여하기도 했다. 콘넥스트는 HTTP와 같이 모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고 모든 블록체의 자금과 데이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인터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코넥스트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콘넥스트 파운데이션 설립, 운영에 투입한다. 콘넥스트 파운데이션은 향후 프로토콜 개발을 관리하고 개발 보조금, 커뮤니티 주도 이니셔
[더구루=홍성환 기자] 월가에서 '헤지펀드 제왕'으로 불리는 켄 그리핀 시타델 최고경영자(CEO)가 중국 경제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중국 경제가 흔들릴 경우 미국 경제에도 심각한 충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유료기사코드] 그리핀 CEO는 15일 영국 파이낼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예상보다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이는 미국 경제가 연착륙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소비 지출이 중단되는 동시에 중국 경제가 과속방지턱에 부딪힐 경우 (미국 경제에) 추악한 원투펀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투자자에게 여전히 중요한 시장"이라며 "전 세계적인 변화가 이곳에서 일어나고 있고 이 시장에서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그리핀 CEO는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홍콩을 찾았다. 그리핀은 올해 중국 경제가 5% 이상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타델은 중국 당국에 해외 투자자가 중국 본토 거래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격 외국 기관 투자자 라이선스를 신청한 상태다. 미국과 중국 간 갈등 격화에도 미국 대표 기업이 여전시 중국 시장
[더구루=길소연 기자] 정태순 한국해운협회장이 여성 인력의 해사 분야 진출을 독려하고, 입지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정태순 회장은 1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세계 여성해사인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한 '제1회 IMO 병행행사'에 참석해 양성평등 실현을 촉구했다. 정 회장은 "모든 해운 분야에서 더 많은 여성 고용이 절실히 필요하다"며 "이는 해운업계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날 배에서 여성이 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며 "미래에는 배의 주체가 여성임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 회장은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교육'과 '전문인력 양성'이라며 인력 양성시 양성평등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 해양산업 종사자 중 여성 해사인은 30%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선박에서 일하는 여성 선원은 1.2%에 불과하며 93%는 여객선, 크루즈선 부원에 종사한다. 이에 해운업계는 여성 선원의 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IMO는 2021년 12월 제32차 총회에서 여성 인력의 해사 분야 진출을 독려하고,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매년 5월 18일을 '세계 여성 해사인의 날'로 지정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 글로벌X가 뉴욕 최고 직장에 선정됐다. 개방성과 협업, 다양성에 기반한 기업 문화가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다. 포춘과 그레이트 플레이스 투 워크는 15일 글로벌X를 뉴욕시 최고의 직장 중 하나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그레이트 플레이스 투 워크는 이번 선정 과정에서 글로벌X 직원들을 대상으로 17만 건 이상의 설문 조사 응답을 수집했다. 직원들은 자신의 경험에 대한 60개 이상의 피드백을 공유했다.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X 직원 95%는 자신의 회사에 대해 ‘일하기 좋은 회사’라고 응답했다. 직원 99%는 ‘경영진이 비즈니스 관행에 정직하고 윤리적’이라고 답했으며, 직원 98%는 ‘구성원들이 서로를 배려하며 특별한 이벤트를 축하해준다’고 응답했다. 글로벌X는 전세계 직원 수 250명을 돌파하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문제 해결과 창의적 사고, 협업, 성실성의 문화를 모범적으로 보여주는 직원을 적극 채용하고 있다. 글로벌X는 지난해에도 크레인스 뉴욕 비즈니스(Crain's New York Business)로부터 2년 연속 ‘뉴욕시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직장’에 선정된 바 있다. 또한 베스트 프랙티스 인스티튜트(Best Pr
[더구루=정예린 기자] LG디스플레이가 베트남 하이퐁 공장 생산라인 증설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내년 양산을 개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생산량을 늘리고 미래 수요에 대비한다. 15일 하이퐁시에 따르면 레 띠엔 저우(Le Tien Chau) 시 당서기가 이끄는 방한 대표단은 지난 13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김명규 LG디스플레이 사장과 회동했다. 양측은 현재 LG디스플레이의 투자 현황을 살피고 추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LG디스플레이 신규 투자 일환인 H3 공장은 내달부터 본격적인 증설 작업을 시작한다. 내년 양산이 목표다. H3 공장이 제품 생산을 통해 상업적 가치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하이퐁시를 비롯한 베트남 북부 지역에 새로운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현지 당국은 기대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21년 9월 14억 달러를 투자해 하이퐁 OLED 모듈 생산 공장을 증설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투자금은 이후 당초 계획보다 1억 달러 가량 늘어났다. 베트남 누적 투자 금액은 46억5000만 달러에 달해 현지 최대 투자기업이 됐다. 하이퐁 공장은 국내와 중국 광저우 공장에서 생산한 TV용 대형·스마트폰용 중소형 OL
[더구루=한아름 기자] 스탠다임이 글로벌 AI(인공지능) 신약 개발 시장에서 핵심 플레이어로 떠올랐다. 스탠다임이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며 관련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진다. AI신약 개발은 연구개발에 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차세대 기술로 일컬어지고 있다. 15일 미국 시장 조사기관 트랜스패런시 마켓 리서치(transparencymarketresearch·이하 TMR)는 2031년 AI신약 개발 시장 규모를 109억3000만달러(약 13조9500억원)로 추정했다. 2021년부터 10년 간 연평균 성장률은 36.1%에 달한다. TMR은 AI 신약 개발 관계자와의 인터뷰, 설문조사, 관련 시장 매출·점유율을 비교 분석했더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스탠다임이 AI 신약 개발 시장을 이끌 핵심 기업으로 선정됐다는 것이다. 이는 국내 기업 중 유일하다. 스탠다임은 △아톰와이즈(Atomwise) △클라우드 파마슈티컬즈(Cloud Pharmaceuticals) △바이오시메트릭스(BioSymetrics) △인시트로(Insitro) △인실리코 메디신(Insilico Medicine) 등과
[더구루=홍성일 기자] 싱가포르의 딥테크 스타트업 ZES(Zero-Error Systems)가 에어버스 등으로부터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ZES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ZES는 15일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750만 달러(약 95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에어버스 벤처스, 다트 패밀리 오피스 등이 참여했다. ZES는 난양이공대학교에서 시작된 딥테크 스타트업으로 고신뢰성 반도체 직접회로 신뢰성 테스트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ZES는 특히 저궤도 위성, 심우주 로버 및 착륙선, 전력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을 개발 중이다. 해당 산업에 사용되는 반도체에는 방사선 등 극한 환경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처리 능력을 갖춰야 한다. ZES는 방사선 관련 메커니즘을 깊이 이해하는 베테랑들이 극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반도체 기술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ZES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으로 글로벌 영업 및 마케팅 역량을 확대한다. 또한 제품 개발을 가속해 뉴스페이스 시대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ZES 관계자는 "ZES는 내방사선 반도체 솔루션을 개발하는 선구적인 스타트업이라는 자부심이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의회예산처(PBO)가 배터리 공장 건설 대가로 폭스바겐이 현지 정부로부터 받을 보조금은 16조원이 넘는다고 추정했다. 막대한 보조금 대비 경제적 효과는 크지 않다고도 지적했다. 보조금 대비 배터리 공장 건설 효과에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오며 캐나다 정부와 LG에너지솔루션·스텔란티스 합작사의 협상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PBO에 따르면 이브 지루 의회예산처장은 14일(현지시간) '폭스바겐의 배터리 공장에 관한 캐나다의 지원 분석 보고서(Fiscal Analysis of Canada’s Support for Volkswagen’s Electric Vehicle Battery Manufacturing Plant)'를 발표했다. 지루 처장은 캐나다 정부가 폭스바겐에 지급해야 할 보조금은 최대 163억 캐나다달러(약 16조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동일한 혜택을 준다고 가정해 산정한 금액이다. IRA는 미국에서 생산, 판매한 배터리셀과 모듈에 kWh당 각각 35달러, 10달러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작년 8월 미국의 IRA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 로봇개 '스폿'(Spot)이 새롭게 습득한 개인기를 뽐냈다. 어려운 동작을 매끄럽게 소화하는 모습에서 브랜드 기술력을 알렸다는 평가이다. 향후 스폿의 활동 영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CNN-News18은 최근 공식 유튜브 채널 쇼츠에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스폿'(Spot The Robot Dog Learns New Tricks) 영상을 게시했다. 약 1분 길이로 제작된 이 영상에는 제자리에서 현란한 춤동작을 선보이는 스폿의 개인기가 담겼다. 상·하체를 교차로 흔들며 웨이브를 하는가 하면 현란한 스텝을 자랑하며 관람객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스폿은 약 32kg의 본체에 카메라와 조명 등을 달고 있다. 배터리 수명은 90분, 시속 5km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계단을 오를 수도 있다.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단순히 지시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인공지능(AI)을 사용해 스스로 현장 상황에 대처할 수도 있다. 360도 카메라와 사물인터넷(IoT) 센서, 자율주행 프로그램 등을 탑재해 주변 장애물을 피해 최대 중량 14kg 화물을 싣고 이동할 수 있다. 특수 흡착 패드인 스마트 그리퍼를 장착
[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 항공기 제작사 엠브라에르 자회사 이브(Eve)의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출퇴근용으로 쓰일 전망이다. eVTOL 출퇴근이 현실화되면 대기오염과 교통체증, 도로 소음 등의 문제도 한층 더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15일 업계에 따르면 이브는 유나이티드 항공과 공동으로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내 eVTOL 통근 상용화를 추진한다. 2026년 유형 인증을 받고 eVTOL 상용화 이후 샌프란시스코와 그 주변 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UAM) 통근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지역 관공서 등과 협의하면서 경로, 제공되는 목적지, 버티포트(이착륙장)의 위치, 에너지 및 기술 제공업체의 선택을 고려 중이다. 이브의 eVTOL 출퇴근은 작년에 1500만 달러의 지분을 투자한 유나이티드와의 계약 이행이다. 유나이티드는 인구 밀도가 높고 도로가 포화된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최초의 항공택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었다. 앞서 유나이티드항공은 이브 에어 모빌리티에 1500만 달러(약 207억원)를 투자했다. 구매 계약서에는 eVTOL 총 200대가 적용되며, 200대 추가 구매 옵션이 포함됐다. <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