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제1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비교 견적 서비스가 곧 시장에 출시될 전망이다. 로보어드바이저 전문기업 파운트는 자회사 파운트파이낸스에서 출시 예정인 '온·오프라인 연계 주택담보대출 비교견적 서비스'가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규제 샌드박스)에 지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혁신금융으로 지정된 서비스는 주택담보대출 비교에 특화된 온·오프라인 연계형이다. 단순히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금리를 비교하는 것이 아닌 제1 금융권 은행 기준으로 한도를 조회하고 비교 견적을 통해 가장 유리한 조건의 대출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올 하반기 플랫폼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완전 비대면으로 진행이 어려운 주택담보대출의 특성을 고려해 플랫폼을 통해 금융기관과 연계된 대출모집인을 중개, 대출모집인에 의한 비교 견적 서비스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소비자가 플랫폼을 통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조회한 후 금융권 대출모집인들에게 견적을 요청하면 각 대출모집인이 제안한 견적 중 최적의 대출상품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해당 대출상품을 제안한 대출모집인과 대면 상담을 거쳐 대출을 실행하게 되는 구조다. 현재 국내 주택담보대출 시장은 소비자와
[더구루=홍성환 기자]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자회사 KB부코핀은행이 올해 들어 현지 현대차 구매 고객에 약 14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코핀은행은 올해 1~5월 현대차 선주문·딜러 파이낸싱 프로그램을 통해 총 3112대, 1조6000억 루피아(약 1400억원)를 지원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애초 올해 전체 목표로 잡았던 1조5000억 루피아(약 1300억원)를 초과한 수치다. 부코핀은행과 현대차는 앞서 작년 2월 현지 현대차 구매 고객에 대출을 제공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맺은 이후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본보 2022년 2월 22일자 참고 : 'K-은행', 현대차 업고 동남아 車금융 시장 공략 속도> 부코핀은행은 "부코핀은행과 현대차 간 협력이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면서 "자동차 산업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부코핀은행은 자동차 금융을 지속해서 활대할 계획이다. 전기차를 중심으로 자동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자금 수요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본보 2022년 11월 18일자 참고 : KB부코핀은행, 전기차 시장 정조준>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파생상품 시장인 시카고상업거래소(CME)가 탄산리튬 선물을 출시한다.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서다. CME는 관련 규제 검토를 마친 후 오는 7월17일 탄산리튬 선물 ‘탄산리튬 CIF CJK(Lithium Carbonate CIF CJK)’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탄산리튬 CIF CJK는 패스트마켓이 발표하는 배터리 등급 탄산리튬 평가에 따라 재정적으로 정산될 예정이다. 수산화리튬 CIF CJK(Lithium Hydroxide CIF CJK) 선물과 상호 보완적이며 시장 참여자들에게 다양한 배터리 화학 선호도에 대한 투명성과 선택권을 제공할 전망이다. CME는 최근 전기차 수요가 급증한데다 배터리 금속 판매도 덩달아 늘자 이번 상품 출시를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코발트 계약의 미결제 약정은 2만t(톤)을 넘어섰다. 수산화 리튬 계약 거래량도 현재까지 2000t 이상을 기록 중인데 이는 지난해 총 거래량보다 높은 수준이다. 수산화 리튬은 지난해 첫 6개월 동안 400t 가량 거래된 바 있다. 진 창 CME 글로벌 금속 부문 총괄은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는 가운데 두 번째 리튬 선물 계약을 출시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의 비정부기구(NGO) 프라하르(Prahar)가 텐센트의 신작인 오픈월드 생존 역할수행게임(RPG) 언던(Undawn)의 인도 서비스를 금지해야한다고 주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프라하르는 당국에 언던의 서비스를 금지할 것을 요청했다. 언던은 지난 15일 글로벌 서비스를 출시했다. 프라하르는 언던이 2020년 갈완 계곡에서 벌어진 중국·인도군 간의 국경분쟁의 모습을 담고 있다며 서비스 중단을 요구했다. 프라하르는 언던의 출시 일자와 인도군과 중국군이 충돌한 날짜가 같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해당 날짜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는 것. 또한 해당 게임에 AK47, G36, M416, MPX 등과 같은 무기와 중국군과 유사한 군복이 등장한다며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프라하르의 금지 요청에 인도 현지에서도 명분이 약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출시일의 경우 글로벌 서비스가 제공되는 날짜였기 때문에 우연히 겹친 것으로 조사를 받더라도 금지 사유가 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또한 무기의 경우에도 다수의 게임이 해당 총기들의 라이선스를 구매해 서비스하는 경우가 많기에 문제될 것이 없다고 봤다. 실제로 프라하르가
[더구루=김도담 기자]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에 비해 가격이 훨씬 저렴한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자동차가 연내 출시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중국 공업정보부는 21일(현지시간)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 2종을 포함한 중국내 신차 명단을 발표했다. 나트륨 전기차는 각각 체리자동차와 장링자동차 제품이다. 체리자동차는 CATL, 장링자동차는 패러시스가 개발한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다. 특히 장링의 나트륨 전기차는 이르면 연내 양산될 것으로 보인다. 패러시스 관계자는 "장링자동차와 협력관계를 맺고 하반기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A00 등급의 전기차와 이륜차 양산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고객사와 협력해 출시를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을 나트륨으로 대체한 제품이다. 나트륨은 리튬 가격의 50분의 1 정도에 불과하고, 매장량 역시 리튬의 1000배에 달해 핵심 소재의 안정적인 수급과 생산원가 절감에 효율적이다. 하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다는 치명적인 역점으로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배터리 업계와 학계는 나트륨 이온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기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수소연료전지시스템 브랜드 HTWO의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이 전기 항공기 동력원으로 탑재된다. 호주 전기 항공기 스타트업 도브테일 일렉트릭 에비에이션(Dovetail Electric Aviation, 이하 도브테일)이 미래 독점적인 통합 동력 장치 개발을 위해 해당 시스템 선점에 나섰다. 도브테일은 21일(현지시간) 현대차 HTWO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전기 항공기 파워트레인으로 채택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시험 비행에 나선 자사 전기 항공기 '아이언버드'(Iron Bird)에 HTWO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탑재하고 내년 초 본격적인 테스트에 돌입하겠다는 계획이다. 도브테일은 지난 2021년 시드니 에비에이션 홀딩스(Sydney Aviation Holdings)와 스페인 단테 에어로나우티컬(Dante Aeronautical)가 설립한 합작사이다. 기존 지역 고정익 항공기를 전기로 전환, 항공 운영자가 배기 가스가 없는 전기 동력 항공기로 지역 경로를 비행할 수 있도록 배터리와 수소 발전소를 포함한 전기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호주 지역항공사 렉스에어라인(Rex Airlines) 항공기를 개조해 전기 항공기로 전환하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과 성일하이텍이 스페인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 독일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이 좀체 속도를 내지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페인 시장의 문을 먼저 두드리며 유럽 배터리 재활용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스페인 배터리 재활용 기업 비플래닛팩토리(BeePlanet Factory)는 22일 삼성물산·성일하이텍 등과 스페인 나바라 지역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건설하기 위한 합작사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국-스페인 컨소시엄은 연간 생산량 1만톤(t) 규모 블랙 매스(폐배터리를 재활용하여 만든 금속 물질)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 오는 2025년 공장 가동을 시작한다. 연산 규모는 2만5000대 정도다. 투자액은 1850만 유로(약 260억원)다. 비플래닛팩토리 측은 "성일하이텍의 첨단 기술은 이베리아반도에서 대량으로 공급될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면서 "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추가 투자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성일하이텍은 이차전지 재활용 원천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상용화한 폐배터리 재활용 전문 기업이다. 전기차·휴대전화·노트북·ESS(에너지저장장치)·전동공구 등의 제품에
HD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눈독을 들인 멕시코 해양플랜트의 예산이 확정됐습니다. 올해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랠리가 이어지면서 1990년대 후반 발생했던 닷컴 버블(Dot-com Bubble)이 소환되고 있습니다. 폴란드 정부가 군사 장비 구매를 위해 한국으로부터 추가 대출을 받았다는 언론 보도를 부인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상세기사 'HD한국조선·삼성중공업 눈독' 멕시코 해양플랜트 9조 규모 사업비 확정 AI 붐, 닷컴 버블 재현? [단독] 폴란드 "한국산 무기 도입 조건 '20조 추가대출' 요구 사실 아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네이처리퍼블릭이 중국에서 상표권 무효판결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상표권 침해를 주장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지만 중국 당국이 예상 밖의 판결을 내렸기 때문이다. 중국 내 상표권 침해로 인한 피해가 국내 식품 기업에 이어 화장품 기업으로 확대되고 있는 모양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은 지난 3월말△自然共和国(자연공화국) △NATURE REPUBLIC(네이처리퍼블릭) 등 네이처리퍼블릭의 중국 상표 2개에 대해 무효 판결을 내렸다. 2013년 네이처리퍼블릭은 중국에 본격 진출하면서 自然共和国(자연공화국)과 영문 네이처리퍼블릭 상표를 등록을 마쳤다. 네이처리퍼블릭 제품을 모방한 가짜 제품이 중국 내에서 팔리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 상표권 침해 소송을 냈다. 중국 상점들 역시 재산권 침해 소송으로 맞불을 놓았다. 문제는 네이처리퍼블릭 상표 무효 소송에서 중국 당국이 현지 상점의 손을 들어준 것. 때문에 중국 정부기관의 이번 판단에 따라 네이처리퍼블릭 중국 시장에서 입는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앞서 중국에서 저작권 및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해 승소해 배상액을 받게 된 국내 식품기업과 달
[더구루=홍성일 기자] 국내 전기차 충전 플랫폼 기업 차지인의 파트너인 미국 BTC파워가 테슬라 슈퍼차저를 도입하기로 했다. 미국 최대 전기차 충전 플랫폼 중 하나인 BTC파워의 합류로 테슬라 슈퍼차저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로이터통신은 20일(현지시간) BTC파워가 2024년 테슬라 충전 방식인 북미충전규격(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을 충전 네트워크에 추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결정으로 BTC파워는 ABB, 트리티움, SK시그넷에 이어 테슬라 표준을 추가하는 네 번째 주요 급속 충전기 제조업체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BTC파워는 현재 미국 전역에 2만2000개 이상의 충전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중 절반이상이 고속 충전기다. BTC파워는 일렉트로파이 아메리카, 포드, 아마존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TC파워는 이번 결정으로 GM, 포드, 리비안 전기차와의 호환성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BTC파워가 테슬라 충전 표준을 채택하기로 하면서 현대차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현대차는 미국 전기차 충전 시장을 두고 테슬라와 경쟁을 펼치고 있다. 현대차는 뉴욕
[더구루=정등용 기자] 싱가포르 국부 펀드 테마섹의 지원을 받는 버텍스벤처스가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플랫폼 시르클로(Sirclo)에 투자했다. 시르클로의 기업 가치는 3억 달러(약 3900억 원)를 넘어섰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싱가포르 벤처캡 인사이트에 따르면 시르클로는 버텍스벤처스가 주도한 시리즈C 펀딩 라운드를 통해 1050만 달러(약 136억 원)를 유치했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서 시르클로는 주당 90달러에 11만6176주를 배정했다. 시르클로의 총 투자 유치 금액은 1억 달러(약 1290억 원)로 증가했으며, 기업 가치는 3억4280만 달러(약 4430억 원)를 기록하게 됐다. 지난 2013년 설립된 시르클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기업이 온라인 스토어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한 브랜드가 다른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 활동을 할 수 있는 채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르클로는 인도네시아 물류 기업 와룽 핀타르(Warung Pintar)를 인수하며 소규모 상점을 위한 디지털 제품 및 서비스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현재 2500만 명 이상의 개인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15만 개 이상의 브랜드가 입점해 있다. 시르클로는 지난
[더구루=정예린 기자] 인도네시아 BS에너지(PT. BS Energy)가 현지 발전설비 업체와 손잡고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신규 거점을 마련해 새로운 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21일 리아우제도 탄중피낭시에 따르면 Hj.라마 시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자카르타 모처에서 김재무 BS에너지 사장, 구나완 군 드레돌프 인도네시아(PT. Dredolf Indonesia) 사장과 투자를 위한 3자 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BS에너지와 드레돌프는 탄중피낭시에 150헥타르 규모 녹색 산업 단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1만여 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계약은 탄중피낭시 최초 대규모 투자 사례다. 양측은 내달 탄중피낭시에서 구체적인 프로젝트 계획을 발표하고, 공사를 시작한다는 목표다. BS에너지는 2013년 설립된 인도네시아 에너지 발전 업체다. 한국인을 사장으로 두고 있으나 현지에서만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중부발전의 인도네시아 수력발전 사업에 핵심 파트너사로 참여하며 협력했다. BS에너지는 중부발전의 △왐푸(45MW) △땅가무스(55MW) △시보르빠(114MW) 수력사업을 공동 추진한 바 있다. 라마 시장은 "탄중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