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이 응우옌 안 뚜언(Nguyen Anh Tuan) 베트남 탄콩그룹(Thanh Cong Group, 이하 TC그룹) 회장과 만나 양사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미래 전략을 세웠다. 26일 TC그룹에 따르면 장재훈 사장은 지난 23일 TC그룹 본사를 방문, 응우옌 안 뚜언 회장과 만나 전략적 협력 관계 증진 방안을 모색했다. 현지 판촉활동 강화를 위한 신차 출시 계획과 내달 현지 생산하는 브랜드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 판매 전략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뤘다. 특히 가까운 미래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TC그룹은 건설 관련 사업을 주력으로 23개의 계열사를 보유한 베트남 대기업이다. 지난 2009년부터 현대차 공식 파트너로 활동한 TC그룹은 지난 2017년 현대차와 생산합작법인 현대탄콩(HTMV)를 설립한 데 이어 2021년 판매합작법인(HTV)도 세운 바 있다. 특히 장 사장은 올해 사업 성과에 대한 기쁨을 표하면서 "베트남에서 가장 큰 자동차 제조업체가 되겠다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TC그룹과) 지속해서 좋은 협력 관계를 유지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실제 현대탄콩은 올해 들어 5월까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최대 아시안 슈퍼마켓 H마트가 확산일로다. 유타주·텍사스주·네바다주에 신규 매장을 오픈한다. K푸드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H마트가 연내 △유타주 웨스트 조던 △텍사스주 댈러스에 신규 매장을 출점한다.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는 내년 매장을 연다. 특히 웨스트 조던 매장은 H마트가 유타주에 첫 선을 보이는 곳인 만큼 K푸드의 인기를 방증하는 사례라는 평가다. 댈러스에서는 매장 6곳을 운영 중으로, 북서부에 위치한 한인타운에 신규 매장을 연다. 최근 댈러스시의회와 논의 끝에 350만달러(약 45억7700만원)규모의 보조금과 세금 혜택을 받았다는 설명이다. 내년엔 라스베이거스 사하라 파빌리온 사우스 쇼핑센터에 5068㎡ 규모의 매장을 출점할 예정이다. 쇼핑센터는 하루 9만대의 차량이 오고가는 대형 상권인 만큼 H마트의 매출 약진에 기대감이 실린다. H마트가 매장 확대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H마트에 납품 중인 CJ제일제당과 농심 등 식품 기업도 반사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H마트는 1982년 미국 동부에서 설립돼
[더구루=김도담 기자] 삼성전자의 지난해 한국 특허출원이 전년도 대비 절반으로 크게 줄며, 2년 연속 특허출원 감소의 '늪'에 빠졌다. 영국 지식재산권 미디어 IAM이 최근 발표한 '2022년 한국 특허출원 현황'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1만2437건의 특허를 출원, 전년도인 2021년(2만4250건)의 절반 수준에 머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특허출원 감소로 삼성전자의 특허출원 감소세는 2년 연속 이어졌다. 2020년 2만6787건의 특허를 출원한 삼성전자는 2021년과 2022년 역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자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도 상황은 비슷하다. IAM은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 특허출원이 4347건에 그치며 전년도 8000건 이상에서 50% 가까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5년 동안 11만4969건에 달하는 한국특허를 출원하며 국내에서 압도적인 지식재산권 경쟁력을 보였다. 그 뒤를 LG전자와 LG화학이 이었으며 4위와 5위는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다. LG전자와 LG화학의 특허출원 감소세도 이어지고 있다. 이들 기업은 2018~2022년 각각 6만3645건, 3만3191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하지만 지난해 특허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방문과 함께 진행된 베트남 정보통신부 방문에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디지털 파트너십에 대해서 논의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이 장관은 23일(현지시간) 베트남 정보통신부를 방문해 응우옌 만 훙(Nguyen Manh Hung) 장관과 회담을 가졌다. 이날 접견에는 베트남 정부내 ICT 부서 책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응우옌 만 훙 베트남 정보통신부 장관은 이 장관에게 "한국의 디지털 전환 경험과 솔루션 등을 공유하고 협력을 강화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특히 베트남 정보통신부가 큰 관심을 보인 부분은 전자정부 부문이었다. 베트남 정부는 디지털 정부, 디지털 경제, 디지털 사회를 축으로 디지털 제도를 완성하겠다는 마스터플랜을 세운 상황으로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한국의 전자정부 구축 노하우에 대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지난해 UN이 발표한 2022 세계 전자정부평가에서 0.9529점을 얻어 덴마크, 핀란드에 이은 3위를 기록한 바있다. 응우옌 만 훙 장관은 한국 과기정통부와 협력을 강화하고 디지털 파트너십에 관한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베트남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
[더구루=정등용 기자] 노무라증권은 포스코퓨처엠의 목표 주가를 기존 41만원에서 47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한다고 26일 밝혔다. 노무라증권은 포스코퓨처엠의 추가 수주가 주가 상승을 이끌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코퓨처엠은 올해 6월까지 100조원이 넘는 양극재 수주 계약을 체결한 상황이다. 증권가에선 이미 포스코퓨처엠의 목표 주가 상향이 이어지고 있다. 신영증권은 포스코퓨처엠에 대해 올해 2분기 이익률 정상화가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12% 올린 45만원으로 제시했다. 신영증권은 “올해 2분기를 기점으로 북미 얼티엄셀즈(Ultium Cells)에 공급하는 하이니켈 N83 제품 출하가 본격 개시되며 물량 효과가 본격화 할 것”이라며 “올해 양극재 출하량은 약 7만톤으로 작년 대비 102%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안타증권도 포스코퓨처엠의 목표 주가를 47만3000원으로 제시했다. 유안타증권은 “대규모 수주 계약으로 하반기 수주 모멘텀 부재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서도 “주요 고객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가 여러 기업과 합작법인(JV)를 맺은 상태로 추가 수주 모멘텀이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부문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전기스쿠터 시장 확대를 노리는 인도네시아 '일렉트럼'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원하고 있다. 일렉트럼 신공장에서 생산하는 최대 100만 대의 전기스쿠터에 'LG 배터리' 탑재가 이뤄지길 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일렉트럼은 지난 23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서자바주 브카시 GIIC 공업단지에 전기스쿠터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 신공장에는 연구센터와 테스트 트랙 등이 포함된다. 일렉트럼은 내년 중반부터 생산에 돌입해 연간 25만 대를 양산한다. 3000~5000대를 반조립(CKD) 형태로 내년 9월 생산한다. 전체 전기스쿠터 부품 중 40%를 인니산으로 채워 가격 경쟁력도 확보한다. 인니 정부는 현지에서 만든 부품을 40% 이상 사용한 전기스쿠터를 구매할 시 700만 루피아(약 60만원) 상당의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3월 전기스쿠터 20만 대가 보조금을 받았었다. 일렉트럼은 인니 석탄회사 TBS 에너지 우타마와 고투그룹이 절반씩 투자해 2021년 설립한 합작사다. 출범 직후 향후 4년 동안 전기차 생태계 개발에 10억 달러(약 1조3100억원)를 쏟겠다고 발표하며 공격적인 투자에 나섰다. 일렉트럼은 4년
[더구루=김형수 기자]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PMI)이 우크라이나에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지난해 생산을 재개한데 이어 신규 생산시설 조성에 나서며 현지 사업 확대에 힘을 쏟는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필립모리스는 3000만달러(약 39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투입해 우크라니아 서쪽에 위치한 도시 리비우(Lviv)에 공장을 설립한다. 다음달 신규 공장 건설을 위한 준비작업을 본격화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리비우에 설치되는 생산라인은 내년 1분기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필립모리스는 제조 업무를 중심으로 리비우 공장에서 250명 이상의 직원을 채용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가동이 중단된 하르키우(Kharkiv) 공장 노동자들에게 우선 채용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필립모리스가 우크라이나 내 자체 생산 시설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지 한달 여만에 구체적 계획이 나온 것이다. 필립모리스는 전쟁 발발 이후 해외 공장 생산 물량을 우크라이나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현지 사업을 전개했다. <본보 2023년 5월 25일 참고 필립모리스, 우크라이나 공장 생산 재개…중단 15개월만&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폴란드 위성 시스템 제조사인 크레오테크 인스트루먼츠(Creotech Instruments, 이하 크레오테크)와 소형 위성사업에 협력한다. 크레오테크와의 협력을 통해 유럽 소형 위성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한 셈이다. 26일 크레오테크와 업계에 따르면 한화시스템은 지난 20일(현지시간) 크레오테크와 위성사업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의 협력 목표는 파트너간 기술적 잠재력을 활용해 군사 및 산업 부문을 위한 공동 개발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크레오테크는 양자 컴퓨터 제어 시스템과 기타 응용 분야를 위한 고급 전자 장치 뿐만 아니라 위성 시스템, 구성 요소를 제조한다. 폴란드에서 유일하게 마이크로위성, 즉 무게가 10kg에서 수십kg에 이르는 위성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자체 전자 제조 공장과 소규모 위성 통합 시설을 운영한다. 그르제고르즈 브로나(Grzegorz Brona) 크레오테크 최고경영자(CEO)는 "크레오테크는 첨단 전자, 위성 시스템 분야에서 개발한 기술을 아직 상용화하지 못했지만 한화시스템과 같은 첨단 기술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한화시스템은 크레
[더구루=최영희 기자] 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 전문기업 ㈜휙고와 교통카드 운영사 로카모빌리티㈜는 8월부터 교통카드 기반 공유 개인형이동장치(PM) 결제·정산 플랫폼 '태그라이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태그라이드는 기존 공유 PM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다소 번거로웠던 단점을 일반적인 대중교통 결제방식인 교통카드를 찍는 것으로 해결한 서비스 플랫폼이다. 즉, 이전까지 공유 PM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공유 PM 운영사별 스마트폰 앱을 설치해야 했다. 다시 말해 이용자는 공유 PM을 이용할 때마다 해당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 및 실행하고 QR코드를 스캔하는 등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쳐야만 했던 것. 반면, 태그라이드가 적용된 공유 PM은 버스, 지하철을 타듯 카드를 찍는 것만으로 즉각 이용할 수 있다. 그간 여러 공유 PM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각각의 앱을 모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 셈이다. 현재 운영 중인 기존 공유 PM 어디에든 태그라이드 단말기만 부착하면 교통카드를 찍고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휙고와 로카모빌리티는 8월부터 태그라이드 서비스를 전국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며, 현재 전국 확대를 위한 우선적용지역을 선별하고 있다. 또
[더구루=김형수 기자] 동서식품이 지난 2018년 4월 문을 연 맥심플랜트가 도심 속 커피정원으로 자리매김했다. 다른 커피 전문점에서 즐길 수 없는 차별화된 커피 문화와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부상하며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맥심플랜트 누적 방문객 숫자는 94만여명(4월말 기준)에 달한다. 다양한 체험을 해볼 수 있는 것은 물론 독특한 커피도 맛볼 수 있다는 점이 인기 요소로 꼽힌다. 동서식품은 복합 문화공간 맥심플랜트에서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커피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커피 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 매월 신청자에 한해 지하 2층 아카데미에서 커피 한 잔이 나오기까지 전 과정을 소개하는 베이직 클래스, 직접 커피를 볶고 추출하는 로스팅 클래스 등이 개최되고 있다. 커피에 관한 모든 과정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오픈 5년 기념 이벤트도 준비했다. 오는 8월 31일까지 맥심플랜트 지하 2층에 올해 출시한 프리미엄 캡슐커피 카누 바리스타를 경험할 수 있는 카누 캡슐 라운지를 운영한다. 카누 캡슐 라운지에서는 △카누 캡슐 커피 무료 시음 △카누 굿
[더구루=윤진웅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응우옌 득 하이(Nguyen Duc Hai) 베트남 국회부의장과 회동했다. 현지 전기차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투자와 지원에 적극 나서기로 뜻을 모았다. 26일 베트남 정부와 현지 언론에 따르면 정의선 회장은 지난 23일(현지시간) 응우옌 득 하이 국회부의장과 만나 현지 투자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혁신 센터와 연구개발(R&D) 센터 설립을 비롯해 미래 전기차 인재 양성을 위한 교환 학생 프로그램 지원 등 친환경 모빌리티 사업 관련 기반 마련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빠른 시일 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포괄적·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기로 합의했다. 응우옌 득 하이 부의장은 현대차그룹 현지 합작사인 현대탄콩과 타코기아의 활약을 높이 평가하면서 "현대차그룹이 베트남에서 장기적인 생산 및 비즈니스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만들겠다"고 강조했고, 정 회장은 "베트남 정부의 지원 덕분에 최근 몇 년간 여러 성과를 거뒀다"며 "전기차 등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 개발 경험과 기술을 베트남과 공유하겠다"고 화답했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를 앞세워 현지 시장 점유율을 대폭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현지 정부가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도 드론기업 아이디어포지(ideaForge)의 기업공개(IPO)에 앵커 투자자로 참여했다. 아이디어포지는 IPO 자금을 활용해 제품 카테고리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26일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따르면 아이디어포지는 앵커 투자자들로부터 25억5000만 루피(약 400억 원)를 조달했다. 앵커 투자자는 IPO를 앞둔 기업의 지분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상장 흥행과 성공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 법인은 앵커 투자자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이 밖에 △노무라 △인베스코 △HSBC △ICICI △프루 뮤추얼펀드 △HDFC 뮤추얼펀드 △골드만삭스 등이 참여했다. 아이디어포지는 앵커 투자자들에게 주당 672루피의 발행 가격으로 379만3000주를 할당했다. 아이디어포지는 이달 초 프리 IPO 펀딩 라운드에서 6억 루피(약 100억 원)를 모금한 바 있다. 당시 라운드에는 △타타 AIG 제너럴 인슈어런스 △모틸랄 오스왈 뮤추얼 펀드 △씽크 인베스트먼트 PCC △360 원 자산 관리 같은 기관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아이디어포지는 IPO를 위해 주당 638~672루피의 가격 밴드를 설정했다. 청약은 오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