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미국 텍사스 기가팩토리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자체 신재생 에너지 기반 인프라를 확보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조달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트위터리안 '조 테그마이어'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달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기가 텍사스' 인근에 마련한 별도 부지에 메가팩 설치를 시작했다. 계획한 총 68개의 메가팩 중 6개를 구축했다. 테슬라는 작년 3월 당국에 메가팩 설치 프로젝트 제안서를 제출했다. 53에이커 규모 부지에 68개의 메가팩을 설치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메가팩은 1개당 1.9MW급으로 구성, 총 136MW의 용량을 자랑한다. 2시간 사용 기준 262.1MWh의 에너지를 낼 수 있다. 메가팩은 공장 운영 전반에 필요한 전력을 조달하는 주요 공급원으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기가팩토리 내 생산시설 등 건물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통해 확보한 에너지를 메가팩에 저장한다. 유틸리티 운영이나 생산라인 가동 등에 저장해둔 에너지를 사용한다. 메가팩 설치가 완료되면 테슬라는 기가텍사스 자체 전력망을 구축하게 된다. 지난 2021년 미국 전역을 휩쓴 한파로 텍사스주가 큰 정전 피해를 입은 가
[더구루=오소영 기자] 러시아 국영 원전 기업 로사톰이 현지 지방 정부로부터 배터리 기가팩토리 건설 승인을 받았다. 한국 배터리 제조사 에너테크인터내셔널(이하 에너테크)의 기술을 토대로 공장 건설에 착수하고 2025년 배터리를 양산한다. 4일(현지시간) 루포스터(Ruposters) 등 러시아 매체에 따르면 칼리닌그라드 당국은 로사톰의 배터리 기가팩토리 건설을 승인했다. 로사톰은 2021년 9월 배터리 기가팩토리 건설을 공식 선언했다. 2010년 원전 건설을 추진했다 중단한 부지를 활용한다. 당초 연산 3GWh 규모로 발표했으나 4GWh로 늘었다. 투자액도 263억5000만 루블(약 3800억원)에서 510억 루블(약 7300억원)로 뛰었다. 로사톰은 현지 정부의 승인을 받으며 건설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다. 에너테크의 기술을 기반으로 2025년부터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2001년 설립된 에너테크는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이온폴리머 이차전지 모듈·팩을 생산하는 업체다. 로사톰은 2021년 3월 자회사 레네라를 통해 에너테크 지분 49%를 인수했다. 이어 이듬해 동일한 규모로 추가 지분을 매입하며 배터리 기술 확보에 나섰다. 로사톰은 점차 증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인도네시아에서 상반기에 이어 추가적인 신규 인력 확보에 나섰다.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는 5일 투자 전문가 직무를 담당할 신입 직원 채용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채용은 전공과 상관 없이 모든 학부 졸업생이 대상이다. 자본시장과 금융산업에 대한 폭 넓은 지식과 이해가 있어야 한다. 또한 학습에 대해 열망적이고 목표 지향적이어야 하며 폭 넓게 소통 가능한 네트워크를 보유해야 한다. 이번에 채용하는 투자 전문가는 신규 고객 확보 프로세스를 담당한다. 합격자는 자카르타 남부 케바요란 바루에서 근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는 올 상반기에 상경 및 전산 관련 전공자를 대상으로 △재무 △투자 정보 △개발 보안 운영 △위험 관리 등 4개 직군에 대한 채용을 진행한 바 있다. 한편,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는 미래에셋증권의 인도네시아 법인으로 지난 2013년 공식 출범 후 현지 최대 증권사로 성장했다. 주식 거래액은 지난해 말 기준 591조 루피아(약 51조 원)에 이른다. 거래 빈도와 거래량은 최근 3년 간 인도네시아 증권사 중 최대 규모를 기록 중이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프랑스 제약사 OSE이뮤노테라퓨틱스(OSE Immunotherapeutics·이하 OSE이뮤노)가 비소세포페암 치료제 '테도피' 의 미국 특허를 획득했다. 테도피 국내 판권을 보유한 종근당에 호재가 될 것으로 점쳐진다. [유료기사코드] OSE이뮤노는 현지시간 4일 미국 특허청에 '멀티에피토프 조합'(multiepitope combination) 관련 특허 등록을 마쳤다. 멀티에피토프란 테도피에 포함된 모든 펩타이드(단백질 소단위)를 말한다. 비소세포폐암 펩타이드 항원을 표적으로 작용하는 기술이 주요 골자다. 이 특허는 미국에서 2037년까지 보호받는다. OSE이뮤노는 미국에서 고유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며 테도피의 가치가 제고됐다는 입장이다. 니콜라스 푸아리에(Nicolas Poirier) OSE이뮤노 최고경영자(CEO)는 "첨단 제약·바이오 기술의 본산 미국에서 테도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며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생태계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하겠다"고 전했다. 테도피가 미국 특허를 획득함에 따라 향후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종근당에도 긍정적인 기류가 감지된다. 종근당은 2019년 11
[더구루=김형수 기자] 락앤락이 중국 환경당국으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적절한 환경보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가 덜미를 잡혔다. 지난해 중국 국세청으로부터 세금 체납을 적발당한 데 이어 올해는 환경오염 방지 관련 법률 위반에 따라 처벌을 받았다. 현지 시장 내에서의 이미지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 장쑤성 쑤저우공업원구생태환경국(苏州工业园区生态环境局)은 지난 5월 29일 락앤락에 14만위안(약 2500만원) 벌금 부과했다. 중국 대기오염방지법 45조, 중국 고체폐기물환경오염방지법 77조 등을 위반했다는 이유에서다. 쑤저우공업원구생태환경국은 지난 3월 21일 환경법 집행관이 대규모 산업단지인 쑤저우공업원구 내에 자리한 락앤락 공장을 대상으로 펼친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3월16일 공장 옥상에 있는 UV 설비가 우천으로 인해 침수돼 고장나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 다는 이유에서 4만위안 벌금이 부과됐다. 락앤락은 담당자 휴가 기간이 겹치며 3월22일에야 수리를 완료했다고 해명했다. 또 유해 폐기물을 별도로 관리하는 과정에서 유해폐기물 식별 표지를 부착하지 았았다가 적발돼 10만위안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락앤락은 신속히 유해폐기물 식별
[더구루=길소연 기자] 장금상선이 컨테이너선 2척을 세계 1위 컨테이너선사 스위스 MSC에 매각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장금상선은 MSC에 8000TEU급 컨테이너선 2척을 2억 달러(약 2604억원)에 판매했다. 매각 금액은 척당 1억 달러(약 1300억원)이다. 매각된 선박은 MSC의 중남미 항로 등 중소형 선박 서비스에 배치된다. 장금상선은 "MSC에 선박 2척을 매각한 건 내부적으로 결정된 사항"이라며 매각 사유에 대해 말을 아꼈다. MSC는 선대 확충 차원에서 신조 발주와 중고선을 매입하고 있다. 이번 중고선 매입 외 아시아 조선소에 8000TEU급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를 검토 중이다. <본보 2023년 6월 13일 참고 MSC, 8000TEU급 컨테이너선 대량 발주 추진…한국·중국 물망> MSC가 잇따라 선대 확충에 나서는 건 선복량 증대를 위해서다. MSC는 2021년 8월부터 16개월 동안 125척의 중고선을 인수하고, 신조 발주에 주력해왔다. 지난해에는 선대를 늘리며 덴마크 해운선사 머스크의 선복량을 앞서며 세계 1위 선사로 올라섰다. 프랑스 해운조사 기관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MSC 선복량은 지난 5월 기준으로 495만TEU, 전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호주 시장에서 판매하는 신형 니로 가격을 최대 7만2360 호주 달러 인상했다. 고전압 배터리 사용과 시스템 장치 업그레이드에 따른 비용을 반영했다. 5일 기아 호주판매법인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호주 시장에 2024년형 니로를 출시했다. △HEV S △HEV GT 라인 △EV S △EV GT 라인 등 총 4가지 트림으로 구성했다. 현지 판매 가격은 4만4930~7만2360 호주 달러(한화 약 3913만~6302만 원)으로 책정했다. 기존 판매 가격보다 260~1290 호주 달러(약 22만~112만 원)가량 비싸졌다. 고전압 배터리 사용에 따른 장비 추가와 시스템 장치 변형에 따라 가격을 인상했다는 설명이다. 기존 사전 예약 고객들에게까지 이번 가격 인상안이 반영될지 여부는 불확실한 상태이다. 가장 높은 인상 폭을 나타낸 모델은 니로 EV S이다. 기존 8.0인치 터치스크린을 10.25인치 터치스크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교체하면서 비용이 증가했다. 위성 내비게이션을 제공할뿐 아니라 비상 호출, 원격 제어, 차량 상태 모니터링 기능, 인공지능(AI) 음성 명령 기능을 탑재한 기아 커넥트 텔레매틱스 시스템이 적용됐다. 초도 물량은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초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상화폐) 거래소 코빗이 창립 이후 10년간 총 91조7000억 원이 넘는 거래액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이용자는 136만명에 달했다. 5일 코빗은 창립 10주년을 맞아 이같은 내용의 경영 성과를 발표했다. 건전한 가상자산 투자 문화 조성과 동시에 업계의 모범이 되는 거래소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비트코인이라는 단어조차 생소했던 10년 전 코빗은 국내 가상자산업계의 개척자로서 지금의 가상자산업계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실제 지난해 테라·루나 사태, FTX 파산 등 가상자산 관련 다양한 사건·사고가 잇따르면서 가상자산 거래소의 운영 건전성이 화두로 떠올랐다. 이에 코빗은 내부 통제 강화 및 바람직한 가상자산 투자 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 도입에 앞장섰다. 특금법 시행 이후 업계 최초로 2021년 11월 오픈한 코빗 리서치센터가 대표적이다. 뉴욕 금융권에서 20여 년간 경험을 쌓은 정석문 리서치센터장을 필두로 한 코빗 리서치센터는 가상자산 투자의 정보 비대칭성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코빗은 지난해 11월부터 국내 최초로 자사 가상자산 보유 수량과 지갑 주소를 매일 업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에서 아마존 프라임데이에 참가, '통 큰' 할인을 제공한다. 가격 경쟁력을 갖춰 갤럭시 모바일 기기 판매 확대에 나선다. 삼성전자 일본법인은 지난 4일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개최되는 '아마존 재팬 프라임 데이'에서 일부 제품을 올해 최저가로 판매한다"고 밝혔다. 할인 대상 제품은 △갤럭시탭 S6 라이트 △갤럭시탭 S8 △갤럭시워치 5 등이다. 이중 갤럭시탭 S6 라이트는 삼성전자가 일본 내 갤럭시 생태계 확장을 위해 지난달 23일 출시한 최신 제품이다. 현지 주요 유통망인 아마존을 통해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태블릿, 스마트 워치 등 모바일 기기 판매를 제고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겠다는 포석이다. 삼성전자의 일본 모바일 사업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왔다. 일본은 애플이 압도적인 점유율로 모바일 시장을 꽉 잡고 있고 소니, 샤프 등 현지 브랜드들도 강세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플래그십 모델인 갤럭시 S시리즈 판매 호조를 계기로 일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갤럭시 S23 울트라 자급제 모델을 출시하는 등 유통 경로를 다변화하고 다양한 프로모션 활동을 전개한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회사와 합병을 추진 중인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가 증권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미국 증권당국과 합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합병이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나스닥에 상장된 스팩인 디지털월드애퀴지션(DWAC)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증권법 위반 혐의에 대해 잠정적으로 합의했다고 5일 밝혔다. 이에 DWAC는 1800만 달러(약 230억원)의 벌금을 낼 예정이다. DWAC는 앞서 지난 2021년 10월 트럼프가 설립한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이후 증권법 위반 혐의 등이 불거지면서 2년 가깝게 지연되고 있다. 양사가 합병 계약을 체결하기 전인 2021년 3월부터 논의를 시작했다는 의혹을 제기됐다. 미국 증권법은 스팩이 증시에 상장하기 전 합병 파트너 간 논의를 금지하고 있다. DWAC는 그해 9월 말 상장했다.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관련 의혹을 조사 중이다. TMTG는 지난해 2월 소셜미디어(SNS) 서비스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출시했다. 이는 작년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CGV의 자회사 CJ 4D플렉스(4DPLEX)가 동남아시아 공략에 고삐를 죄고 있다. 태국 멀티플렉스 업체와 손잡고 태국과 캄보디아에 스크린X 특별관 추가 조성에 나섰다. 글로벌 시장 내 영향력 확대에 힘을 쏟는다는 전략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CJ 4D플렉스는 동남아시아에서 영화관 사업을 펼치는 태국 메이저 시네플렉스(Major Cineplex)와 태국과 캄보디아 신규 스크린X 영화관 설치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에 따라 태국 방콕에 위치한 유명 쇼핑센터 아이콘시암몰(ICONSiam Mall)과 캄보디아 프놈펜에 자리한 캄보디아 최대 쇼핑몰 프놈펜 이온몰(Aeon Mall Mean Chey)에 스크린X 상영관이 설치될 예정이다. 비차 풀바랄루크(Vicha Poolvaraluk) 메이저 시네플렉스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연예전문지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스크린X는 태국 영화팬들로부터 뜨거운 반응과 피드백을 받았다"면서 "캄보디아에 설치될 스크린X 상영관도 호응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스크린X는 전면 스크린과 스크린 좌측, 우측에 있는 벽면 등 3면을 스크린을 활용한 270도 파노라마 영상을 감상할
[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영국 금융전문지 더뱅커(The Banker)가 선정한 우리나라 최고의 금융사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수익성과 건전성이 크게 개선된 데 따른 것이다. 5일 더뱅커가 공개한 '2023년 세계 1000대 은행' 보고서를 보면 우리금융은 총점 5.03점으로 국내 금융사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우리금융은 위험 수익률과 유동성 부분에서 각각 4.19점, 5.81점으로 1위였다. △레버리지(4.21점) △자산건전성(6.41점) △수익성(4.75점) 등 부문에서는 2위였다. 티어1자본은 220억7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4% 증가했다. 더뱅커는 "우리금융은 세계 1000대 은행 순위의 기준이 되는 지난해 실적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순이익이 3조1693억원으로 전년 대비 22.4% 성장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총점 4.89점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금융은 수익성(4.81점)과 건전성(4.79점), 레버리지(4.27점) 등 부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전년 대비 1.5% 증가한 4조6423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3년 만에 업계 1위에 올랐다. 이어 △하나금융그룹(4.83점) △KB금융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가 개인이 본인의 주거구역 상공을 비행하는 드론을 격추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내용을 담은 법을 만든다. 하지만 연방법은 물론 기존 주법과 상충될 가능성이 커 우려가 제기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플로리다주 상원은 무인 항공기의 비행금지 구역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CS/CS/SB 1422' 법률안을 심사하고 있다. 주택 상공 드론 금지법은 지난 2월 2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상원에 제출된 이후, 소위원회 등의 심사 등을 빠르게 통과했다. 현재 해당 법안은 현재 상원 본회의 표결을 앞두고 있으며, 통과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통과 시 법안 발효는 올해 10월부터다. 해당 법안이 발효되면 500피트(약 150m) 이하로 비행하는 드론이 주택 상공에 침입하면, 거주자는 합법적인 방법으로 드론을 파괴할 수 있다. 주택 상공 드론 금지법이 등장한 이유는 드론에 의한 사생활 침해 우려때문이다. 실제 법안에도 "주택 소유자는 드론이 사생활을 침해하지 못하도록 합리적인 힘을 행사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플로리다주 주택 상공 드론 금지법이 통과를 앞두고 되면서 기존 연방법·주법과 상충하는 부분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그래픽처리장치(GPU) 없이도 구동되는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모델은 메모리 사용량도 극적으로 감소시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최근 AI모델 공유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 등을 통해 20억 파라미터(매개변수)를 보유한 '비트넷 b1.58 2B4T(BitNet b1.58 2B4T)' AI 모델을 공개했다. MS는 비트넷이 메모리 용량과 필요 에너지, 지연시간 등 계산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MS의 비트넷의 가장 큰 특징은 AI모델 구동의 핵심 하드웨어인 GPU를 사용하지 않고 중앙처리장치(CPU) 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비트넷이 CPU만으로 AI모델을 구동할 수 있는 이유는 가중치(weights)값이 단순화됐기 때문이다. 비트넷은 AI 모델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가중치 값으로 -1, 0, 1만 사용한다. 이에 연산에 필요한 가중치를 1.58비트로 줄일 수 있었다. 반면 일반적인 AI모델의 경우 16비트 또는 32비트 부동 소수점을 가중치로 활용한다. 기존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