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과 성신RST가 탄자니아에 전동차를 속속 인도하고 있다. 현대로템과 성신RST 모두 수주 실적을 바탕으로 탄자니아를 비롯해 향후 아프리카 철도시장에서 사업 확대를 기대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탄자니아 철도공사(TRC)는 현대로템과 성신RST로부터 주문한 열차를 인도받고 있다. 현대로템은 이달 중 전동차 1량과 전기기관차 2량의 인도할 계획이다. 성신RST는 이달 말 준고속열차(표준궤) 59량 중 45량을 인도한다. 현대로템은 2021년 TRC가 발주한 약 3354억원 규모의 전동차 80량과 전기기관차 17량 사업을 낙찰 받았다. 전동차는 2157억원, 전기기관차는 1197억원 규모로, 오는 2024년까지 납품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의 전동차와 전기기관차는 차량의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해 고속 운행 시에도 승객에게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한다. 또한 휠체어석과 수유실 등의 시설을 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서비스도 갖췄다. 현대로템이 공급하는 차량은 탄자니아에서 추진 중인 표준궤 철도사업의 1·2단계 구간인 다르에스살람과 마쿠토포라를 연결하는 546㎞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탄자니아 정부도 관심을 갖고 제작 상황을 점검했다. 알리 포
[더구루=길소연 기자] MSC의 항공 화물 항공사 MSC 에어카고(Air Cargo)가 글로벌 항공화물 사업 강화를 위해 항공화물 IT 서비스 업체 IBS 소프트웨어(IBS)와 손을 잡는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C 에어카고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인 IBS와 제휴를 맺고 항공 화물 운영을 디지털화한다. IBS의 항공 화물 관리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iCargo는 화물 영업, 운영, 화물 회계 및 포털을 포괄하는 진정한 디지털 플랫폼이다. MSC에 설치해 빠른 시일 내에 비즈니스 운영하게 한다. 최신 IT기술과 호환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iCargo가 구현되면 MSC는 영업, 운영, 회계 등 항공 화물 가치 사슬에 대한 완전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비즈니스 개선을 위한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다. iCargo 솔루션을 통해 온라인 주문 접수, 관세 관리, 배송 추적 등 화물 서비스의 전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 화주, 대리점, 세관 등 타기관간 업무 대응·제휴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국적 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2018년 국내 항공사로는 처음으로 도입해 사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그웨이나인봇, 자율이동로봇 섀시 특허 다수 보유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중국의 로보틱스 기업 세그웨이나인봇(Segwei-Ninebot)에 주목하고 있다.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개인용 모빌리티를 주로 만드는 세그웨이나인봇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료기사코드] 엔비디아가 세그웨이나인봇에 주목하는 이유는 자율이동로봇(Autonomous Mobile Robot, AMR) 등 모바일 로봇(Mobile Robot, MR) 부문의 빠른 성장에 있다. 엔비디아는 지난 5월 말 아이작(Isaac) AMR 플랫폼을 공개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5월 30일(현지시간) 대만 타이페이에서 개막한 '컴퓨텍스 2023'에서 "아이작 AMR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엔비디아의 아이작 AMR은 자율이동로봇 플랫폼으로 에지 투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서비스, 컴퓨팅, 레퍼러스용 센서 세트, 로봇 하드웨어 등이 포함됐다. 특히 매핑, 자율성, 시뮬레이션 기능을 강화해 대규모 시설의 로봇 매핑 기간을 수 주에서 수 일로 단축하는데 성공했다. 엔비디아가 세그웨이나인봇에 주목하는 것은 세그웨이 섀시 기술력이다. 세그웨이에 적용되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이슬란드의 메탄올 연료 기술 전문 기업 CRI(Carbon Recycling International)이 3000만 달러(약 390억원) 규모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유료기사코드] CRI은 4일(현지시간) 3000만 달러 규모 투자 라운드를 종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은 에퀴노르 벤처스가 주도했으며 길디, 시오바, 베스트만네이야르 연기금 등이 참여했다. 이번에 신규 투자를 유치한 CRI은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을 생산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메탄올은 최근 선박은 물론 자동차에서도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메탄올 연료 자동차는 기존 휘발유 자동차에 비해 유해가스 배출량이 적을 뿐 아니라 연료비도 적게 들어 효율적인 친환경 연료로 뽑히고 있다. 에퀴노르 벤처스는 CRI과 협력해 향후 탈탄소를 위한 새로운 연료 개발 부문에서 역할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CRI 관계자는 "새로운 투자자를 환영한다. 그들의 경험과 통찰력은 증가하는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단계에 진입한 CRI에 큰 의미를 가진다"며 "우리는 기술 솔루션을 추가로 개발, 적용해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더구루=정등용 기자] 일본이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세계적인 탈탄소화 추세로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은 리튬이온배터리 원료인 광석과 중간원료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가공은 일본 현지에서 이뤄지는데 차량탑재용 5억4000만 개, 전자기기·설치용 3억 7000만 개가 생산되고 있다. 배터리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사용이 끝난 폐배터리를 재활용 하는 사업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그린이노베이션 기금 사업의 일환으로 차세대 축전지 개발을 위해 약 2132억 엔(약 1조9300억 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공급망·밸류체인 강화를 목표로 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전고체배터리 등 고성능 축전지 및 재료 개발 △자원 절약 재료 및 기타 재료 저탄소 제조 프로세스 개발 △저비용 및 고품질 희귀 금속 회수를 실현하는 축전지 재활용 기술 개발 등이 있다. 희귀 금속 회수를 실현하는 재활용 기술 부분으로는 레어 메탈 회수 기술 고도화를 위해 민간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건식처리과 습식 처리, 다이렉트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지난해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노르웨이 TMC 콤프레서(TMC)의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장착한다. TMC 컴프레서는 지난 3일(현지시간) 삼성중공업이 건조하는 17만4000㎥급 LNG 운반선 12척에 LNG 탱커용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TMC는 12척의 LNG 선박 각각에 제어, 서비스 공기 및 질소 압축기를 포함한 완전한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이다. 계약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한스 피터 타눔(Hans Petter Tanum) TMC 영업·사업 개발 이사는 "삼성중공업의 기대와 요구 사항을 잘 알고 있고, 삼성중공업 역시 압축기 기술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소는 점점 더 선박의 수명 주기 비용과 배출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에너지 효율성을 높인 압축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압축 공기 시스템은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공기 소비량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국영 석유화학기업 중국석유화공그룹(SINOPEC·시노펙)가 녹색수소(그린수소) 생산에 돌입했다. [유료기사코드]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시노펙은 이달 초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 쿠차 지역에 건설한 녹색수소 플랜트 가동을 시작했다. 이 플랜트는 중국 내에서 최대인 연산 2만t 능력을 갖췄다.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다. 시노펙은 지난 2021년 11월 공사를 시작했다. 초기 투자액은 30억 위안(약 5400억원)에 이른다. 시노펙은 추가 증설을 통해 2025년까지 연간 생산량은 100t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녹색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 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다. 수소와 산소만 생산되기 때문에 오염 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으며, 전기 에너지를 수소로 변환해 손쉽게 저장하므로 생산량이 고르지 않은 재생 에너지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다. 다만 생산 단가가 높고 전력 소모량도 많아 상용화가 어렵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지리자동차의 eVTOL(전기 수직이착륙기) 자회사인 에어로푸지아(Aerofugia)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에어로푸지아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으로 첫 eVTOL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에어로푸지아는 30일(현지시간) TH캐피탈이 주도한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1억 위안(약 18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오리자 홀딩스, 홍화항공 등이 참여했다. 에어로푸지아는 지리테크놀로지그룹이 지난 2021년 6월 설립한 eVTOL 자회사로 청두에 본사를 두고 있다. 에어로푸지아는 무인 eVTOL을 비롯해 사물인터넷 플랫폼 등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에어로푸지아는 신규 자금을 통해 eVTOL 부문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현재 개발하고 있는 AE200 eVTOL 개발에 투입해 3차원 교통 시스템 구축을 촉진한다는 목표다. AE200은 최대 6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틸트 동력 eVTOL이다. 현재 첫 비행을 마쳤으며 중국 당국의 형식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지리차 관계자는 "지리차는 eVTOL 개발에 속도를 내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여행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이번 투자를 통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조선업의 세계 신조 시장 점유율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이 중국과의 관계 재설정에 나서면서 중국 조선업에 제동이 걸렸다. 한국 조선업계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독일조선해양산업협회(VSM)는 지난달 27일 발간한 2022~2023년 연례보고서를 통해 독일 정부에 조선업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촉구했다. 한국과 중국 조선업계에 대응해 아시아 국가 의존도를 줄이고 유럽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협회는 "한국과 중국 조선소들은 정부 차원의 막대한 지원을 등에 업고 있다" 며 "정책의 변화가 없다면 향후 10년 간 유럽 조선업의 상선(seagoing merchant ship) 건조 역량이 큰 폭으로 퇴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25년 전 유럽연합(EU)는 조선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며 "동시에 중국은 정반대로 조선소와 해운 회사에 국가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며 중국 조선업 발전 배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에 대한 유럽 해운업계의 선박 공급 의존도는 이미 매우 큰 수준으로 공급망을 포함해 의존성을 줄여나가고, 필요한 경우 위험 요인을 제거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더구루=오소영 기자]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인 리튬 가격이 향후 2년 안에 반토막 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와 칠레, 중국 등 주요국들이 생산량을 늘려서다. 호주 산업과학자원부가 최근 발표한 분기별 자원·에너지 보고서(Resources and Energy Quarterly)에 따르면 리튬 정광(스포듀민) 가격은 지난해 t당 4368달러(약 570만원)에서 올해 4357달러(약 569만원)로 하락할 전망이다. 내년 가격의 하락 폭은 더 크다. 무려 40% 감소해 2740달러(약 357만원)를 기록하고 2025년 2149달러(약 280만원)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산화리튬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6만9370달러(약 9050만원)에서 올해 4만6746달러(약 6105만원), 2024년 3만5416달러(약 4625만원), 2025년 3만357달러(약 3964만원)로 내리막길을 걷는다. 리튬 가격의 하락은 이미 예고됐다. 시장조사기관 벤치마크미네랄인텔리전스는 지난달 말까지 2주 동안 스포듀민의 중간 가격이 t당 3500달러(약 450만원)로 올해 들어 45%나 하락했다고 분석했었다. 하락 추세가 지속되는 이유는 생산량 증가에 있다. 호주 산업과학자원부는
[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가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1000만 대였던 시장 규모는 올해 1400만 대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8일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는 1000만 대로 집계됐다. 전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 판매량 기준 올해 시장 규모는 1400만 대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점유율은 18%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는 2026년에는 전체 판매 중 30% 이상이 전기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경우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효과로 지난해 7.6%였던 전기차 판매 비중이 28%까지 오를 것으로 점쳐진다. 배터리 공급망과 리튬 공급이 관건이다.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은 수요 대비 모든 부분에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매년 약 240억 달러에서 570억 달러 사이의 배터리 및 부품 공장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핵심 광물의 채굴과 가공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 자동차 리튬이온(Li-ion) 배터리 수요는 전기 승용차 판매 증가로 2021년 약 330GWh에서 2022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카카오모빌리티와 전기차 충전 사업을 위한 합작투자(Joint Venture) 계약을 체결하며 전기차 충전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고 3일 밝혔다.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30일 열린 계약 체결식은 LG유플러스 황현식 대표, 현준용 EV충전사업단장(부사장), 권용현 CSO(전무), 카카오모빌리티 류긍선 대표, 안규진 사업부문총괄부사장, 이창민 재무부문총괄부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사는 7월 중 공정거래위원회에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기업결합 심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이후 연내 사명과 브랜드명, 사업 전략 및 방향성을 수립하고 인력을 확보하는 등 회사 설립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가 50%+1주, 카카오모빌리티가 5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LG유플러스와 카카오모빌리티는 내연기관이 전동화∙디지털화로 급속히 전환되는 가운데, 아직 뚜렷한 시장 선도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은 '춘추전국시대'에 전기차 충전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여 선도적인 입지를 차지하겠다는 전략이다. LG유플러스와 카카오모빌리티는 ‘원할 때 바로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고객 경험’ 및 ‘안전∙개인화 등 기존에 없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racle Cloud Infrastructure, 이하 오라클)가 엔비디아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슈퍼클러스터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OCI는 엔비디아 블랙웰 GPU를 10만 장 이상 확보해 슈퍼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엔비디아에 따르면 오라클은 GB200 NVL72을 도입, 최적화를 완료했다. 오라클은 이번 GB200 NVL72 도입으로 블랙웰 GPU 수천 개를 확보했다. 오라클이 도입한 GB200 NVL72는 엔비디아 그레이스 중앙처리장치(CPU) 36개와 블랙웰 GPU 72개가 결합된 랙 스케일 시스템으로, 에이전트 AI 시스템 구축에 사용된다. 오라클은 새롭게 도입된 GB200 NVL72 시스템을 기반으로 공공·소버린(sovereign, 주권) 클라우드는 물론 기업에도 블랙웰 GPU를 제공한다는 목표다. 이번 GB200 NVL72 시스템 도입은 OCI 슈퍼클러스터 계획에 따라 진행됐다. 오라클과 엔비디아는 지난 9월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오라클 클라우드월드 콘퍼런스에서 블랙웰 GPU 10만 개 이상을 탑재한 슈퍼클러스터를 구축할 것
[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암(Arm)이 설립 40주년을 맞아 지금까지의 성과와 향후 계획을 공개했다. Arm은 향후 데이터센터와 인공지능(AI), 엣지 컴퓨팅 분야에 주목, 시장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Arm은 최근 설립 40년만에 2500억번째 칩을 출하했다. ARM은 "1100억명이 살아온 동안 2500억개 이상의 Arm 반도체가 출하됐다"며 "이는 전세계에 존재했던 팔(arm)보다 Arm이 더 많이 존재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Arm은 1978년 크리스 커리(Chris Curry)와 헤르마 하우저(Hermann Hauser)가 케임브리지에서 설립한 에이콘 컴퓨터스(Acorn Computers, 이하 에이콘)에서 시작됐다. 에이콘은 모든 교실에 컴퓨터를 배치하겠다는 영국 정부의 계획에 따라 BBC 마이크로(BBC Micro)를 개발·납품하면서 빠르게 회사규모를 확장했다. 에이콘은 BBC 마이크로를 개발하며 자체 프로세서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에이콘의 운명을 바꾼 반도체는 1985년 출시됐다. 소피 월슨(Sophie Wilson)과 스티브 퍼버(Steve Furber)가 ARM1이라는 반도체를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