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김은비 기자] 올들어 러시아 자동차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러시아 내 자동차 판매가 전년 대비 ‘반토막’ 났다. 높아진 차량 구매 부담과 불확실한 경제 여건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켰다. 여기에 현대자동차 등 주요 완성차 브랜드의 재진입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소비자들이 신차 구입을 미루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러시아 자동차 판매량은 9만2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46% 급감했다. 1분기 누적 판매도 전년 대비 28% 감소한 28만3000대에 그쳤다. 현재 러시아 내 자동차 재고는 80만 대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러시아 시장 절반 이상을 점유했던 중국차 기세가 꺾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1분기 중국산 자동차 수출은 12만3000대로, 전년 대비 39% 줄었다. 시장 점유율 역시 60%에서 55%로 하락했다.
현지 자동차 폐차세금 인상과 대출금리 상승이 수요 감소로 이어졌다. 러시아 내 자동차 폐차세는 지난해 10월부터 최대 85%까지 인상됐으며, 현재 차량 구매 대출금리는 18%에 달한다.
여기에 현대차와 토요타 등 주요 브랜드의 ‘복귀설’이 소비 심리를 관망으로 돌린 점도 한 몫했다. 실제로 현대차는 지난 2023년 매각한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재인수설과 일본 토요타와 독일 만(MAN) 등 완성차 브랜드가 러시아 재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2022~2023년 러시아 시장을 주도했던 중국차가 가격과 물량 중심의 성장 전략으로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며 “브랜드와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 심리가 확산되고, 현대차·도요타 등 글로벌 브랜드 복귀설까지 더해지며 시장 재편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