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정예린 기자] 글로벌파운드리가 보안 회사 '모토로라 솔루션(Motorola Solutions)'의 수주를 따냈다. 모토로라 솔루션은 글로벌파운드리에 위탁생산한 칩을 받아 무전기 성능을 개선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글로벌파운드리가 보안 회사 '모토로라 솔루션(Motorola Solutions)'의 수주를 따냈다. 모토로라 솔루션은 글로벌파운드리에 위탁생산한 칩을 받아 무전기 성능을 개선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퀘벡 주정부와 미국 리벤트가 캐나다 네마스카 리튬의 실탄 마련을 지원한다. 포스코케미칼과 독일 바스프의 양극재 투자를 고려해 원재료인 리튬 생산을 가속화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퀘벡 당국과 리벤트는 캐나다 리튬 업체 네마스카 리튬에 각각 8000만 달러(약 1030억원)를 투자한다. 네마스카 리튬은 캐나다 퀘벡주 와부치(Whabouchi) 리튬 광산 개발을 목적으로 2007년 설립된 회사다. 리벤트와 퀘벡투자공사(Investissement Québec)가 절반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네마스카 리튬은 2014년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개발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였지만 사업 비용이 증가하며 제동이 걸렸다. 프로젝트 비용은 초기 8억7500만 달러(약 1조1350억원)에서 2019년 12억 달러(약 1조5570억원)로 늘었다. 여기에 공급 과잉에 따른 리튬 가격 하락으로 투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며 경영난이 가중됐다. 결국 네마스카 리튬은 2019년 말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퀘벡과 리벤트는 네마스카 리튬을 살리는데 매진하고 있다. 포스코케미칼과 바스프 등 배터리 소재 업계의 투자를 도우려면 리튬 광산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 에어택시 제조업체 릴리움(Lilium)이 전기 수직 이착륙항공기(eVTOL)의 전자동력배전시스템 개발을 위해 미국 항공우주 기업 '아스트로닉스 코퍼레이션(Astronics Corporation, 이하 아스트로닉스)'과 손을 잡는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릴리움은 아스트로닉스와 eVTOL 릴리움젯(Lilium Jet)의 전력분배시스템 개발한다. 아스트로닉스가 릴리움젯의 2차 전력 분배 장치(SPDU)와 충전 전력 분배 장치(CPDU) 설계, 개발하는 데 전문성을 제공한다. 이들은 협력은 12개월 이상 지속된다. 아스트로닉스의 코어파워(CorePower) 전력 분배 시스템은 전자 회로 차단기를 통해 최대 20배 높은 시스템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 유지 보수와 설치 비용을 줄임으로써 수명 주기 비용이 40% 감소할 전망이다. 릴리움 젯은 하나의 CPDU와 2개의 SPDU를 사용한다. SPDU는 비행 제어, 센서, 항법 시스템과 같은 eVTOL 항공기에 통합된 시스템으로 배터리로부터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유지한다. CPDU는 항공기의 배터리 충전을 관리하며, 누전 위험을 감지 보고해 안전성을 높인다. 마틴 슈에벨(Mar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