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내 1위 음식배달 플랫폼 '배달의 민족(배민)'을 운영하는 독일 딜리버리히어로와 일본 편의점업체 세븐일레븐이 미국 차량공유업체 우버가 설립한 자율주행 배송로봇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배송로봇 스타트업 서버로보틱스(Serve Robotics)는 최근 1300만 달러(약 150억원) 규모 시드 라운드를 마감했다. 딜리버리히어로가 지원하는 DX벤처스와 세븐일레븐의 벤처캐피털(VC) 세븐벤처스, 웨이브메이커파트너스 등이 시드 라운드에 참여했다. [유료기사코드] 전 세계적인 디지털·비대면 경제의 확대로 향후 자사 배달 서비스에 도입하기 위해 선제적인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세븐일레븐은 이달 초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자율 배송차량 뉴로와 제휴해 배달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버로보틱스는 올해 초 우버가 음식배달업체 포스트메이츠의 로봇사업부문인 포스트메이트X를 분사해 설립한 회사다. 앞서 포스트메이츠는 지난 2017년 알리 카샤니가 창업한 록스(Lox)를 인수하며 배송로봇 시장에 진출했다. 2018년 12월 배송로봇 '서브'를 공개했다. 우버는 지난해 7월 포스트메이츠를 26억5000만 달러(약 3조1320억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이 투자한 미국 유전자 분석 스타트업 네뷸라 지노믹스(Nebula Genomics)가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생명공학회사 프로페이즈 랩스(ProPhase Labs)에 매각됐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프로페이스는 최근 설립한 자회사 프로페이즈 프레시젼 메디슨(ProPhase Precision Medicine)을 통해 네뷸라 지노믹스를 1460만 달러(약 170억원)에 인수했다. 프로페이스는 네뷸라 지노믹스가 보유한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자사의 임상 진단 시험 서비스와 통합할 방침이다. 네뷸라 지노믹스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유전자 정보를 관리하는 미국 스타트업이다. 인간 유전자 정보 프로젝트의 대부로 불리는 조지 처치 하버드의대 교수가 공동으로 설립했다. 지난 2018년 무료 유전자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출시해 주목을 받았다. 미래에셋이 이 회사사 투자해 국내에도 알려졌다. 미래에셋은 지난 2018년 이 회사의 430억 달러(약 50조원) 규모 시드 파이낸싱에 참여했다. 프로페이즈 랩스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생명공학 및 유전자학 회사다. 기존 미국실험실표준인증 연구실(CLIA LAB) 서비스를 활용해 소비자에게 직접 유전자 분석
[더구루=홍성일 기자] 바나듐 구리 정제 기술을 개발한 미국 스타트업 스틸 브라이트(Still Bright)가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시범 생산 시설을 건설해, 상업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스틸 브라이트는 30일(현지시간)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1870만 달러(약 26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머터리얼, 임팩트 포르테에스큐, 아졸라 벤처스, SOSV, 임팩트 사이언스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2022년 설립된 스틸 브라이트는 정제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구리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제는 구리 광석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수한 구리를 얻는 과정으로, 스틸 브라이트는 이 과정에서 최대 20%에 달하는 구리 금속이 손실된다고 설명했다. 스틸 브라이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황산구리(Cu2S)를 바나듐 용액에 담가 구리 금속을 추출했다. 스틸 브라이트 측은 바나듐 흐름전지(Vanadium flow battery)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했다. 바나듐 흐름전지는 활물질(바나듐이온)이 전해액 내부에 녹여진 상태로 작동하는 배터리로, 에너지저장장치(E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서 1000번째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 '메가팩'을 생산하며 조기 양산 체계 안착이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빠르게 안정화된 생산 역량은 아시아를 넘어 유럽으로의 공급 확대는 물론, 글로벌 ESS 시장에서 테슬라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테슬라 중국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9일(현지시간) 공식 웨이보 계정을 통해 상하이에 위치한 '메가팩토리'에서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을 완료하고 유럽 수출을 위한 출하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첫 양산을 시작한 이후 불과 6개월여 만에 이룬 성과다. 1000번째 메가팩 생산은 단순한 누적 생산 수치를 넘어 상하이 공장의 양산 체계가 빠르게 안정화됐음을 방증한다. 전체 기간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월평균 생산량은 약 188대 수준이지만, 생산 초기 안정화 기간을 감안하면 최근에는 월 300대에 근접하는 생산 속도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상하이 메가팩토리는 테슬라가 미국 외 지역에 처음으로 구축한 ESS 전용 생산기지다. 작년 5월 약 20만㎡ 부지에 착공, 9개월 만인 올해 2월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총 투자비는 약 14억5000